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落花巖-洪春卿 본문
落花巖-洪春卿
國破山河異昔時(국파산하이석시) 獨留江月幾盈虧(독류강월기영휴)
落花巖畔花猶在(낙화암반화유재) 風雨當年不盡吹(풍우당년부진취)
나라가 깨어져 山河도 예와 다른데, 홀로 남은 江月은 차고 기울기 몇 번인가?
낙화암의 꽃은 여전히 피었으니, 그해에 불던 비바람도 다하지 않았구나
▷巖(암) : 바위, 낭떠러지
▷留(유) : 머무르다
▷幾(기) : 몇 번이나, 얼마나
▷盈虧(영휴) : 가득 찰 영, 이지러질 휴
▷猶(유) : 아직도, 여전히
▷當年(당년) : 그 해, 그 때 당시의 년도
감상
역사는 勝者를 위해, 勝者에 의해 쓰인, 勝者만의 것인가.
唐나라 군대에 철저히 짓밟힌 백제의 痛恨은 지금도 부여에 가면 느낄 수 있다.
백제의 마지막 임금 의자왕은 사치와 방탕에 빠진 무능한 통치자가 아니었으며 낙화암에서 몸을 던졌다는 삼천궁녀는 과장된 역사라기보다 왜곡된 역사다. 아마도 당나라로 끌려가 노예가 되느니 자살을 선택한 아리따운 백제 처녀들이었으리라. 조선 중기의 강직한 선비였던 洪春卿이 백마강 달밤에 낙화암에 올라가 백제가 깨어지던 때를 생각하며 감회에 젖어 지은 이 시에도 그런 생각이 보인다. 낙화암 절벽에 피어 있는 꽃은 면면히 이어 오는 백제의 혼을 의미하며 風雨는 왜곡된 채 고쳐지지 않은 역사를 뜻한다.
작자-洪春卿(1497~1548)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명중(明仲), 호는 석벽(石壁). 동지사(同知事) 홍경손(洪敬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봉상시부정 홍윤덕(洪潤德)이고, 아버지는 대교 홍계정(洪係貞)이며, 어머니는 언양김씨(彦陽金氏)로 현감 김기수(金期壽)의 딸이다.
1522년(중종 17) 사마를 거쳐, 1528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저작·정자를 지내고, 1536년 문과중시에 장원하여 사성·보덕·집의를 거쳐 예조참의에 올랐다. 1541년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좌승지·한성부우윤·이조참의를 지내고, 1545년(인종 1) 중종의 지문(誌文)을 짓기도 하였다. 성품이 강직하여 권세에 굽히지 않았고, 또한 권세가의 집을 찾은 일이 없었다 한다. 글씨에 뛰어나 김생체(金生體)에 능하였다.
'漢詩와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書山人軸(二首之一)-李楨 (0) | 2025.02.10 |
---|---|
西山大師 시 2수 (0) | 2025.02.09 |
題伽倻山讀書堂-崔致遠 (0) | 2025.02.09 |
林億齡의 시 2수 (0) | 2025.02.09 |
鐵原懷古-姜淮伯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