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87.麗人行(여인행)-杜甫(두보)

耽古樓主 2023. 11. 10. 20:51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麗人行(아름다운 사람들)
-杜甫(두보)

 

三月三日天氣新 長安水邊多麗人.
삼월 삼짇날 날씨는 화창한데장안의 물가에 수많은 미인들.

態濃意遠淑且眞 肌理細膩骨肉勻.
자태는 농염하고 뜻은 고원하여 온화하고도 참되며곱고 매끄러운 피부에 균형 잡힌 몸매로다.

繡羅衣裳照暮春 蹙金孔雀銀麒麟.
수놓인 비단 옷이 저무는 봄빛에 빛나는데금실로 수놓인 공작에 은실로 수놓인 기린이라.

頭上何所有 翠爲㔩葉垂鬢脣.
머리 위에 있는 것 무엇인가비취로 된 머리장식 귀밑까지 내려왔고,

背後何所見 珠壓腰衱穩稱身.
등 뒤에 보이는 것 무엇인가진주 늘어뜨린 허리띠가 몸에 꼭 맞는구나.

就中雲幕椒房親 賜名大國虢與秦.
그 가운데 구름 같은 휘장 안의 황후의 친척은虢國夫人 秦國夫人 같은 큰 나라 이름을 받았네.

紫駝之峰出翠釜 水精之盤行素鱗.
낙타 봉 요리가 비취빛 솥에서 나오고수정 쟁반에는 은빛 생선이 놓여 있네.

犀筯饜飫久未下 鸞刀縷切空紛綸.
상아 젓가락 배부른 탓에 한참을 음식에 대지 않는데鸞刀로 가늘게 써느라 공연히 분주하기만 하구나.

黃門飛鞚不動塵 御廚絡繹送八珍.
환관의 날듯이 달리는 말들 먼지조차 일지 않고수라간에서는 팔진미를 끊임없이 보내온다.

簫鼓哀吟感鬼神 賓從雜遝實要津.
음악소리 애달파서 귀신까지 감동시키는데수많은 빈객과 시종들 顯達한 사람들로 가득 찼네.

後來鞍馬何逡巡 當軒下馬入錦茵.
나중에 온 말 탄 분은 어찌 그리 거들먹거리는지수레 앞에 당도하자 말에서 내려 비단 자리에 드네.

楊花雪落覆白蘋 靑鳥飛去銜紅巾.
버들개지 눈처럼 날려 하얀 마름 위를 덮고파랑새 날아가며 붉은 수건 머금었네.

炙手可熱勢絶倫 愼莫近前丞相嗔.
손 데일만큼 뜨거운 그 권세 홀로 뛰어나니삼가 가까이 가지 마시오 승상이 화낼까 하오.

 
 

2.通釋

 
3월 3일 맑고 화창한 날長安 曲江 강가에는 수많은 아름다운 궁녀들이 봄놀이를 즐기고 있다.
그들의 자태는 농염하고 마음속에 간직한 생각은 高遠한 듯하며성품은 온화하고도 선량해 보인다.
게다가 피부는 곱고 매끄러우며 뼈와 살이 적절하게 균형 잡혀 있다.
그들의 화려한 의상은 저무는 봄 들녘에서 빛을 발하는데금실과 은실로 공작과 기린을 함께 수놓은 옷이 독특한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그들의 머리 위에 있는 것은 무엇인가비취로 된 머리 장식이 귀밑머리 옆까지 내려와 있다등 뒤에 보이는 것은 또 무엇인가진주가 알알이 엮여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허리띠를 누르고 있는데 몸에 한층 잘 어울린다.
구슬발 휘장 안에 있는 貴妃의 친척들은 虢國夫人秦國夫人에 책봉된 양귀비의 언니들이다.
그들이 먹는 음식은 낙타의 불룩한 峰을 잘라 구운 고기로 비취빛 솥에 담겨 있고은빛으로 빛나는 생선이 수정으로 된 접시에 줄지어 놓여 있다.
실컷 먹고 배가 부른 탓에 상아 젓가락을 손에 든 채로 한참을 음식에 대지 않는데공연히 요리사는 먹지도 않을 음식들을 실처럼 가늘게 써느라 분주하기만 하다.
궐내의 환관들이 말을 타고서 먼지 한 점 날리지 않고 오고 가는데대궐의 주방에서는 끊임없이 각종 진귀한 음식들을 보내온다.
옆에서 음악을 연주하여 흥을 돋우는데슬퍼하듯 한숨짓듯 끊임없이 흘러나오는 그 소리는 왕왕 귀신조차 감동시킬 듯하다.
자리를 함께 한 賓客과 從臣들이 참으로 많은데 이들은 모두 조정의 높은 벼슬아치들이다.
가장 나중에 안장 얹은 한 필의 말이 다가오는데달리는 그 모습이 참으로 느리고 거만하다.
수레 휘장 앞에 이르자 그는 말에서 내려 곧장 비단 깔개가 깔려 있는 수레 안으로 들어간다.
버들개지가 눈처럼 흩날려 마름 위를 덮고西王母의 使者인 靑鳥가 사랑의 메시지를 전하려는 듯 붉은 수건을 머금고 머리 위를 난다.
이 남자는 당대의 세력가로 그 누구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막강한 세력을 갖고 있으니그녀들에게 가까이 가서 그가 분노를 발하는 일이 없도록 조심해야 할 것이다.
 
 
 

3.解題

 

이 시는 天寶 12년(753) 두보가 42세에 지은 작품으로 이때 그는 장안에 있었다.
두보는 이 시를 통하여 唐 玄宗의 寵妃인 양귀비와 그 자매들의 사치하고 무절제한 생활을 비난하고 풍자하였다.
나라 樂史의 《楊太眞外傳》에 의하면현종이 매년 10월 華淸宮에 거둥할 때 양국충과 자매의 무리들이 扈從하였는데한 집이 한 부대를 이루어 한 가지 색의 옷을 입었다고 한다.
다섯 집의 대열이 합류하면 그 모습은 마치 온갖 꽃들이 만발하여 빛나는 듯했고길에 떨어진 비녀나 신발들이 빛을 발하여 주울 수 있었다.
마침 어떤 사람이 몸을 숙인 채 그 수레를 한 번 흘낏 보았는데그 향기가 며칠이 되어도 없어지지 않았다고 하니그들의 사치스러운 면모를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또 양국충은 괵국부인과 이웃한 집에 살았는데 약속 없이 수시로 왕래하였다.
혹 나란히 말을 타고 入朝하기도 하였는데 가림막을 치지 않아 도로에서는 그들 때문에 사람들이 눈을 가려야만 했다.
이러한 내용은 이 시의 마지막 부분에서 풍자한 것과 일치한다.
화려하게 펼쳐진 묘사 속에서 풍자가 극대화되었지만 詩語를 배치한 것이 매우 함축적이고 완곡하다.
麗人의 아름다움을 묘사한 후에 갑자기 양귀비의 언니인 진국부인괵국부인을 언급하고또 수레 앞에 당도하여 말에서 내렸다는 구절 뒤에 승상이 왔음을 언급했으니 모두 시인의 뛰어난 솜씨를 보여주는 대목들이다.

 

 

 

4.集評

 

○ 余讀杜草堂詩 見楊花雪落覆白蘋 靑鳥飛去銜紅巾 豈非犬戎直來坐御床之兆也
내가 杜草堂(杜甫)의 시를 읽다가 ‘楊花雪落覆白蘋 靑鳥飛去銜紅巾’을 보았으니어찌 犬戎이 곧장 와서 御床에 앉을 징조가 아니겠는가.
此草堂之所以爲詩史也 朝鮮 洪汝河《木齋先生文集》 6, 〈題麗人行後〉
이것이 草堂이 詩史인 까닭이다.

○ 劉批云 楊花靑鳥兩語 極當時擁從如雲衝拂開合 偉麗俊捷之盛 作者之意 未必人人能識也
南宋 사람 劉辰翁이 批注하기를, “楊花와 靑鳥의 두 내용은 당시 앞뒤에서 옹위하는 무리가 구름처럼 많아 서로 부딪치고 모였다 흩어져 화려하고 성대한 모습을 극언한 것이니작자의 뜻을 사람마다 모두 알 수는 없다.” 하였다.
今按此言是也
지금 살펴보건대 이 말이 옳다.
蓋楊花時物 白蘋水草 故因所見之物以狀之耳
대개 楊花는 時物이고 白蘋은 水草이므로 보이는 바의 물건을 따라 형상하였을 뿐이다.
夢弼註 引後魏太后所淫楊白花事 以爲刺楊氏 意雖近而未免有牽合之病也 朝鮮 金隆《勿巖集》 4, 〈古文眞寶前集講錄〉
蔡夢弼의 注에, “後魏의 胡太后가 楊白花와 사통한 일을 인용하여 楊國忠을 풍자한 것이다.” 하였으니뜻은 비록 근사하나 牽强附會한 잘못을 면치 못하였다.

○ 甫有炙手可熱 愼莫見嗔於丞相之句 所以戒當世之士大夫 無以譏切其黨以取禍害
단지 ‘데일만큼 뜨거운 손이니삼가 승상에게 분노를 사지 말라.’는 구절만 쓴 것은 당대 사대부들이 그 무리들을 비판하고 바로잡다가 화를 당하는 일이 없도록 경계한 것이다.
觀詩以碩人美莊姜與申后 蓋取其碩美之德
《詩經》을 보면 〈碩人〉에 莊姜과 申后를 아름답다 하였으니대개 그 크고 아름다운 덕을 취한 것이다.
今此詩以麗人名篇 豈非刺貴妃之黨徒以艶麗之色寵貴乎
그런데 지금 이 시에서 ‘麗人’으로 제목을 삼은 것은 어찌 양귀비의 무리들이 아름다운 외모로 총애를 받고 귀하게 된 것을 풍자한 것이 아니겠는가.
杜甫深意於玆可見 宋 師尹《分門集註杜工部詩》
두보의 깊은 뜻을 이에서 볼 수 있다.

○ 態濃意遠 骨肉勻 畫出一介國色 狀姿色曰 骨肉勻 狀服飾曰 穩稱身 可謂善于形容
‘態濃意遠’과 ‘骨肉勻’은 하나의 傾國之色을 그려냈고姿色을 형상하여 ‘骨肉勻’이라 하고服飾을 형상하여 ‘穩稱身’이라 하였으니形容을 잘했다고 할 만하다.
紫駝之峰二句 語對意對而詞義不對 與裙拖六幅 鬢挽巫山 具別一對法 詩聯變體 明 王嗣奭《杜臆》 卷1
‘紫駝之峰’ 두 는 말이 를 이루고 의미가 를 이루지만 詞義가 對를 이루진 않으니, ‘裙拖六幅’ ‘鬢挽巫山’과 더불어 따로 하나의 對句法을 갖춘 것이요詩聯의 變體이다.

○ (結處意在言外 三百篇之致也 淸 王士禎《帶經堂詩話》 卷30
마지막 부분에뜻이 말 밖에 있으니《詩經》이 담고 있는 의미와 같다.

○ 似謠似諺 無一語鋪敍之痕 若入長慶手 則筋骨露矣 淸 吳農祥《杜詩集評》 卷5
노래 같기도 하고 이야기 같기도 해서한 마디 말도 의도적으로 구조를 짠 흔적이 없다만일 長慶(白居易)의 손에 들어갔다면 근육과 뼈가 드러났을 것이다.

○ 描寫麗人 但在衣飾飮食上盡力鋪張其豪侈之態 此作者深意也 淸 査愼行《杜詩集評》 卷5
麗人을 묘사하는데 다만 옷과 음식에 있어서 호사와 사치를 늘어놓는 데 힘을 다하였으니이것이 작자의 깊은 뜻이다.

○ 無一刺譏語 描摹處 語語刺譏 無一慨歎聲 点逗處 聲聲慨歎 淸 浦起龍《讀杜心解》 卷二之一
하나도 비난하는 말이 없지만 묘사한 곳에는 말마다 비난이요하나도 개탄하는 소리가 없지만 구두를 떼는 곳에는 소리마다 개탄이다.

○ 麗人行 前半竭力形容楊氏姊妹之游冶淫佚 後半敍國忠之氣焰逼人
〈여인행〉은 전반부에서는 양씨 자매의 사치와 무절제함을 형용하는 데 진력하였고후반부에서는 양국충의 권세가 사람들을 압박하는 것을 서술하였다.
絶不作一斷語 使人于意外得之 此詩之善譏也 淸 施補華《峴傭說詩》
한 마디도 단정하는 말을 하지 않았지만 읽는 이로 하여금 뜻 밖에서 깨닫게 하니이 시가 풍자를 잘한 것이다.

 

 

 

5.譯註

 

▶ 三月三日 고대 修禊의 풍속이 음력 3월 上旬 巳日에 거행되었는데이날 曲水에 술잔을 흘려보내어 不淨함을 씻어냈다.
▶ 長安水邊 長安 남쪽에 있던 曲江을 가리킨다.
▶ 蹙金孔雀銀麒麟 금실과 은실을 사용하여 비단 치마 위에 수놓은 공작과 기린의 문양을 가리킨다. ‘蹙金’은 繡法의 일종으로 撚金이라고도 한다여기서는 금실로 수를 놓았다는 뜻이다.
▶ 翠爲㔩葉垂鬢脣 부녀자들의 틀어 올린 머리 위의 비취 꽃 장식이 귀밑머리[鬢脣근처까지 내려와 있는 것이다. ‘翠’는 翡翠이다. ‘爲’가 ‘微’로 되어 있는 本도 있다. ‘㔩葉’은 부녀자들의 틀어 올린 머리 위에 하는 꽃 장식이다. ‘鬢脣’은 鬢邊과 같다.
▶ 珠壓腰衱 진주가 허리띠 위에 묶여 있는데밑으로 늘어져 있는 모양이다.
▶ 雲幕 구름과 안개 같은 발[簾]과 휘장을 가리킨다혹자는 화려하게 구름 문양으로 장식한 휘장으로 보기도 한다.
▶ 椒房親 椒房에 거처하는 楊貴妃의 친척들즉 그의 자매들을 말한다漢代 황후가 거처하던 곳인 未央宮은 산초와 진흙을 섞어 벽에 발라 溫暖과 芳香의 효과를 얻었는데산초는 열매가 많아 多産을 상징하기도 한다이로 인해 훗날 后妃의 거처를 椒房이라 하였다.
▶ 賜名大國虢與秦 양귀비가 총애를 얻은 후 天寶 7년(748)에 양귀비의 세 언니들도 封爵을 받아큰언니가 韓國夫人셋째 언니가 虢國夫人여덟째 언니가 秦國夫人이 되었다여기서는 운율 관계상 두 사람만 들어 그 나머지까지 말한 것이다.
▶ 紫駝之峰 낙타 등의 불룩한 부위를 잘라 구운 고기로서진귀한 음식이며 八珍味 중의 하나이다.
▶ 素鱗 살결이 흰 생선을 말한다.
▶ 犀筯饜飫久未下 실컷 먹고 배가 불러 음식을 먹을 생각이 나지 않아 象牙로 만든 젓가락을 오랫동안 음식에 대지 않는 것이다. ‘犀筯’는 상아로 만든 젓가락이다. ‘筯’는 ‘箸’와 같다. ‘饜飫’는 배불리 실컷 먹었음을 뜻한다. ‘饜’이 ‘厭’으로 되어 있는 本도 있다.
▶ 鸞刀縷切空紛綸 : ‘鸞刀’는 난새 방울 장식이 있는 菜刀이다. ‘縷切’은 요리사가 재료를 썰 때 특히 실처럼 가늘게 썰고 아울러 꽃 장식을 더한 것을 가리킨다. ‘紛綸’은 바쁜 것을 말한다.
▶ 黃門 宦官(太監)의 통칭이다환관이 황색으로 칠한 궁궐 대문 안에서 일하므로 ‘黃門’이라 부른다.
▶ 飛鞚 : ‘鞚’은 말 재갈이다여기서는 날듯이 빨리 달린다는 뜻이다.
▶ 八珍 여덟 가지의 진귀한 음식을 말하는데八珍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설이 분분하다《南村輟耕錄》에는, “이른바 팔진이란 醍醐‧麆吭‧野駝蹄‧鹿脣‧駝乳麋‧天鵝炙‧紫玉漿‧玄玉漿이다.”라고 하였고근래의 어떤 이는 龍肝‧鳳髓‧豹胎‧鯉尾‧鴞炙‧猩脣‧熊掌‧酥酪蟬을 팔진이라 하였다.
▶ 簫鼓 피리와 북을 가리킨다. ‘鼓’가 ‘管’으로 되어 있는 本도 있다.
▶ 賓從雜遝實要津 賓客과 隨從이 많은데기실 모두 지위가 있는 인물들이다. ‘雜遝’은 사람이 많은 모양이고, ‘要津’은 要職높은 지위를 말한다.
▶ 後來鞍馬何逡巡 맨 나중에 한 필의 鞍馬가 오는데 달리는 모습이 참으로 느리고 거들먹거리는 것이다. ‘逡巡’은 느리게 가는 모양이다.
▶ 入錦茵 : ‘茵’은 수레 안에 까는 깔개로 ‘入錦茵’은 양귀비의 언니들이 있는 수레 안으로 양국충이 들어가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 楊花雪落覆白蘋 버들개지가 눈처럼 흩날려 마름 위를 덮는 것을 가리킨다이것은 그 당시의 풍경을 묘사한 것인데楊國忠과 괵국부인의 通姦을 풍자한 것이라는 說도 있다. ‘楊花’와 ‘楊國忠’의 ‘楊’ 가 같은 데에서 착상한 說이다또 ‘楊花’와 관련된 다음과 같은 典故도 있다北魏의 胡太后가 楊華와 私通하였는데양화가 자신에게 가 미칠 것을 두려워하여 梁나라에 투항하자태후는 그를 그리워하며 〈楊白花歌〉를 지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陽春 이삼월수양버들은 모두 꽃이 되었네춘풍은 하룻밤 사이 규방 문으로 들어오고버들개지는 南家에 흩날려 떨어지네情을 머금고 문을 나서니 다리엔 힘이 없는데버들개지 주우니 눈물이 가슴을 적시네가을에 떠났다 봄에 돌아온 한 쌍의 제비버들개지 물고서 둥지 안으로 들어가 주렴.[陽春二三月 楊柳齊作花 春風一夜入閨闥 楊花飄蕩落南家 含情出戶脚無力 拾得楊花淚沾臆 秋去春還雙燕子 願銜楊花入窠裏]” ‘蘋’은 개구리밥 중에 큰 것을 말한다.
▶ 靑鳥 神話에 나오는 세 발 달린 새로 西王母의 使者이다여기서는 소식을 전달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 紅巾 부녀자들이 쓰는 붉은 색 두건을 말하는데옛날 여자들이 이것으로 자신의 을 표시하는 信標로 삼았다.
▶ 炙手可熱 열기에 손을 델 정도이다양국충의 세력이 천하를 기울이고 그 기염이 사람을 핍박함을 말한다.
▶ 丞相嗔 丞相은 양국충을 가리킨다천보 11년(752)에 양국충이 右丞相을 맡았다. ‘嗔’은 성낸다는 뜻인데, ‘瞋’으로 되어 있는 本도 있다瞋은 화가 나서 눈을 부릅뜨고 보는 것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