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68.謁衡嶽廟遂宿嶽寺題門樓(알형악묘수숙옥사제문루)-韓愈(한유)

耽古樓主 2023. 11. 6. 01:01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謁衡嶽廟遂宿嶽寺題門樓(형악묘에 배알하고 드디어 형산의 절에서 묵으며 문루에 제하다)
-韓愈(한유)

 


五嶽祭秩皆三公 四方環鎭嵩當中.
五嶽의 제사는 모두 三公의 예로써 하는데, 사방에 큰 산이 빙 둘러 있고 嵩山이 중앙에 있네.

火維地荒足妖怪 天假神柄專其雄.
남쪽은 지역이 거칠고 멀어 妖怪가 많은 까닭에, 하늘이 嶽神에게 권력을 주어 雄威를 떨치게 하였지.

噴雲泄霧藏半腹 雖有絶頂誰能窮.
구름 뿜고 안개 쏟아 산허리를 감췄으니, 산 정상이 있다 한들 누가 능히 오르겠나.

我來正逢秋雨節 陰氣晦昧無淸風.
나 이곳에 와서 마침 가을비 내리는 계절을 만나, 陰氣로 어둑한 가운데 맑은 바람 한 줄기 없구나.

潛心黙禱若有應 豈非正直能感通.
마음 가라앉히고 조용히 기도하매 응함이 있는 듯하니, 어찌 정직함이 神明을 감동시킨 것 아니겠는가.

須臾靜掃衆峰出 仰見突兀撐靑空.
잠시 후 구름은 조용히 쓸려 가고 뭇 봉우리 나왔는데, 올려다보니 우뚝하여 푸른 하늘을 받치고 있네.

紫蓋連延接天柱 石廩騰擲堆祝融.
紫蓋峰은 면면히 이어져 天柱峰에 닿아 있고, 石廩峰은 우뚝우뚝 祝融峰까지 쌓여 있네.

森然魄動下馬拜 松柏一逕趨靈宮.
삼엄한 모습에 내 마음 움직여 말에서 내려 경배하니, 松柏 서 있는 길이 靈宮까지 뻗어 있네.

粉牆丹柱動光彩 鬼物圖畫塡靑紅.
하얗게 칠한 담장 붉은 기둥은 광채를 발하고, 神鬼의 그림들은 푸른 빛 붉은 빛으로 채워져 있구나.

升堦傴僂薦脯酒 欲以菲薄明其衷.
계단에 올라 허리를 굽히고 포와 술을 바치나니, 보잘것없는 제물로 이내 충심 밝히고자.

廟內老人識神意 睢盱偵伺能鞠躬.
사당 안의 노인은 의 뜻을 잘 아는 듯, 눈 크게 뜨고 살피더니 익숙하게 몸을 굽히네.

手持盃珓導我擲 云此最吉餘難同.
손에는 盃珓를 들고서 나를 이끌어 던지게 하고는, 더 이상 좋을 수 없는 가장 길한 점이라 말한다.

竄逐蠻荒幸不死 衣食纔足甘長終.
남방의 거친 땅으로 쫓겨 왔어도 다행히 죽지 않고, 衣食도 그런대로 족하니 이대로 살다가 마치면 좋으리.

侯王將相望久絶 神縱欲福難爲功.
王侯將相을 바라는 것 오래 전에 단념했으니, 이 내게 복을 주려 해도 을 이루긴 어려우리라.

夜投佛寺上高閣 星月掩映雲朣朦.
오늘 밤 佛寺에 투숙하여 높은 누각에 오르니, 별과 달이 구름에 가려 어슴푸레하구나.

猿鳴鐘動不知曙 杲杲寒日生於東.
원숭이 울고 종소리 울려도 동트는 줄 몰랐는데, 차가운 해 동쪽에서 환하게 떠오른다.

 
 

2.通釋

 

五嶽에 제사를 지낼 때 그 등급을 모두 三公과 같이 하는데泰山‧華山‧衡山‧恒山의 四嶽이 사방을 빙 둘러 鎭山이 되고 嵩山이 그 가운데를 차지하고 있다.
衡山은 火氣에 속하는 남쪽에 있는데 중앙으로부터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어서 妖怪가 매우 많은 까닭에하늘이 형산의 嶽神에게 신령한 권세를 주어 雄威를 떨치며 남쪽 지역을 다스리게 하였다.
형산은 雲氣를 뿜어내고 雲霧를 뱉어내어 산허리에 그것들이 자욱하게 둘러 있으니비록 산이 이곳에 있다 해도 누가 그 정상까지 오를 수 있겠는가.
내가 이곳에 오니 때는 마침 가을철 장마 무렵이라음침한 기운이 가득하고 어둑어둑하며 시원한 바람 한 줄기 불지 않는다.
나는 마음을 가라앉히고 嶽神을 향해 하늘이 개기를 묵묵히 기도하였는데 이미 나의 기도에 神의 감응이 있는 듯하였다.
이 어찌 나의 正直함에 南嶽의 神이 감동하여 움직인 것이 아니겠는가.
잠시 후 바람이 불어 구름과 안개를 비로 쓸 듯이 고요하게 흩어버리니 뭇 산의 봉우리들이 모두 그 모습을 우뚝하게 드러냈다.
고개를 들어 그 높고 높은 산봉우리를 바라보니 곧장 하늘 가운데 버티고 서 있는 모습이었다.
紫蓋峰은 天柱峰에까지 잇닿아 있고石廩峰은 들쭉날쭉 우뚝한 모습으로 祝融峰에까지 쌓여 있다.
이 삼엄한 광경에 나는 저절로 황송하고 두려운 마음이 들어서서둘러 말에서 내려 절을 하였다.
좁은 길 양쪽 가에는 소나무 잣나무가 울창하였는데 衡嶽廟에까지 나무들이 줄지어 서 있었다.
하얗게 칠한 사당의 담장과 붉은 색의 기둥은 선명한 광채를 발하였으며사당의 벽에는 붉은색 푸른색으로 神鬼의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나는 神殿의 계단 위로 올라가 허리를 굽혀 예를 표하고 脯와 술을 바쳤는데보잘것없는 예물이지만 그것으로라도 나의 衷心을 밝히고자 하는 마음에서였다.
사당 안의 노인은 마치 神明의 뜻을 다 알아차리기라도 하는 것처럼 눈을 크게 뜨고 가만히 나를 관찰하더니 익숙하게 神像을 향해 몸을 굽혔다.
그리고는 손에 점을 치는 도구인 盃珓를 들고서 나에게 던져보라고 시켰다.
내가 그것을 던져 점괘가 나오자 그는 이 괘가 가장 吉한 것이며 그 어떤 점괘도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고 말한다.
남방의 황량한 지역으로 쫓겨 온 몸으로 다행히 죽지 않고 살아 있으며衣食도 이만하면 만족할 만하니 이대로 살다가 죽어도 좋겠다고 나는 생각한다.
王侯將相의 富貴功名을 얻으리라는 소망도 일찌감치 끊어버렸으니 이 비록 복을 내려 나를 도와준다 해도 功力을 이루기는 참으로 어려울 것이다.
오늘 밤 佛寺에 투숙하여 높은 누각에 올라 보니층층 구름 뒤로 별빛과 달빛이 때로는 숨었다가 때로는 나타나기도 한다.
원숭이 울고 종소리가 울리는데도 마치 꿈을 꾸는 것 같아 하늘이 밝아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는데가을의 찬 기운을 간직한 밝은 태양이 벌써 동녘에 떠올라 있다.

 

 
 

3.解題

 

陽山(지금의 廣東省)에 貶謫되었던 한유는 永貞 元年(805) 사면이 되어 陽山을 떠나 郴州에 도착하여 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그해 9월에 江陵의 法曹參軍으로 좌천되었다.
이 시는 한유가 침주를 떠나 강릉의 任所로 가는 도중 衡山을 지나는 길에 衡嶽廟를 배알하고 느낀 바를 쓴 것으로그의 나이 38세 때의 作이다.
시에서 작자는 그가 南嶽에서 致祭를 드린 일과 길흉을 점친 일절에 투숙했던 정황들을 서술하였는데중국 名山의 雄俊한 勝景을 찬미하고 아울러 자신의 소회와 원망분노 등을 드러내고 있다.
전체 시는 의미상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단락에서는 五嶽으로부터 말을 시작하여 南嶽 衡山에 이르렀는데하늘이 권세를 빌려 주어 雄威를 떨치는 그 위세와 雲霧가 산허리를 에워싸고 있는 신비한 형세를 묘사하고 있다이는 시인이 뒤에 嶽廟에 배알하게 된 이유를 암시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두 번째 단락에서는 형산에 올라 嶽廟까지 가는 길에 본 풍경들을 묘사하였다가을장마가 한창인 때라서 음습한 기운이 가득한 가운데 시인은 날이 개기를 기도하였고이에 구름이 걷혀 산의 봉우리들을 모두 볼 수 있었다.
세 번째 단락에서는 珓를 가지고 길흉을 점친 일을 그리면서 다시 자신의 감회를 쓰고 있는데전체 시의 主旨가 담긴 부분이다길흉의 단서는 人事에 달려 있는 것이지 鬼神과 관련된 것이 아니다.
이미 荊蠻으로 쫓겨 왔고 부귀공명과도 인연을 끊었기 때문에 한 점괘가 나온다 한들 神이 도와줄 수 있는 것은 없다이는 곧 한유의 삶에 대한 굳은 의지와 위정자에 대한 불만을 표현한 것이기도 하다마지막 단락에서는 嶽廟의 高樓에 올라 밤을 지새우고 차가운 가을의 아침 해가 동쪽에서 떠오르는 것을 깨닫는 광경을 그렸는데이는 앞서 ‘秋雨’ ‘陰氣’와 호응하는 동시에 훗날 그의 인생행로가 험준하리라는 것을 豫示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4.集評

 

○ 退之倔强遷揭陽
退之倔强遷揭陽 韓退之(韓愈)의 奇倔함은 태양도 옮겨 솟게 하니
道經衡山愛靑蒼
道經衡山愛靑蒼 衡山을 지나는 길 그 푸른빛이 사랑스럽네
逸群駿氣不可御
逸群駿氣不可御 무리에서 빼어난 기운 다스릴 수 없는데
頓塵初控靑絲繮
頓塵初控靑絲繮 세상에 내려와 비로소 푸른 말고삐를 잡았네
朝雲偶開豈有意
朝雲偶開豈有意 아침 구름 우연히 걷힌 것 어찌 뜻이 있으랴만
妙意放浪高稱揚
妙意放浪高稱揚 방랑하는 깊은 뜻만은 높이 추어올리네
我生少小善詩律
我生少小善詩律 나 어려서부터 詩律에 능하였는데
讀之坐令身世忘 宋 惠洪〈次韻游南岳〉《石門文字禪》 卷7
讀之坐令身世忘 이 시 읽고 있으니 몸과 세상 잊혀지네
○ 謁衡岳祠 惻怛之忱 正直之操 坡老所謂能開衡山之雲者也 宋 黃震《黃氏日鈔》 卷59
〈謁衡岳祠〉에서의 진심어린 정성정직한 마음가짐이 坡老(蘇軾)의 이른바 ‘衡山의 구름을 능히 개이게 하였다.’는 것이다.
○ 橫空盤硬語 妥帖力排奡 公詩足當此語 淸 沈德潛《唐詩別裁集》 7, 《韓昌黎詩系年集釋》에서 재인용
‘허공을 가로질러 굳센 언어 서려 있으니奡가 힘 있게 배를 밀듯 순조롭다.’고 했는데 韓公의 시가 이 말에 족히 합당하다.
○ 謁衡岳廟遂宿岳寺題門樓 此以對句第五字用平 是阮亭先生所講七言平韻到底之正調也
〈謁衡岳廟遂宿岳寺題門樓〉 이 시는 對句의 다섯 번째 글자에 平聲을 썼으니이는 阮亭先生(王士禎)이 말한바 七言詩로서 平韻到底한 正調라는 것이다.
蓋七古之氣局 至韓蘇而極其致耳
대개 七言古詩의 틀은 韓愈와 蘇軾에 이르러 그 극치를 이루었다.
少陵瘦馬行 平聲一韻到底 尙非極著意之作
少陵(杜甫)의 〈瘦馬行〉은 평성의 한 韻으로 끝까지 관철하였지만 오히려 꼭 그렇게 쓰고자 해서 된 것은 아니다.
此種句句三平正調之作 竟要算昌黎開之 淸 翁方綱《七言詩平仄擧隅》 丁福保《淸詩話》에서 재인용
이처럼 구절구절 三平을 쓴 正調의 작품은 결국 昌黎(韓愈)가 그것을 시작한 셈이다.
○ 莊起陪起 此典重大題 首以議爲敍 中敍中夾寫 意境詞句俱奇創 以下收 凡分三段 淸 方東樹《昭昧詹言》 12, 〈韓公〉
장엄한 首句와 더불어 시작하였다이렇게 무겁고 큰 제목을 걸어놓고 첫머리에서 議論을 서술하고 중간에서 마음속 생각을 묘사하였으니意境과 詩句가 모두 奇倔하고 창의적이다그 이하로는 거두어들였다모두 세 단락으로 나누어진다.
○ 昌黎謁衡岳廟詩 讀去覺其宏肆中有肅穆之氣 細看去却是文從字順 未嘗矜奇好壞 如近人論詩所謂實話也
昌黎(韓愈)의 〈謁衡岳廟〉는 읽어가면서 크고도 거리낌 없이 말하는 가운데 엄숙하고 경건한 기운이 있음을 느낄 수 있으며자세히 보면 도리어 문맥과 措語가 순하여 일찍이 기이한 것을 자랑하고 남다른 것을 좋아한 적이 없으니근래 사람이 시를 논하면서 말한바 ‘實話’와 같은 것이다.
後人遇此種大題目 便以艱澁堆砌爲能 去古日遠矣
후대인들은 이 같은 큰 제목을 대하면 문득 난삽하고 껄끄러운 것을 능한 것으로 여기니古法과의 거리가 날마다 멀어지는 것이다.
侯王將相二句 啓後來東坡一種 蘇出于韓 此類是也
‘侯王將相’ 두 는 후배인 東坡(蘇軾)를 계발시켰으니 소식이 한유에서 비롯한 것은 이러한 류가 그렇다.
然蘇較韓更覺濃秀凌跨 此之謂善于學古
그러나 소식은 한유보다 더욱 깊이 깨달아 그를 능가하였으니이를 일러 學古를 잘한다고 하는 것이다.
不似後人依樣葫蘆 淸 延君壽《老生常談》 郭紹虞《淸詩話續編》에서 재인용
후대인들이 그대로 모방하는 것과는 같지 않다.
○ 退之詩 我能屈曲自世間 安能隨汝巢神山 侯王將相望久絶 神縱欲福難爲功 高心勁氣 千古無兩
退之(韓愈)의 시 ‘나는 세상에서 마음대로 살 수 있으니어찌 너를 따라 신선세계에 살 수 있으랴.[我能屈曲自世間 安能隨汝巢神山]’와 ‘侯王將相望久絶 神縱欲福難爲功’은 그 마음이 高遠하고 기운이 굳세어 천고에 둘도 없는 詩다.
詩者心聲 信不誣也
시인의 마음과 소리는 참으로 속일 수가 없다.
同時惟東野之古骨 可以相亞
동시대인으로는 오직 東野(孟郊)의 古骨이 그에 버금갈 만했다.
故終身推許不遺餘力 雖柳子厚之詩 尙不引爲知己 況東天夢得耶 淸 潘德輿《養一齋詩話》 郭紹虞《淸詩話續編》에서 재인용
그러므로 종신토록 허여함에 餘力을 남기지 않았으니柳子厚(柳宗元)의 시도 오히려 知己라고 끌어들이지 않는데하물며 樂天(白居易)이나 夢得(劉禹錫)에 있어서랴.
○ 七古中此爲第一
七言古詩 가운데 이 시가 제일이다.
後來惟蘇子瞻解得此詩 所以能作海市詩
後代人 가운데 오직 蘇子瞻(蘇軾)만이 이 시를 이해하였고그래서 그의 시 〈海市〉를 지을 수 있었다.
潛心黙禱若有應 豈非正直能感通 曰 若有應 則不必眞有應也
‘潛心黙禱若有應 豈非正直能感通’에서 ‘응함이 있는 듯하다.’라고 말하였으니반드시 실제로 응함이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我公至大至剛 浩然之氣 忽于游嬉中無心現露
韓公은 지극히 크고 굳세어 浩然之氣가 홀연히 유희 중에 無心하게 드러났다.
廟令老人識神意數語 純是諧謔得妙
‘廟令老人識神意’ 몇 마디는 순전히 諧謔으로 妙를 얻었다.
末云 侯王將相望久絶 神縱欲福難爲功 我公富貴不能移 威武不能屈之節操 忽于嬉笑中無心現露
마지막에서 ‘侯王將相望久絶 神縱欲福難爲功’이라고 하였으니韓公은 富貴가 그를 변화시킬 수 없고 威武도 그의 節操를 꺾을 수 없는 사람이라는 것이 홀연히 장난하며 웃는 가운데 無心하게 드러났다.
公志在傳道 上接孟子
의 뜻은 를 전함에 있으니 위로는 孟子에 닿아 있다.
卽原道及此詩可證也
곧 〈原道〉와 이 시가 그것을 증명한다.
文與詩義自各別
과 는 意義가 제각기 다르다.
故公于原道原性諸作 皆正言之以垂敎也
그래서 韓公은 〈原道〉와 〈原性〉 등의 글에서 모두 똑바로 말하여 가르침을 주었다.
而于詩中多諧言之以寫情也
그러나 시에서는 대부분 그것을 익살스럽게 말하여 情을 그려냈다.
卽如此詩 于陰雲暫開 則曰此獨非正直之所感乎
즉 이 시와 같은 경우 어두운 구름이 잠시 걷히니, “이 어찌 정직함이 감응한 바가 아니겠는가.”라고 하였다.
所感僅此 則平日之不能感者多矣
느낀 바가 겨우 이것뿐이라면 평소에 느끼지 못하는 것은 더 많을 것이다.
于廟祝妄禱 則曰我已無志 神晏能富我乎
사당에서 축원하고 함부로 기도하면서는, “나는 이미 뜻이 없으니 神이 나를 어떻게 부귀하게 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神且不能强我 則平日之不能轉移于人可明矣
神 또한 억지로 나를 어떻게 할 수 없다면그가 평소에 사람에 의해서 자신의 소신을 바꾸지 않았다는 것은 분명한 일이다.
然前者托之開雲 後則以謝廟祝 皆跌宕游戱之詞 非正言也
그러나 前者는 걷히는 구름에 의탁을 하였고 後者는 사당에서의 축원에 謝禮하면서 한 것이니모두 跌宕하게 遊戱하면서 한 말이지 똑바로 말한 것은 아니다.
假如作言志詩 示我之正直 可感天地 世之勳名 我所不屑 則膚闊而無味矣
만일 시를 쓰면서 자신의 정직함을 보여주려고 “천지를 감동시켜 세상의 공훈과 명예를 얻는 일을 나는 달가워하지 않는다.”고 했다면 천박하고 거칠어서 맛이 없을 것이다.
讀韓詩與讀韓文逈別 試按之然否 淸 程不恂《韓詩臆說》 錢仲聯《韓昌黎詩文係年集釋》에서 재인용
한유의 를 읽는 것과 한유의 文을 읽는 것은 매우 다르니그런지 그렇지 않은지 한 번 시험해 볼 일이다.
○ 首六句從五岳落到衡岳 步驟從容
처음 6句는 五岳으로부터 衡岳으로 내려갔으니 흐름이 여유가 있다.
是典制題開場大局面 領起游意
이것은 詩題에 의거하여 大局面을 연 것으로써 첫머리에서 유람의 뜻을 드러낸 것이다.
我來正逢十二句 是登衡岳至廟寫景
‘我來正逢’ 12句는 형악에 올라 사당에 이르기까지 경치를 묘사하였다.
升堦傴僂六句敍事
‘升堦傴僂’ 6句는 사실을 기술하였다.
竄逐蠻荒四句寫懷
‘竄逐蠻荒’ 4句는 감회를 적었다.
夜投佛寺四句結宿意
‘夜投佛寺’ 4句는 투숙하려는 뜻으로 결말을 지었다.
精警處在寫懷四句
가장 중요한 警戒는 감회를 적은 네 句에 있다.
明哲保身 是聖賢學問 隱然有敬鬼神而遠之意
明哲保身은 聖賢의 학문으로 은연중에 鬼神을 공경하면서도 그를 멀리하는 뜻을 갖고 있다.
廟令老人 目爲尋常游客 寧非淺視韓公 淸 汪佑南《山經草堂詩話》 錢仲聯《韓昌黎詩文係年集釋》에서 재인용
사당의 노인이 尋常한 游客으로 여겼다면 어찌 韓公을 얕본 것이 아니겠는가.

 

 

 

5.譯註

 

▶ 衡嶽廟 : ‘衡嶽’은 곧 衡山을 말하며 南嶽이라고도 지칭한다. ‘衡嶽廟’는 지금 湖南省 衡山縣 서쪽 30리에 있다.
▶ 五嶽祭秩皆三公 五嶽은 東嶽인 泰山南嶽인 衡山西嶽인 華山北嶽인 恒山中嶽인 嵩山을 말한다. ‘祭秩’은 제사지낼 때의 등급이다《禮記》 〈王制〉에, “天子는 천하의 명산대천에 제사를 지내니五嶽에 지내는 제사는 三公에 비한다.[天子祭天下名川大山 五嶽視三公]”고 하였다나라 때는 太師太傅太保를 三公이라 하였고西漢 때에는 大司馬大司徒大司空을 삼공으로 삼았는데후대에 三公은 조정의 최고 관직의 통칭이 되었다여기서는 三公의 의 등급으로써 五嶽을 제사지낸다는 의미이다.
▶ 四方環鎭嵩當中 은 곧 嵩山이며河南省 登封縣 북쪽에 있다《史記》 〈封禪書〉에, “옛날 三代의 임금들은 모두 河水와 洛水의 사이에 있었다그러므로 嵩山을 中嶽으로 하고 四岳은 각각 그 방향대로 하였다.[昔三代之君 皆在河洛之間 故嵩高爲中嶽 而四岳各如其方]”고 되어 있다.
▶ 火維 고대에는 水‧火‧木‧金‧土를 五行이라 부르고 東‧南‧西‧北‧中央 五方에 그것을 分屬시켰다南方이 에 속하므로 火維는 곧 남방을 가리킨다는 隅‧邊과 같은 뜻이다.
▶ 神 嶽神이다.
▶ 半腹 산허리를 말한다.
▶ 豈非正直能感通 이 구절은 어찌 정직한 神明이 나의 소원을 들어준 것이 아니겠는가.”라고 풀이하기도 한다.
▶ 紫蓋連延接天柱 石廩騰擲堆祝融 衡山 72峰 중에 祝融紫蓋雲密石廩天柱 다섯 봉우리가 가장 높다.
▶ 靈宮 神殿으로 여기서는 衡嶽廟를 가리킨다.
▶ 鬼物圖畫 사당 안의 벽에 그려진 神鬼의 그림을 지칭한다.
▶ 傴僂 등이 굽은 것을 말한다.
▶ 廟內 : ‘廟令’이라고 되어 있는 本도 있다《新唐書》 〈百官志〉에, “五岳과 四瀆은 令이 각각 한 사람씩 있는데정 9품 이상이고 제사를 담당한다.[五岳四瀆 令各一人 正九品上 掌祭祀]”고 하였다.
▶ 盃珓 玉으로 만들었으며 길흉을 점치는 기구이다宋 程大昌의 《演繁露》에 이르기를, “神에게 점을 쳐서 묻는데 杯珓라는 기구가 있다두 쪽의 조개껍질을 허공에 던지고 땅에 던져 그것의 엎어지고 젖혀진 모습을 보고서 길흉을 판단한다후대의 사람들은 혹 대나무로혹은 그냥 나무를 조개 모양처럼 깎아 만들어 중간을 두 개로 나누고 역시 杯珓라고 이름하였다.[問卜於神 有器名杯珓 以兩蚌殼投空擲地 觀其俯仰 以斷休咎 後人或以竹 或以木 斲如蛤形 而中分爲二 亦名杯珓]”고 하였다.
▶ 竄逐蠻荒 貞元 19년(803)에 한유가 陽山縣令으로 貶謫된 일을 가리킨다.
▶ 朣朦 朣朧 또는 曈曨으로 되어 있는 本도 있다星月의 빛이 희미함을 말한다.
▶ 奡가……순조롭다 는 힘이 세서 陸地에서도 배를 끌었다는 壯士의 이름이다이는 한유의 시 〈薦士〉의 한 구절로孟郊의 詩體를 형용한 말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