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64.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 幷序(관공손대랑제자무검기행 병서)-杜甫(두보)

耽古樓主 2023. 11. 5. 08:14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 幷序(공손대랑의 제자가 검기무 추는 것을 보고 병서)
-杜甫(두보)

 

大曆二年十月十九日 蘷府別駕元持宅 見臨潁李十二娘舞劍器 壯其蔚跂 問其所師 曰余公孫大娘弟子也.
大曆 2년 10월 19일 夔州府 別駕 元持댁에서 臨潁人 李十二娘의 검기무를 보고 그 빛나고 호탕한 모습이 훌륭하다고 생각해 그 스승을 물으니, “저는 공손대랑의 제자입니다.”라고 하였다.

開元三載 余尙童穉 記於郾城觀公孫氏舞劍器渾脫 瀏灕頓挫 獨出冠時.
개원 3년 내가 아직 어렸을 때郾城에서 공손씨가 검기혼탈무를 추는 걸 본 기억이 있는데활발한 변화가 끝이 없어 당시에 홀로 으뜸이었다.

自高頭宜春梨園二伎坊內人 洎外供奉 曉是舞者 聖文神武皇帝初 公孫一人而已.
황제 앞에서 춤추던 宜春園梨園 두 敎坊 나인에서부터 外供奉에 이르기까지 이 춤을 알고 있는 사람은 현종 초까지 공손씨 한 사람뿐이었다.

玉貌錦衣 況余白首.
옥같은 얼굴에 비단 옷 입은 공손씨도 사라져 버렸는데 하물며 내 흰머리 나는 것이야.

今茲弟子 亦匪盛顔.
지금 이 제자 또한 한창 때 얼굴은 아니다.

旣辨其由來 知波瀾莫二.
이 제자의 유래를 알고 나니 그 변화 가득한 춤이 스승의 춤과 다르지 않음을 알겠다.

撫事慷慨 聊爲劍器行.
옛일을 더듬으며 슬퍼하면서 애오라지 검기행을 쓴다.

昔者吳人張旭 善草書書帖 數嘗於鄴縣 見公孫大娘舞西河劍器.
예전에 吳人 장욱이 서첩에 草書를 잘 썼는데자주 鄴縣에서 공손대랑이 西河劍器舞 추는 걸 보았다.
自此草書長進 豪蕩感激 卽公孫可知矣.
이로부터 초서가 크게 진척되어 호방하고 激蕩하게 되었으니공손씨 춤이 어떠한지 알 수 있을 것이다!

昔有佳人公孫氏 一舞劍器動四方.
옛날에 佳人 공손씨 있어,
한번 검기무를 추면 사방을 진동시켰지.

觀者如山色沮喪 天地爲之久低昂.
보는 이들 산처럼 모여 얼굴색이 변하고천지도 이로 인해 출렁이는 듯.

㸌如羿射九日落 矯如群帝驂龍翔.
빛나기는 羿가 해 아홉을 쏘아 떨어뜨리듯힘차기는 여러 천제가 용을 타고 날 듯.

來如雷霆收震怒 罷如江海凝淸光.
나올 때는 천둥소리가 진노를 거둬들이듯물러날 때는 강과 바다에 맑은 빛 엉기는 듯하였지.

絳唇珠袖兩寂寞 晩有弟子傳芬芳.
붉은 입술 주옥 같은 소매 모두 적막해졌는데늦게 둔 제자가 그 아름다움 전하여,

臨潁美人在白帝 妙舞此曲神揚揚.
臨潁의 미인이 백제성에서,이 곡을 절묘하게 춤추니 神彩 너울거린다.

與余問答旣有以 感時撫事增惋傷.
나와 묻고 답해 보니 이미 연유 있었던 것시절을 느끼며 옛 일 더듬어보니 서글픔만 더해진다.

先帝侍女八千人 公孫劍器初第一.
先帝의 시녀 팔천 명에공손씨 검기무가 처음부터 으뜸이었지.

五十年間似反掌 風塵澒洞昏王室.
오십년 사이에 손바닥 뒤집듯 세월이 빨라끝없는 바람 먼지 왕실 어둡게 하였기에.

梨園弟子散如煙 女樂餘姿映寒日.
이원의 제자들 연기처럼 흩어지고女樂의 남은 자태만 차가운 해에 비친다.

金粟堆前木已拱 瞿塘石城草蕭瑟.
금속퇴 앞에 나무는 이미 한 아름이나 되고구당협 석성에 풀은 쓸쓸하기만.

玳筵急管曲復終 樂極哀來月東出.
성대한 술자리 빠른 피리소리 노래조차 끝나니즐거움 다하고 슬픔이 와 달 동쪽에 떠오르네.

老夫不知其所往 足繭荒山轉愁疾.
이 늙은이 갈 곳 모르고굳은살 박힌 발로 가야 할 황량한 산야 수심만 도리어 빠르구나.

 
 

2.通釋

 

옛날에 아름다운 사람 공손씨는 한 번 검기무를 추면 온 사방을 놀라게 할 정도여서 그의 춤을 보려는 사람들이 산처럼 많이 모여 춤을 보고는 깜짝 놀라 失色할 정도였고 그의 춤 동작은 하늘로 오르고 땅으로 내리며 움직여 마치 하늘과 땅이 그를 따라 움직이는 것 같았다.
칼을 번쩍 빛내며 춤추는 모습은 예가 해 아홉개를 쏘아 떨어뜨리는 듯 했고 힘차게 솟구치며 날래게 춤추는 동작은 여러 천제가 용을 타고 나는 듯 했으며 춤이 시작되어 나올 때는 요란한 북소리가 잦아들어 마치 천둥우레가 진노한 소리를 거둬들이는 듯했고 음악이 멈춰 춤을 마치며 정지한 모습은 강과 바다에 맑은 빛이 서리는 듯했다.
붉은 입술의 아름다운 얼굴과 주옥같은 화려한 복장의 그 모습 이제는 모두 세상을 떠나 적막해졌는데 늦게나마 제자를 두어 그 제자가 아름다운 춤을 전할 수 있었다臨潁 출신의 이 아리따운 제자가 백제성에서 이 곡에 맞춰 절묘하게 춤추니 신령스러운 운치가 너울거려 눈에 보이는 것 같다.
내가 그 사람에게 물어 대답을 듣고 나니 그 師承關係를 알게 되었다하여 지금의 시국을 생각하고 옛 일 더듬어보니 서글픈 느낌만 더해질 뿐이다.
돌아가신 현종의 시녀 팔천 명 가운데 공손씨의 검기무가 처음부터 본래 으뜸이었다.
내가 처음 춤을 본 시기에서 선제께서 돌아가고 난 후 지금까지 오십년 사이에 손바닥 뒤집듯 세월은 빨리 가서 난리가 끝없는 먼지바람처럼 일어나 왕실은 衰落하고 말았다.
전란 속에 이원자제들은 연기처럼 다 흩어졌는데 이 춤추는 여자에게 번영했던 시대의 자취가 남아 초겨울 차가운 해에 어른거린다.
선제의 능금속퇴 앞의 나무는 돌아가신지 5년이 지나 이미 두 줌이나 되고 백제성 이곳 구당협 가까이 있는 석성에는 황량하게 풀들만 자란다.
성대한 술자리며 빠른 피리소리 곡조가 다 끝나자 잔치의 즐거움 다 사라지고 자신에 대한 서글픔과 국가의 盛衰에 대한 슬픔이 생겨나는데 그때 마침 달이 동쪽에 떠오른다.
이 늙은 몸은 어디로 가야할 지 모르고 있는데 굳은 살 박힌 발로는 황량한 산야를 더디 갈 수 밖에 없건만 도리어 수심만 빠르게 생겨난다.

 
 

3.解題

 

이 시는 大曆 2년 (767) 두보 나이 56세 때 蘷州(지금의 四川省)에서 지은 작품이다.
이때는 安史의 난이 평정되기는 하였으나 정세는 아직도 불안해서 河北 지방은 安史의 잔당들이 점거하고 있었고 河西와 隴右 지방은 吐藩에 함락되어 장안이 위협을 받을 정도였다.
이 시기에 시인은 西南 지방을 오래 떠돌면서 艱難辛苦를 겪고 있을 때였다이런 상황에서 시인은 李十二娘의 검기무를 보게 된다회상을 금할 수 없어 공손대랑의 춤추는 자태를 기억하게 되고현종황제 때의 성세를 연상하며 또한 지금 자신의 노년까지 생각하게 된다.
시는 네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단락 여덟 구는 공손대랑의 춤추는 자태를 묘사하였다특히 제5구부터 제8구까지 춤을 묘사한 부분은 혹 ‘四如句’라 일컬어지기도 하는데 주석가들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그 이유는 劍器가 칼을 가지고 추느냐 아니냐에서 생긴다앞서 말한 대로 여기서는 칼을 가지고 추는 것으로 보았다.
둘째 단락 여섯 구는 적막감과 아울러 그 여자의 제자가 기예를 계승한 것을 묘사했는데 ‘妙舞’구절은 춤추는 모습을 형용했고, ‘感時’구절은 마지막 단락의 감상을 끌어오고 있다.
셋째 단락은 오십년 간의 변화현종이 이미 세상을 뜨고 이원자제도 벌써 흩어져 버렸음을 묘사하였으며마지막 단락의 여섯 구는 침울한 감개로 마무리하고 있다.
이 시는 서문에서 말한 대로 활발하고 변화무쌍한[瀏灕頓挫氣勢와 호방하고 격렬한[豪蕩感激감정을 갖도록 하는 力量이 충전된 작품이다.
두보의 散文이 남아 있지 않아 볼 기회가 없는데 이 시에는 이 있어 두보의 散文을 볼 수 있다보통 두보는, “詩로 文을 쓰고[以詩爲文]” 한유는, “文으로 詩를 쓴다.[以文爲詩]”고 말한다이 서문은 그러한 말의 예증이 된다주어와 허사는 태반이 생략되어 있고 감정이 굴절하는 곳에서는 문장이 비약할 뿐 아니라 자유로운 필법을 구사하고 있다그러면서도 내용이 분명해 詩意가 집약되어 있는 곳이다.

 

 

 

4.集評

 

○ 杜甫公孫大娘舞劍器歌 來如雷霆收震怒 罷如江海凝淸光
두보의 〈公孫大娘舞劍器歌〉에, ‘나올 때는 천둥소리가 진노를 거둬들이듯강과 바다에 맑은 빛 엉기듯’이라고 하였는데,
此只形容其人之神彩從容 謂其始氣像威武 其終精神凝遠也
이는 단지 그 사람의 神彩가 종용함을 형용한 것으로처음에는 기상이 위엄있고 씩씩하며 나중에는 정신이 嚴正하고 深遠함을 이른 것이다.
劍器武舞之曲名 其舞用女妓雄妝 空手而舞 非用刀劍也
劍器는 武舞의 曲이름인데그 춤은 女妓를 雄傑하게 단장시켜 空手로 춤추게 하는 것이요 刀劍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文獻通考劍器恐指受劍之物 謂空手也
《文獻通考》에, “검기란 아마도 칼을 받아들이는 물건을 가리킨 듯하다.” 하였으니 空手를 이른다.
杜又云妙舞 此曲可見 朝鮮 李翼《星湖僿說》 〈詩文門‧舞劍器〉
두보 역시 ‘묘한 춤[妙舞]’이라 하였으니 이 곡을 알 수 있다.
○ 來如雷霆收震怒 雷霆震怒 轟然之後 累累遠馳 赫有餘怒
‘나올 때는 천둥소리가 진노를 거둬들이는 듯’이라는 시 구절은 천둥우레가 진노하듯 울리면서 우르릉 울린 뒤에도 소리가 계속 멀리까지 달려가므로 뚜렷이 남는 진동이 있다.
故知收字之妙
그러므로 ‘거둬들인다[收]’는 글자의 묘함을 알 수 있다.
若轟然一聲 闋然而止 雖震怒不爲奇也
만약 우르릉하는 소리가 조용히 끝나 멈춰버렸다면 진노했다해도 기이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罷如江海凝淸光 鍾云 此一語獨妙 信然
‘물러날 때는 강과 바다에 맑은 빛 서리는 듯’이라는 시구를 두고 鍾惺(明代의 작가)은 “이 말이 유독 묘하다.”고 했는데 참으로 그렇다.
鍾總評題是公孫大娘弟子 而序與詩 情事俱屬公孫氏 便自穆然深思
종성은 총평하면서, “제목은 公孫大娘의 弟子이지만 서문과 시에는 감정과 일이 모두 公孫氏에게 속하니 저절로 깊은 생각에 조용히 잠기게 된다.”고 하였다.
余謂未盡也 不知情事俱屬玄宗
나는 이것으로는 미진하다고 생각하니그는 감정과 일이 모두 현종에게 속한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
故序云 撫事慷慨 聊爲劍器行 知其意不在劍器也
그러므로 서문에, “옛일을 더듬으며 슬퍼하면서 애오라지 검기행을 쓴다.”고 했으니 그 뜻이 劍器에 있지 않다는 것을 알겠다.
詩云 感時撫事增惋傷 則五十年間似反掌數句 乃其賦詩本旨
시에 ‘시절을 느끼며 일 더듬어보니 서글픔만 더해진다.’고 하였으니바로 ‘오십년 사이에 손바닥 뒤집듯 세월이 빠르다.’는 몇 구절이 바로 시를 지은 本旨이다.
足繭荒山 從此而來 尤使人穆然深思 明 王嗣奭《杜臆》 卷9
‘굳은 살 박힌 발로 가야 할 황량한 산야’ 여기서부터는 사람을 더욱 조용히 깊은 생각에 잠기게 한다.
○ 序從弟子逆推至公孫 詩從公孫順拖出弟子
서문에서는 제자로부터 거꾸로 올라가 공손씨에 이르렀고시에서는 공손씨로부터 순서에 따라 제자를 나타냈다.
首八句 先寫公孫劍器之妙 忽然而伏 忽然而起 狀其舞姿也
첫 여덟 구는 먼저 공손씨의 검기가 묘하다는 것을 묘사하면서 홀연 잠복했다가 홀연 일어나 그 춤추는 자세를 형상화했다.
忽然而來 忽然而罷 總始末而形容也
홀연히 시작했다가 홀연히 마치면서 시작과 끝을 총괄해서 형용한 것이다.
有末句 益顯上三句之騰踔 有上三句 尤難末句之安閑
末句가 있기 때문에 바로 위 세 구의 역동적인 동작이 더욱 드러나며위의 세 구가 있기 때문에 末句가 안이하고 한가롭게 되기가 더욱 어렵다.
序所謂蔚跂者正如此
서문에서 말한 ‘빛나고 호탕한 모습’이 바로 이와 같은 것이다.
絳唇六句 落到李娘 如篇中敍事處
‘붉은 입술’ 여섯 구는 李娘만 따로 떨어져 있어 마치 시 가운데 敍事를 한 것 같다.
舞之妙 已就公孫詳寫 此只以神揚揚三字括之 可識虛實互用之法
춤의 묘함에 대해서는 이미 공손씨에서 상세하게 묘사했으므로 여기서는 다만 ‘신령스러움 너울거린다.[神揚揚]’라는 세 글자만으로 포괄하였으니 虛實을 번갈아 쓰는 법을 알 수 있다.
感時撫事句 逗出作詩本旨
‘시절을 느끼며 일 더듬어보니’라는 구절에서 시를 쓴 本旨를 드러내 보인다.
先帝六句 往事之慨 此本旨也
‘先帝’ 여섯 구는 지나간 일을 감개하고 있는데 이것이 本旨이다.
言公孫而統及女樂 言女樂 卽是感深先帝
공손씨를 언급하면서 총체적으로 女樂에까지 미치고 女樂을 언급하면서 바로 先帝를 깊이 느낀다.
故下段竟以金粟堆作轉接 此下正寫惋傷之情
그러므로 아래 단락에서 마침내 ‘金粟堆’라는 말로 전환이 생기는데 이 이하는 바로 가슴 아픈 감정을 쓰고 있다.
一句着先帝 一句收歸本身
한 구절은 先帝에 부치고 한 구절은 자기 자신에게로 수렴해 돌아온다.
玳筵 哀樂 幷帶別駕宅
‘성대한 술자리’ ‘슬픔과 즐거움’이란 말은 別駕宅을 아울러 가리키기도 한다.
結二語 所謂對此茫茫 百端交集
마지막 두 구절은 이른바 ‘이를 대하니 망망해져서 온갖 실마리가 엇갈려 모여든다.[對此茫茫 百端交集]’는 것이다.
行失其所往 止失其所居 作者讀者 俱欲噭然一哭 淸 浦起龍《讀杜心解》
떠나려하니 갈 곳을 잃었고 머무르려 하나 살 곳을 잃었으니 작자나 독자나 모두 소리 내어 한바탕 울고 싶도록 한다.

 

 

 

5.譯註

 

▶ 公孫大娘 開元 연간 劍器渾脫舞를 잘 추기로 유명했던 여자다그에 대한 기록이 《明皇雜錄》에, “이때 공손대랑은 칼춤을 잘 추어 鄕里曲 및 裵將軍滿堂勢西河劍器渾脫을 잘 했는데 춤추는 기예가 아름답고 묘해 모두 이 시대의 으뜸이었다.[時有公孫大娘者 善劍舞 能爲鄰里曲及裵將軍滿堂勢 西河劍器渾脫 舞藝姸妙 皆冠絶於時]”고 전한다.
▶ 蘷府別駕元持宅 : ‘蘷府’는 蘷州府로 지금의 四川省이다府廳 소재지는 奉節에 있었다. ‘別駕’는 관직명으로 刺史의 보좌직이다. ‘元持’는 기주부 별가를 맡고 있던 사람인데 生平은 未詳이다.
▶ 臨潁李十二娘 臨潁사람으로 공손대랑의 제자다臨潁은 河南省 臨潁縣을 말한다.
▶ 劍器 健舞 곡명의 일종으로 서역에서 전해진 武舞이다나라 敎坊樂舞에는 춤추는 자세가 剛健하고 많은 현악기와 빠른 관악을 사용하는 健舞와 이와 상대되는 軟舞가 있었다건무에는 劍器‧稜大‧胡旋 등이 있고연무에는 涼州‧綠腰‧甘州 등이 있다劍器에 대한 기록은 《文獻通考》 〈舞部〉에, “고대 武舞의 曲名으로 이 춤은 여자 기생이 성대하게 화장을 하고 빈손으로 춘다.[古武舞之曲名 其舞用女妓雄妝 空手而舞]”라고 하였다.
▶ 蔚跂 웅건하고 호탕한 모양을 말한다.
▶ 開元三載 《全唐詩》 注에, “다른 본에는 5년으로 되어 있다.[一作五年]”고 하였는데개원 5년이면 두보가 5살 때이다.
▶ 郾城 지금 河南省 臨潁縣 남쪽의 郾城縣을 말한다두보가 어렸을 때 여기 산 적이 있다臨潁과 함께 郾城은 당나라 때 모두 許州에 속했다.
▶ 公孫氏 여기서는 公孫大娘을 가리킨다.
▶ 劍器渾脫 武舞의 일종으로 唐代에 유행하던 渾脫舞와 劍器舞가 융합되어 새롭게 만들어진 武舞를 말한다혹자는 劍器와 渾脫을 각각 다른 춤으로 보기도 한다.
▶ 瀏灕 춤추는 자태가 활발한 모양을 형용한 것이다.
▶ 高頭 : ‘前頭‘를 가리키는 말인 듯하다항상 황제 앞에서 춤추고 노래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 宜春梨園 옛 터가 지금의 陝西省 長安縣에 있다宜春園은 당 현종 때 歌舞에 종사하는 궁녀들이 있던 곳이다현종이 직접 才人들을 가르치던 곳은 梨園이라 하고 여기에 속한 藝人들을 梨園弟子라 하였다梨園弟子 가운데는 궁녀 數百人은 宜春園에 살았다고 한다.
▶ 伎坊內人 伎坊은 敎坊을 말하며 노래와 춤을 가르치던 곳이다妓女가 宜春園에 들어오면 內人(나인혹은 前頭人이라 불렀다.
▶ 外供奉 궁전 밖에 살면서 일이 있을 때마다 궁전에 들어와 재주를 보여줬던 남녀 藝人들을 말한다.
▶ 聖文神武皇帝 聖文神武는 현종의 尊號를 말한다.
▶ 波瀾 여기서 波瀾은 춤추는 자태와 변화의 法度를 가리킨다.
▶ 張旭 蘇州人으로 당나라 때 유명한 草書의 名人이다는 伯高로 ‘草聖’으로 불렸다머리에 먹을 적셔 글씨를 쓰기도 해서 세상에서는 張顚이라 불렀다顚은 미치광이라는 뜻이다.
▶ 鄴縣 지금의 河南省 臨潁縣 서남쪽의 安陽縣을 가리킨다.
▶ 西河劍器 劍器舞의 일종이다.
▶ 沮喪 낯빛이 변하는 것으로 솜씨가 기특하고 비범해 놀랐다는 뜻이다.
▶ 㸌如羿射九日落 은 번쩍 빛나는 모양으로 劍光을 가리킨다羿는 后羿를 말한다고대 전설에요임금 때 해 열 개가 함께 떠 곡식을 태우고 초목이 죽자 요임금이 활을 잘 쏘는 예에게 해를 쏘아 없애게 하니예가 아홉 개를 쏘아 떨어뜨렸다고 한다《淮南子》 〈本經訓〉에 보인다.
▶ 來如雷霆收震怒 劍舞를 시작하는 모습을 형용한 것으로 크게 음악이 시작되고 나서 조금씩 음악소리가 잦아들 때 격렬하게 춤을 시작하므로 이렇게 표현하였다.
▶ 罷如江海凝淸光 춤을 마칠 때의 모습으로음악이 끝나고 동작을 멈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 絳唇珠袖兩寂寞 : ‘絳唇’은 공손대랑의 美貌를, ‘珠袖’는 공손대랑의 춤추는 모습을 나타낸다. ‘兩寂寞’의 은 絳唇과 珠袖를 가리키고 ‘寂寞’은 공손대랑이 죽고 없어 그 모습도 춤도 볼 수 없어 적막하다 한 것이다.
▶ 芬芳 원뜻은 짙은 향기고운 향기를 말하나 여기서는 공손대랑의 뛰어난 예술을 가리킨다.
▶ 臨潁美人在白帝 臨潁美人은 공손대랑의 제자인 李十二娘을 가리킨다白帝는 지명으로 지금 四川省 奉節縣 동쪽의 白帝山이다蘷州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 先帝 당 현종을 가리킨다.
▶ 五十年間 당 현종 開元 5년(717) 두보가 처음 춤을 보았을 때부터 지금 두보가 이 시를 쓰는 代宗 大曆 2년(767) 사이를 말한다.
▶ 澒洞 : ‘傾動’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끝없이 이어지는 모양을 말한다.
▶ 女樂餘姿映寒日 : ‘女樂’은 李十二娘을 가리킨다. ‘餘姿’는 李十二娘의 춤에 개원 연간 盛世의 모습이 남아 있음을 말하고 있다. ‘寒日’은 이 시가 씌어진 10월초겨울을 나타내지만 해 저물어 갈 곳 없는 고단함을 암시하고 있다.
▶ 金粟堆前木已拱 : ‘金粟堆’는 현종의 泰陵이 있는 金粟山으로 지금 陝西省 蒲城의 동북쪽이다. ‘木已拱’라 한 것은 당 현종이 세상을 떠난 때가 대종 보응 원년(762)이니이미 5년이 지났기 때문에 이렇게 표현하였다. ‘拱’은 양손으로 합쳐 잡을 수 있는 굵기를 말한다.
▶ 瞿塘石城 지명으로 蘷州를 가리킨다蘷州가 瞿塘峽에 가깝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石城’은 白帝山에 있는 白帝城을 가리킨다.
▶ 玳筵 瓊筵(호화로운 宴席)과 같다.
▶ 樂極哀來 일반적인 서술이 아니라 ‘樂’은 연회의 歌舞가 사람을 즐겁게 해줌을, ‘哀’는 자신의 영락한 신세와 국가의 盛衰가 슬픔을 낳는 것을 말한다.
▶ 老夫 작자 두보의 겸칭이다.
▶ 足繭荒山轉愁疾 : ‘足繭’은 발바닥에 생긴 굳은살이다청나라 仇兆鰲는 《杜詩詳註》에서 이 구절을 두고, “발에 굳은살이 박혀 갈 길 더딘데 도리어 근심은 가장 빠르다길 떠나려는데 차마 떠날 수가 없다.[足繭行遲 反愁太疾 臨去而不忍其去也]”라고 하였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