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300수

237〈送靈澈〉〈영철을 보내며〉-劉長卿(유장경)

耽古樓主 2023. 12. 13. 22:30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237〈送靈澈〉〈영철을 보내며〉-劉長卿(유장경)

 

蒼蒼竹林寺 杳杳鐘聲晩.
짙푸른 죽림사 아련한 저물녘의 종소리.

荷笠帶斜陽 靑山獨歸遠.
연잎 삿갓에 비낀 석양을 받으며 저 멀리 청산으로 홀로 간다.

 
 

2.通釋

 

짙푸른 숲속에 죽림사가 보이고묘연한 저녘 기운 속에 절의 종소리가 들리는데연잎 삿갓을 쓰고 비낀 석양빛을 받으며그대는 머나먼 청산으로 홀로 떠나간다.

 
 

3.解題

 

승려와 이별하며 준 증별시이다.
앞의 두 구에서는 송별의 시간과 공간을 묘사하고뒤의 두 구에서는 먼 길을 떠나는 선승의 모습을 묘사하였다.
특히 산중의 蒼茫한 暮景을 통해 석별의 정을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言外之意’를 느끼게 한다.
‘蒼蒼’, ‘杳杳’는 고즈넉한 이별의 정취를 드러내며, ‘荷笠’, ‘斜陽’, ‘靑山’ 등은 초탈한 승려의 면모를 느끼게 한다.
특히 ‘獨’ 한 글자는 수도승의 정취는 물론 이별의 정서를 더욱 고조시킨다.
이로 인하여 ‘詩中有畫’ 또는 ‘景卽情’의 경지를 이루었다는 평을 받는다.

 

 

 

4.集評

 

○ 晩則鳴鐘 日斜而別 鐘鳴而未至者 山遠故也 明 唐汝詢《唐詩解》 卷23
날이 저물면 종이 울리고 해가 기울어 이별을 하는데종소리가 울려도 도착하지 못한 것은 산이 멀기 때문이다.

○ 四句純是寫景 而山寺僧歸 饒有瀟灑出塵之致 高僧神態 涌現豪端 眞詩中有畫也 現代 兪陛雲《詩境淺說》
네 구가 순전히 만을 묘사하고 있지만 山寺로 승려가 돌아감에 시원스럽게 속세를 벗어난 운치가 넘친다.
고승의 정신과 모습이 붓끝에서 솟아나니 진실로 詩中有畫라 할 수 있다.

 

 

 

5.譯註

 

▶ 送靈澈 靈澈(?~816)은 당시 유명한 詩僧으로俗姓은 湯이고는 源澄이며會稽(지금의 浙江省 紹興縣사람이다.
저서로 《律宗引源》 21권이 있다.
당시 皎然과 교유하였으며劉長卿을 비롯하여劉禹錫呂溫交 등과 창수한 시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全唐詩》에 그의 시 1권이 전한다.
제목이 〈送靈澈上人〉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는데, ‘上人’은 중의 존칭이다.
▶ 蒼蒼 짙은 푸른색이나 색이 바랜 회백색을 뜻하는데주로 하늘 또는 무성하거나 無量無邊한 모습을 형용하는 데 쓴다.
여기서는 죽림사와 그 주변 숲의 경관을 묘사한 말이다.
▶ 竹林寺 鶴林寺라고도 칭한다.
지금의 江蘇省 鎭江市 남쪽 黃鶴山 아래에 있다.
▶ 杳杳 어둡거나 깊은 모양을 형용하기도 하며 분명하게 인식하거나 표현할 수 없는 묘연함을 지칭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하늘 끝에 펼쳐진 석양을 형용하였다.
▶ 靑山獨歸遠 멀리 청산으로 홀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靑山’과 ‘獨歸’가 도치되어 있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