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한문의 기초8-까다로운 文型 본문

한자 한문 공부/한문의 기초

한문의 기초8-까다로운 文型

耽古樓主 2025. 1. 6. 18:49

 

 

까다로운 文型

 

아래는 우리가 한문 문장 패턴 중에서 익숙해지기 어렵거나 이해하기 까다로운 것을 단순히 예시로만 묶은 것이다.

아래에서 爲자는 동사를, 如자는 형용사를, 數자는 숫자를, 甲、乙자 등은 명사를 나타낸 것이다.

다만 그 문형에서 동사 자리에 자주 대표적으로 쓰이는 한자는 爲자를 대신하고, 명사 자리에 자주 쓰이는 한자는 甲、乙자 등을 대신하여 쓰기도 했다.

 

 

爲-甲    (갑이 -하다)

 

+雨.(비가 내리다)

+.(꽃이 피다)

+光.(빛이 나다)

 

 (甲)-如-爲(如) ((갑은) -할 때(-해서) -하다)

 

凡人達+驕, 窮+鄙.(범인은 잘 나갈 때는 교만하고, 궁할 때는 비루해진다.)

+不學, 長+無得.(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자라서 얻을 것이 없다.)

臨難+失義.(어려움에 임해서도 의를 잃지 마라.)

 

甲-如-者 (갑 중에 -한 자가(것이) -하다)

 

++求僥倖者也.(사람 중에 요행을 노리는 자가 많다.)

++一月不食而活者矣.(사람 중에 한 달을 안 먹고 살아남는 자는 드물다.)

馬之++一日千里者焉.(말 중에는 하루에 천리를 가는 것이 있다.)

 

 

 甲-爲(如)=如 (갑이 -함이 어떠하다(어떠하게 -하다))  

 

+愛子+大也.(어미가 자식을 아낌이 크다. 어미가 자식을 크게 아낀다.)

+擧足+高也.(임금이 발을 듦이 높다)

+害果樹+不少.(새가 과수에 해를 끼침이 적지 않다.)

+去故鄕+久矣.(내가 고향을 떠난 지가 오래되었다.)

+大於瞳孔+明矣.(눈이 눈동자보다 큼은 분명하다)

+非汝+必也.(내가 네가 아닌 것은 틀림없다.)

+聰人+遠也.(개가 사람보다 귀가 밝음이 월등하다. 개가 월등히 사람보다 귀가 밝다.)

 

 甲-爲=數 (갑이 -를 한 것이(지가) 얼마이다)

 

先生+斷食+二十日.(선생이 단식한 지가 20일이다.)

大師+黙言+三年.(대사는 3년 동안 묵언했다)

 

甲-如-乙 (갑은(-에는) 을이 -하다)

 

++目.(토끼는 눈이 빨갛다)

++脚.(소는 다리가 짧다)

我國++松.(우리나라에는 소나무가 많다)

 

 

甲-有(無)-乙 (갑엔(-) 을이 있다(없다))

 

白頭山++天池也.(백두산에 천지가 있다)

濟州道++鐵道.(제주도에는 철도가 없다)

致富++道也.(부를 이루는 데에 방법이 있다)

 

 甲-乙-如(爲)-如(爲(갑이 -하고을이 -하다)

 

+++黃.(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다)

東海+白頭++耗.(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다. 동해물이 마르고, 백두산이 닳다)

 

甲-乙-爲 (甲이 을 -하다)

 

+草之+食也.(소는 풀을 먹는다)

凡夫+唯利是+從也.(범부는 오로지 이익을 좇는다)

君子++亦好, ++亦不好.(군자도 부를 또한 좋아하고, 가난함을 또한 좋아하지 않는다)

 

甲-爲 (갑은(-) -하다)

 

成敗+未可知.(성패는 알 수가 없다)

+不可近, +不可遠.(재물은 가까이 해서도 안 되고 멀리 해서도 안 된다)

不意之利+不取.(뜻밖의 이익은 취하지 않는다)

+嘗而不食.(국은 맛만 보고 먹지는 않는다)

+任(於天).(결과는 하늘에 맡긴다)

(君子)强者+不屈.((군자는) 강자에게 굽히지 않는다)

 

甲=乙-爲 (갑은(-에는) 을이 -하다)

 

生鮮++好也.(생선은 고양이가 좋아한다)

美女++皆所欲也.(미녀는 남자가 모두 원하는 바이다)

積善之家++至也.(선을 쌓은 집안에는 복이 온다)

+蜂蝶+集矣.(꽃에는 벌, 나비가 모인다)

 

 甲-所爲=乙 (갑이 -한 을)

 

+所有+餠, (大乎吾餠).(남이 가진 떡이 (내 것보다 크다))

+所服之+衣, (弟再服之).(형이 입던 옷을 (아우가 다시 입다))

 

 

無-甲-(不)爲 (-하지 않는(-) 갑이 없다)

 

++不忘.(잊지 않은 날이 없다)

++不有.(갖지 않은 것이 없다)

+往而+不迎.(환영받지 않는 가는 데가 없다 가는 데마다 환영받다)

++以宿.(묵을 집이 없다)

 

 甲-以乙-爲-丙 (갑이 을을(을로) 병에게 -하다)

 

+以黃金++弟.(형이 황금을 동생에게 주었다)

+以便紙++子也.(아버지가 편지를 아들에게 보냈다)

金氏+以女++富者也.(김씨는 딸을 부자에게 시집보냈다)

 

 

甲-謂-乙 (갑을 을이라고 한다)․ 

 

不知++不知.(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한다.)

我國++大韓民國.(우리나라를 대한민국이라고 한다)

婿之++百年之客.(사위를 백년 손님이라고 한다)

妻之父++丈人.(처의 아버지를 장인이라고 한다)

 

 

 甲-謂-之-乙 (갑을 (그것을) 을이라고 한다)

 

父之四寸+++堂叔.(아버지의 사촌을 (그를) 당숙이라고 한다)

二月二十九日+++閏日.(229일을 윤일이라 한다)

喜怒哀樂之未發+++中也.(희노애락이 아직 발하지 않은 것을 그것을 중()이라고 한다.)

 

 

謂-甲-乙 (갑을 을이라고 한다)

 

+父之四寸+堂叔.(아버지의 사촌을 당숙이라고 한다)

+釣士+姜太公.(낚시꾼을 강태공이라고 한다)

 

'한자 한문 공부 > 한문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기초10-문장의 內容  (0) 2025.01.06
한문의 기초9-語句・表現  (0) 2025.01.06
한문의 기초7-倒置文  (0) 2025.01.06
한문의 기초6-語順  (0) 2025.01.06
한문의 기초5-文章構造  (0) 202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