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와 漢文

借鷄騎還(차계기환)

구글서생 2023. 4. 25. 02:13

借鷄騎還(차계기환)

一金先生 善談笑.
嘗訪友人家 主人設酌 只佐蔬菜.
先謝曰
「家貧市遠 絶無兼味 惟淡泊是愧耳.」
適有群鷄 亂啄庭除.
金曰
「大丈夫不惜千金 當斬吾馬 佐酒.」
主人曰
「斬馬騎何物而還?」
金曰
「借鷄騎還.」
主人大笑 殺鷄餉之. <太平閑話滑稽傳>

▶一: 어떤

▶兼味: 두가지 이상의 음식

▶惟淡泊是愧耳: 오직 담박하기만 한 것을 부끄러워할 뿐이다. =惟愧淡泊.

▶惟 A 是 B: 오직 A 만을 B한다

▶庭除: 뜰.

 

太平閑話滑稽傳

 

정의

조선전기 문신·학자 서거정이 해학적 일화를 수록하여 편찬한 설화집.

 

내용

 

일반적으로 ‘골계전’이라고 한다. 앞 부분에는 편자의 자서와 양성지(梁誠之)·강희맹(姜希孟)의 서문이 있는데, 편찬의 동기 및 과정, 골계전적인 소화(笑話)의 효용성과 의의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현존하는 원본은 없고 네 종류의 이본이 전하는데, 1959년 민속자료간행회에서 유인본으로 출간한 『고금소총 古今笑叢』 제2권에 수록된 146화(話), 일사본(一簑本) 『골계전』(유인본 고금소총과 같은 내용임.), 정병욱가(鄭炳昱家) 소장본의 110화, 일본의 이마니시문고본(今西文庫本)의 187화가 있다.

 

『골계전』은 한문으로 편집된 해학적 이야기책이므로 일종의 문헌 설화로 간주되며, 소화로서의 민담의 성질을 띤다고 할 수 있다. 유인본 『고금소총』에 수록된 『골계전』 제1권의 내용을 일부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탐관과 승려의 대화, 정삼봉(鄭三峰)·이도은(李陶隱)·권양촌(權陽村)이 벌인 평생의 자락처(自樂處)가 어디인가에 대한 논란, 말재주가 좋은 승려와 말 잘하는 향인 최양희(崔揚喜)의 대화, 호주가 끼리의 음주 시합(부마와 태수) 등으로, 이상은 첫머리에 나오는 것을 순서대로 인용한 것이다.

이것으로 보아 편차의 순서나 편집상의 분류 의식은 전혀 없었던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편집 방법은 모든 소화집의 공통점이라 여겨진다.

 

또한, 이 소화집에는 이야기의 제목도 없으며 짤막짤막한 이야기를 연편식(連篇式)으로 이어간다. 위의 예에서 볼 때, 꾸며낸 옛말이라기보다 실화에 가까운 것이 많다는 점과,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골계전』에서는 역사적 인물의 일화가 단연 우세해 수록 작품의 3분의 1이 유명 인물의 일화이고 그 나머지도 거의 유자(儒者)들의 이야기인 경우가 많다.

그러면서도 그 내용이 풍성하니, 위의 예에서도 탐관 오리와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학자·관료를 중심으로 향인, 서당 선생, 승려, 기생 등 각층의 인물이 고루 등장한다.

이 가운데 정수는 조영암(趙靈巖) 번역본의 『고금소총』에 발췌된 13화다.

 

 

'漢詩와 漢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野鼠婚(야서혼)  (0) 2023.04.25
吾君驢耳(오군려이)  (0) 2023.04.25
漢陽都城 (한양도성)  (0) 2023.04.25
思索(사색)  (0) 2023.04.25
讀書(독서)  (0)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