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추구3-春來梨花白 본문
春來梨花白 夏至樹葉靑.
秋涼黃菊發 冬寒白雪來.
봄이 오니 배꽃은 희고 여름이 다가오니 나뭇잎이 푸르구나.
가을이 서늘하니 노오란 국화가 피어나고 겨울이 차가우니 흰 눈이 내리도다.
新習漢字 |
[春]日 총9획, 봄 춘;春秋,孟春. [來]人 총8획, 올 래;來年,未來. [梨]木 총11획, 배나무 리;梨雪,玉梨. [花]艸 총8획, 꽃 화;花環,雪花. [夏]夊 총10획, 여름 하;夏至,立夏. [至]至 총6획, 이를 지;至今,來至. | 지극할 지;至極,孝志. [樹]木 총16획, 나무 수;樹木,植樹. [葉]艸 총13획, 잎사귀 엽;葉片,落葉. | 성(姓) 섭;葉適,葉向高. [靑]靑 총8획, 푸를 청;靑山,丹靑. [秋]禾 총9획, 가을 추;秋風,晩秋. [涼]水 총11획, 서늘할 량;涼氣,納涼. [黃]黃 총12획, 누를 황;黃金,玄黃. [菊]艸 총12획, 국화 국;菊花,芳菊. [發]癶 총12획, 필 발;發芽,滿發. | 쏠 발;發砲,百發. [冬]冫 총5획, 겨울 동;冬眠,嚴冬. [寒]宀 총12획, 찰 한;寒冷,惡寒. [雪]雨 총11획, 눈 설;雪原,瑞雪. |
鑑賞 |
위의 네 구절은 모두四季에 따라 변하는 초목에 대해 그리고 있다. 1, 2 구 : 1구에서는 봄이 오면 산과 들에 피어나는 많은 꽃들 중에서 특히 눈처럼 하얀 배꽃을 대표로 내세워 봄날의 아름다운 경치를 표현하였으며, 2구에서는 여름에 여러 가지 초목의 잎사귀가 녹음을 더해가며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표현했다. 3, 4 구 : 가을을 대표하는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국화를 내세워 가을의 정취를 한껏 돋우고 있고, 추운 겨울의 아름다운 모습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눈을 등장시켜 낭만적인 겨울의 풍경을 그려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