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와 漢文/백련초해(百聯抄解)

백련초해(百聯抄解) 74-霜著幽林紅葉落 雨餘深院綠苔生

耽古樓主 2023. 6. 3. 02:53
반응형

백련초해(百聯抄解) 74

 

 

 

 원문

霜著幽林紅葉落

雨餘深院綠苔生

서리 상  입을 착  깊을 유  수풀 림  붉을 홍  잎 엽  질 락

비 우  남을 여  깊을 심  집 원  푸를 록  이끼 태  날 생

 

 

 해석

 

그윽한 숲에 서리 치니 붉은 잎이 지고

비온 뒤 깊은 뜰에 푸른 이끼 돋는구나.

 

 

 옛 한글

 

그윽ᄒᆞᆫ 수프레 서리 티니 블근 닙피 디고

기픈 ᄯᅳᆯ희1) 비 온 후에 프른 잇기 나놋ᄯᅡ2)

1) 필암서원본과 박은용본에는 'ᄯᅳᆯ헤'로 되어 있다.

2) 필암서원본과 박은용본에는 '나놋다'로 되어 있다.

 

 

 참고

 

紅葉落滿地

白雲飛作隣

붉은 잎 떨어져 땅에 가득하고

흰 구름 날아와 이웃이 되었네.

이색3)

3) 이색(李穡, 1328~1396), ≪목은고(牧隱藁)≫, 시고(詩藁), 권19, < 송극일상인성친익화현(送克一上人省親益和縣)>

 

水涸小塘聞吠蛤

雨餘深院見殘花

물 마른 작은 못에 두꺼비 소리 들리고

비온 뒤 깊은 뜰에 시든 꽃이 보이도다.

이승소4)

4) 이승소(李承召, 1422∼1484), ≪삼탄집(三灘集)≫, 권5, <해주동헌(海州東軒)>

 

蜂暖花鬚燕咳泥

雨餘深院綠苔

벌은 꽃술을 빨고 제비는 진흙을 쪼며

비 온 뒤 깊은 뜰에 푸른 이끼 조촐하다.

신흠5)

5) 신흠(中欽, 1523~1597), ≪상촌고(象村稿)≫, 권19, <감춘(感春)>

 

雨餘門巷綠苔生

松竹林間暑氣淸

비온 뒤 문 앞 골목에 푸른 이끼가 돋아나고

소나무 대나무 숲 사이에 여름 기운 말끔하다.

권근6)

6) 권근(權近,1352~1409), ≪양촌집(陽村集)≫, 권7, 남행록(南行錄), <제우인촌거(題友人村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