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漢詩와 漢文/推句 61

抽句에 대하여

『추구』의 著者는 未詳이며, 五言으로 된 좋은 대구들만을 拔萃하여 著述한 책이다. 初學들이 『千字文』, 『四字小學』과 함께 가장 먼저 익힌다고 한다. 혹자들이 잘못된 명칭으로 『推句』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내용은 천지자연에 관한 것을 맨 먼저 설명하고, 그 다음으로는 인간에 관한 것과 일상생활에 있어서 항상 접할 수 있는 花朝月夕 등을, 그리고 말미에는 勸學을 강조하는 내용을 실어서 권학의지를 高趣시켰다. 그리고 詩句를 익힘으로써 아이들의 情緖涵養과 思考力發達 및 詩賦의 이해와 文章力向上에 그 目的이 있다. 그러나 저자가 미상이고, 필사본으로만 전래되어서, 세간에 유행하는 제본은 體裁가 충실하지 못하고, 내용 또한 淺近한 것이 단점이라, 실제 서당교육에서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는 의문이다.

추구60-花有重開日

原文 및 解釋 花有重開日 人無更少年. 白日莫虛送 靑春不再來. 꽃은 다시 필 날이 있지만, 사람은 다시 소년이 될 수 없도다. 젊은날을 헛되이 보내지 말게. 청춘은 다시 오지 아니한다네. 新習漢字 [重]里 총9획, 무거울 중; 重量, 體重. | 거듭 중; 重疊, 累重. | 중할 중; 重要, 所重. [虛]虍 총12획, 빌 허; 虛空, 太虛. [再]冂 총6획, 두번 재; 再次, 重再. 鑑賞 꽃은 봄이면 피었다가 가을에 지고 다음 해 봄이 되면 또다시 피어나지만 사람의 인생이란 한 번 흘러가면 다시는 돌이킬 수 없다. 또한 인생이란 연습이 있을 수 없고, 단 하루라도 리허설일 수 없으며, 지나간 날을 되돌려 다시 살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단 하루라 할 지라도 게을리 보내거나 불성실하게 살아서는 안되고..

추구59-文章李太白

原文 및 解釋 文章李太白 筆法王羲之. 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 문장은 이태백이 으뜸이요, 필법은 왕희지라네. 하루라도 글을 읽지 않으면, 입 안에 가시가 돋는다네. 新習漢字 [法]水 총8획, 법 법; 法律, 刑法. [王]玉 총4획, 임금 왕; 王道, 聖王. [羲]羊 총16획, 사람이름 희; 羲和, 伏羲. [荊]艸 총10획, 가시 형; 荊榛, 紫荊. [棘]木 총12획, 가시 극; 棘茨, 楚棘. 鑑賞 1, 2 구 : 문장에 있어선 이태백이 가장 으뜸이며, 필법에 있어선 왕희지가 가장 으뜸임을 나타낸 말이다. 3, 4 구 : 사람이 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욕구 중의 하나는 식욕이다. 그러나 입 안에 가시가 돋는다면 음식물을 삼킬 수 없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결국 굶어 죽게되고 말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의..

추구58-水去不復回

原文 및 解釋 水去不復回 言出難更收. 學文千載寶 貪物一朝塵. 물은 흘러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고, 말은 한 번 내면 다시 거두기 어렵다네. 글을 배우면 천년의 보배요, 물건을 탐하면 하루 아침의 티끌이라네. 新習漢字 [回]囗 총6획, 돌 회; 回復, 旋回. [言]言 총7획, 말씀 언; 言辯, 方言. [更]曰 총7획, 다시 갱; 更新, 再更. | 고칠 경; 更張, 更新. [收]攴 총6획, 거둘 수; 收穫, 回收. [學]子 총16획, 배울 학; 學問, 進學. [載]車 총13획, 실을 재; 載筆, 積載. | 해 재; 千載. [寶]宀 총20획, 보배 보; 寶物, 珍寶. [貪]貝 총11획, 탐할 탐; 貪官, 食貪. [塵]土 총14획, 티끌 진; 塵埃, 粉塵. 鑑賞 1, 2 구 : 물이 한 번 흘러가면 다시 돌아오지..

추구57-大旱得甘雨

原文 및 解釋 大旱得甘雨 他鄕逢故人. 畫虎難畫骨 知人未知心. 큰 가뭄에 단비를 얻고, 타향에서 옛 친구를 만나네. 호랑이를 그려도 뼈는 그리기 어렵고, 사람을 알아도 마음은 알 수 없다네. 新習漢字 [旱]日 총7획, 가물 한; 旱災, 大旱. [得]彳 총11획, 얻을 득; 得意, 獲得. [甘]甘 총5획, 달 감; 甘味, 旨甘. [他]人 총5획, 다를 타; 他人, 餘他. [鄕]邑 총13획, 시골 향; 鄕里, 邑鄕. | 마을 향; 鄕黨, 他鄕. | 고향 향; 鄕愁, 故鄕. [逢]辶 총11획, 만날 봉; 逢着, 相逢. [故]攴 총9획, 옛 고; 故友, 今故. [虎]虍 총8획, 범 호; 虎皮, 猛虎. [骨]骨 총10획, 뼈 골; 骨角, 筋骨. 鑑賞 1, 2 구 : 宋나라 洪邁(1123~1202)가 지은 〈容齋隨筆..

추구56-山高松下立

原文 및 解釋 山高松下立 江深沙上流. 花開昨夜雨 花落今朝風. 산 높아도 소나무 아래 서 있고, 강 깊어도 모래 위로 흐르네. 어제밤 비에 꽃이 피더니, 오늘 아침 바람에 꽃이 지누나. 新習漢字 [沙]水 총7획, 모래 사; 沙漠, 流沙. [昨]日 총9획, 어제 작; 昨日, 再昨. 鑑賞 1, 2 구 : 산이 아무리 높다 하더라도 그 산의 제일 정상에 서 있는 나무보다는 아래에 서 있고, 강이 아무리 깊다 하더라도 강 바닥에 깔려 있는 모래 위에서 흐른다는 말이다. 眼下無人으로 행동하는 사람을 위해 경계하는 말인 듯 싶다. 3, 4 구 : 조선 중기의 시인인 宋翰弼의 〈偶吟〉이라고 하는 시에 나오는 구절로서 하루 저녁과 아침사이에 꽃이 피고 지듯, 봄이 속절없이 빨리 지나감을 노래한 것이다. ※ 宋翰弼(?~?..

추구55-谷直風來急

原文 및 解釋 谷直風來急 山高月上遲. 蟋蟀鳴洞房 梧桐落金井. 골짜기 곧으니 바람 불어옴이 급하고, 산 높으니 달 오름도 더디기만해. 귀뚜리는 골방에서 울고 있고요, 오동잎은 가을 우물로 떨어집니다. 新習漢字 [谷]谷 총7획, 골 곡; 谷風, 峽谷. [直]目 총8획, 곧을 직; 直接, 正直. [急]心 총9획, 급할 급; 急迫, 緩急. [蟋]虫 총17획, 귀뚜라미 실; 蟋聲, 蝗蟋. [蟀]虫 총17획, 귀뚜라미 솔; 蟀蚸, 蝑蟀. [井]二 총4획, 우물 정; 井欄, 市井. 鑑賞 1, 2 구 : 계곡이 굽이지면 물소리도 굽이져 그윽하게 들리 듯, 바람도 이쪽저쪽으로 부딪혀 느리게 불어오겠지만, 곧게 뻗은 골바람은 직선으로 불어오기 때문에 급히 불어온다. 산이 높으면 해가 늦게 뜨는 것처럼 생각되듯이 달 뜨는 ..

추구54-靑松夾路生

原文 및 解釋 靑松夾路生 白雲宿簷端. 荷風送香氣 竹露滴淸響. 푸른 소나무는 길을 끼고 자라고, 흰 구름은 처마 끝에 머물고 있네. 연꽃 바람은 향기를 보내오고, 대나무 이슬 맑은 소리로 떨어지누나. 新習漢字 [夾]人 총7획, 낄 협; 夾門, 夫夾. [端]立 총14획, 바를 단; 端正, 直端. | 끝 단; 端末, 下端. | 실마리 단; 端緖, 四端. [滴]水 총14획, 떨어질 적; 滴水, 點滴. | 물방울 적; 滴瀝, 雨滴. 鑑賞 1, 2 구 : 이 구절은 도연명의 〈擬古〉라는 시의 일부이이다. 길게 뻗은 길 양 옆을 따라 소나무가 가로수처럼 늘어서 우거져있고, 하늘에 흐르던 구름조차 처마 끝에 걸려서 머물러 있는 것 같은 깊고 고요한 산 속의 풍경을 표현하였다. 擬古 東方有一士 : 동방에 한 선비 있는데..

추구53-日華川上動

原文 및 解釋 日華川上動 風光草際浮. 明月松間照 淸泉石上流. 햇빛은 시냇물 위에서 넘실거리고, 바람 빛은 풀 사이에 떠 있다네. 밝은 달은 소나무 사이로 비추고, 맑은 샘은 돌 위를 흐르는구나. 新習漢字 [華]艸 총12획, 꽃 화; 華實, 春華. | 빛날 화; 華美, 光華. | 번성할 화; 華奢, 榮華. [川]巛 총3획, 내 천; 川谷, 河川. [際]阜 총14획, 사이 제; 際畔, 國際. | 사귈 제; 際遇, 交際. [照]火 총13획, 비칠 조; 照明, 觀照. [泉]水 총9획, 샘 천; 泉原, 溫泉. [石]石 총5획, 돌 석; 石佛, 互石. [流]水 총9획, 흐를 류; 流行, 潮流. 鑑賞 1, 2 구 : 사현휘(謝玄暉)의 〈화서도조(和徐都曹)〉라는 시의 일부이다. 빛의 파장은 눈으로 감지할 수 없다. 그..

추구52-春北秋南雁

原文 및 解釋 春北秋南雁 朝西暮東虹. 柳幕鶯爲客 花房蝶作郞. 봄에는 북쪽, 가을엔 남쪽에 있는 것은 기러기요, 아침에는 서쪽, 저녁엔 동쪽인 것은 무지개라네. 버들막엔 꾀꼬리가 손님이 되고, 꽃방엔 나비가 신랑이 된다네. 新習漢字 [幕]巾 총14획, 장막 막; 幕舍, 帳幕. [房]戶 총8획, 방 방; 房室, 空房. [郞]邑 총10획, 신랑 랑; 郎君, 新郞. 鑑賞 1, 2 구 : 제 1구는 봄이 되면 북쪽으로 돌아갔다가 다시 가을이 되면 남쪽으로 돌아오는 기러기에 대해 이야기한 것이다. 제 2구는 무지개는 해의 반대편에 생기는 것이니 오전에는 서쪽하늘에 있고 오후에는 동쪽하늘에 무지개가 뜨는 것을 이야기하면서 자연스럽게 동서남북 사방에 대한 시인의 느낌을 서술하고 있다. 3, 4 구 : 3구는 아무도 찾..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