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三國演義(삼국연의)47회-詐降書와 連環計 본문
第四十七回
闞澤密獻詐降書 龐統巧授連環計.
제47회
감택은 몰래 詐降書를 바치고, 방통은 교묘히 連環計를 전수하다.
卻說
闞澤字德潤,會稽山陰人也。
각설,
闞澤은 자가 덕윤으로, 회계 산음 사람이다.
家貧好學,與人傭工,嘗借人書來看。
집은 가난했으나 배우기를 좋아하여, 남에게 고용되어 일하며 일찍이 책을 빌려 읽었다.
看過一遍,便不遺忘。
한번 읽으면 잊어버리지 않았다.
口才辨給,少有膽氣。
말재주가 좋고, 어려서부터 담력이 있었다.
孫權召為參謀,與黃蓋最相善。
손권이 불러 참모로 삼았는데 그와 황개는 서로 매우 친하였다.
蓋知其能言有膽,故欲使獻詐降書。
황개는 그가 언변이 좋고 담력이 있음을 알기에, (그를 시켜) 거짓 항복 문서를 바치게 하고 싶었다.
澤欣然應諾曰:
「大丈夫處世,不能立功建業,不幾與草木同腐乎?
公既捐軀報主,澤又何惜微生?」
감택이 흔쾌히 응낙해 말하였다.
“대장부가 세상에 나와서 공을 세우지 못하면, 초목과 더불어 썩어 가지 않겠소?
공께서 주군의 은혜를 갚고자 몸을 던졌는데, 제가 어찌 미천한 목숨을 아끼겠소?”
黃蓋滾下床來,拜而謝之。
황개가 침대에서 굴러떨어지듯 내려와 절하며 사례하였다.
澤曰:
「事不可緩,即今便行.」
감택이 말하였다.
“일을 늦춰서는 안 되니 즉시 가야 하겠소.”
蓋曰:
「書已修下了.」
황개가 말하였다.
“서찰은 이미 써 두었소.”
澤領了書,只就當夜扮作漁翁,駕小舟,望北岸而行。
감택이 서찰을 받고 바로 그날 밤 늙은 어부로 변장하여 작은 배를 몰고 북쪽 강기슭을 향해 갔다.
是夜寒星滿天,三更時候,早到曹軍水寨。
이날 밤 찬 별이 하늘에 가득한데 3경 무렵에 조조 군대의 수군 영채에 벌써 닿았다.
巡江軍士拏住,連夜報知曹操。
巡江軍士가 그를 붙잡아 그날 밤에 조조에게 알렸다.
操曰:
「莫非是奸細麼?」
조조가 말하였다.
“이는 奸細이겠지?”
軍士曰:
「只一漁翁,自稱是東吳參謀闞澤,有機密事來見.」
군사가 말하였다.
“한 늙은 어부가 자칭 동오의 참모 감택이라 하며 기밀 사항을 가져와서 뵙겠다고 합니다.”
操便教引將入來。
조조가 그를 데리고 들어오라고 하였다.
軍士引闞澤至,只見帳上燈燭輝煌,曹操憑几危坐,問曰:
「汝既是東吳參謀,來此何幹?」
군사가 감택을 데리고 오니, 장막 안에 등촉이 휘황한데 조조가 几案에 의지하여 똑바로 앉아 있었다. 조조가 물었다.
“너는 동오의 참모라면서 여기는 무슨 일로 왔느냐?”
澤曰:
「人言曹丞相求賢若渴,今觀此問,甚不相合。
黃公覆,汝又錯尋思了也!」
감택이 말하였다.
“사람들이 조승상은 현자 구하기를 목마른 듯이 한다더니, 지금 이 물음을 보니 심히 맞지 않습니다.
황공복, 그대도 또한 잘못 생각했구려!”
操曰:
「吾與東吳旦夕交兵,汝私行到此,如何不問?」
조조가 말하였다.
“내가 동오와 아침저녁으로 교전하고 있는데, 네가 사사로이 여기에 오니 어찌 묻지 않겠느냐?”
澤曰:
「黃公覆乃東吳三世舊臣,今被周瑜於眾將之前,無端毒打,不勝忿恨。
因欲投降丞相,為報讎之計,特謀之於我。
我與公覆,情同骨肉,逕來為獻密書。
未知丞相肯容納否?」
감택이 말하였다.
“황공복은 동오의 3대에 걸친 오랜 신하요. 그러나 이제 뭇 장수들 앞에서 까닭 없이 주유에게 심하게 맞고 분노를 이기지 못합니다.
그래서 승상께 투항하여 報讎之計를 행하려 특별히 나에게 도모하게 하였습니다.
나와 공복은 정이 골육과 마찬가지라, 곧장 달려와서 밀서를 바치려 합니다.
승상께서 받아들이려 하십니까?”
操曰:
「書在何處?」
조조가 말하였다.
“밀서는 어디 있소?”
闞澤取書呈上。
감택이 서찰을 꺼내어 바쳤다.
操拆書,就燈下觀看。
조조가 서찰을 펼쳐서 등불 아래로 가서 읽어보았다.
書略曰:
<蓋受孫氏厚恩,本不當懷二心。
然以今日事勢論之:
用江東六郡之卒,當中國百萬之師,眾寡不敵,海內所共見也。
東吳將吏,無論智愚,皆知其不可。
周瑜小子,偏懷淺戇,自負其能,輒欲以卵敵石;
兼之擅作威福,無罪受刑,有功不賞。
蓋係舊臣,無端為所摧辱,心實恨之。
伏聞丞相,誠心待物,虛懷納士,蓋願率眾歸降,以圖建功雪恥。
糧草車仗,隨船獻納。
泣血拜白,萬勿見疑。>
서찰은 대략 이러하였다.
<제가 손씨의 두터운 은혜를 입었으니, 본래 다른 마음을 품어서는 안 됩니다.
그러나 今日事勢하면, 江東六郡之卒로 中國百萬之師에 맞섬은 眾寡不敵임을 천하가 모두 아는 바입니다.
東吳將吏는 無論智愚하고 모두 그것이 불가함을 압니다.
주유 어린놈이 속은 좁고 어리석은데 그 재능을 자부해 바로以卵敵石하려고 합니다.
兼之擅作威福하여, 無罪受刑하고 有功不賞합니다.
저는 오랜 신하이나 아무 까닭 없이 굴욕을 당하니, 마음에 참으로 한스럽습니다!
삼가 듣자니, 승상께서는 誠心待物하고 虛懷納士하신다 하므로 저는 率眾歸降하여 建功雪恥하기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양초, 수레와 병장기는 배와 함께 헌납하겠습니다.
피눈물로 아뢰오니 만 번 의심치 말기를 바랍니다.>
曹操於幾案上翻覆將書看了十餘次,忽然拍案張目大怒曰:
「黃蓋用苦肉計,令汝下詐降書,就中取事,卻敢來戲侮我耶!」
조조가 탁자 위의 서찰을 10여 차례 뒤집어 보더니 갑자기 탁자를 내려치고 눈을 부릅뜨고 크게 노해 말하였다.
“황개가 고육계를 써서 너더러 거짓 항서를 바치고 일을 꾸며서 감히 나를 희롱하고 욕보이려 하는구나!”
便教左右推出斬之。
곧 좌우를 시켜 그를 끌어내 참하라고 하였다.
左右將闞澤簇下。澤面不改容,仰天大笑。
측근들이 감택을 둘러쌌으나 그는 얼굴에 낯빛을 바꾸지 않고 하늘을 우러러 크게 웃었다.
操教牽回,叱曰:
「吾已識破奸計,汝何故哂笑?」
조조가 다시 끌고 오라고 하여 꾸짖었다.
“내 이미 네 간사한 꾀를 간파했는데 무슨 까닭으로 비웃느냐?”
澤曰:
「吾不笑你。
吾笑黃公覆不識人耳.」
감택이 말하였다.
“내가 너를 비웃음이 아니다.
황공복이 사람을 알아보지 못함을 비웃었을 뿐이다.”
操曰:
「何不識人?」
조조가 말하였다.
“어째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느냐?”
澤曰:
「殺便殺,何必多問!」
감택이 말하였다.
“죽이려면 어서 죽이지, 자꾸 물어볼 필요가 어디 있느냐!”
操曰:
「吾自幼熟讀兵書,深知奸偽之道。
汝這條計,只好瞞別人,如何瞞得我!」
조조가 말하였다.
“나는 어려서부터 병법서들을 숙독해서, 奸偽之道를 깊이 알고 있다.
너희의 이런 계략은 다른 사람은 속이기에는 좋을지라도 어찌 나를 속이겠느냐!”
澤曰:
「你且說書中哪件事是奸計?」
감택이 말하였다.
“너는 서찰에 쓰인 그 일도 간사한 꾀라 말하느냐?”
操曰:
「我說出你那破綻,教你死而無怨!
你既是真心獻書投降,如何不明約幾時?
如今你有何理說?」
조조가 말하였다.
“나는 네 꾀가 어떻게 破綻났는지 말해주어서, 네가 죽어도 원한이 없게 해주마!
너는 이미 진심으로 서찰을 바쳐 투항한다면서, 어째서 명확히 그 시기를 약속하지 않았느냐?
이제 너는 무슨 이치로 설명하겠느냐?”
闞澤聽罷,大笑曰:
「虧汝不惶恐,敢自誇熟讀兵書!
還不及早收兵回去!
倘若交戰,必被周瑜擒矣!
無學之輩,可惜吾屈死汝手!」
감택이 듣고 나서 크게 웃으며 말하였다.
“너는 황공하지도 않게, 감히 병서를 숙독했다고 자신을 과장하느냐!
오히려 일찌감치 군사를 거두어 돌아감만 못하겠다!
만약 교전하면 틀림없이 주유에게 잡힐 터이다!
배우지 못한 무리로다. 내가 네 손에 원통하게 죽다니 애석하구나!”
操曰:
「何謂我無學?」
조조가 말하였다.
“어째서 나더러 배운 게 없다고 하느냐?”
澤曰:
「汝不識機謀,不明道理,豈非無學?」
감택이 말하였다.
“네가 사태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책략을 모르고, 도리에도 밝지 못하니 어찌 배움이 없음이 아니냐?”
操曰:
「你且說我哪幾般不是處?」
조조가 말하였다.
“너는 우선 내 어떤 모양이 옳지 않은 곳이라고 말하느냐?”
澤曰:
「汝無待賢之禮,吾何必言?
但有死而已.」
감택이 말하였다.
“네게 현자를 대우하는 예의가 없는데, 내가 말할 필요가 있느냐?”
다만 죽음이 있을 뿐이다.”
操曰:
「汝若說得有理,我自然敬服.」
조조가 말하였다.
“네가 이치가 있음을 설명할 수 있으면, 내 자연히 존경하여 심복하겠다.”
澤曰:
「豈不聞 『背主作竊,不可定期』?
倘今約定日期,急切下不得手,這裏反來接應,事必洩漏。
但可覷便而行,豈可預期相訂乎?
汝不明此理,欲屈殺好人,真無學之輩也!」
감택이 말하였다.
“‘주인을 배신하고 몰래 하는 일에는 날짜를 정하지 않는 법이다.’라는 말을 어찌 듣지 못했느냐?
만약 지금 기일을 약정했다가, 급박한 사정으로 손을 쓰지 못하는데, 이쪽에서 도리어 접응하면 일이 반드시 누설될 터이다.
형편을 엿보다가 행동해야지 어찌 미리 날짜를 서로 정하겠느냐?
네가 이 이치를 모르면서, 좋은 사람을 무고하게 죽이려 하니 참으로 배움이 없는 무리이다!”
操聞言,改容下席而謝曰:
「某見事不明,誤犯尊威,幸勿挂懷.」
조조가 듣고 낯빛을 고쳐 자리에서 내려와 사과하였다.
“내가 보기에 일이 분명치 않아서, 잘못하여 높은 위엄을 범했으니, 아무쪼록 마음에 담아두지 마시오.”
澤曰:
「吾與黃公覆,傾心投降,如嬰兒之望父母,豈有詐乎?」
감택이 말하였다.
“제가 황공복과 더불어 마음을 기울여 투항함은 마치 嬰兒之望父母와 같은데 어찌 속임수가 있겠습니까?”
操大喜曰:
「若二人能建大功,他日受爵,必在諸人之上.」
조조가 크게 기뻐하며 말하였다.
“만약 두 사람이 큰 공을 세우면, 뒷날 벼슬을 받음이 반드시 사람들 위에 있을 터이오.”
澤曰:
「某等非為爵祿而來,實應天順人耳.」
감택이 말하였다.
“저희는 작록을 바라고 옴이 아니라 참으로 應天順人할 뿐입니다.”
操取酒待之。
조조가 술을 내어 대접하였다.
少頃,有人入帳,於操耳邊私語。
얼마 뒤 누군가 막사로 들어와 조조에게 耳邊私語하였다.
操曰:
「將書來看.」
조조가 말하였다.
“서찰을 가져오너라.”
其人以密書呈上。
그 사람이 밀서를 바쳤다.
操觀之,顏色頗喜。
조조가 살펴보더니 顏色이 자못 기뻐하였다.
闞澤暗思:
「此必蔡中、蔡和來報黃蓋受刑消息,操故喜我投降之事為真實也.」
감택이 속으로 생각하였다.
‘이것은 틀림없이 채중과 채화가 황개의 형벌 받은 소식을 전한 것이군. 그래서 조조는 내가 투항함이 진실이라 여겨 기뻐하는구나.’
操曰:
「煩先生再回江東,與黃公覆約定,先通消息過江,吾以兵接應.」
조조가 말하였다.
“번거롭겠지만 선생은 강동으로 다시 돌아가서 황공복과 약속을 정하고, 먼저 소식을 강 건너로 보내면, 내가 병력을 이끌고 접응하리다.”
澤曰:
「某已離江東,不可復還。
望丞相別遣機密人去.」
감택이 말하였다.
“저는 이미 강동을 떠난 몸이라 되돌아갈 수 없습니다.
바라건대 승상께서 따로 기밀을 지킬 사람을 보내십시오.”
操曰:
「若他人去,事恐洩漏.」
조조가 말하였다.
“다른 사람이 가면 아마 일이 누설될 터이오.”
澤再三推辭;良久,乃曰:
「若去則不可久停,便當行矣.」
감택이 재삼 사양하다가 한참 지나서 말하였다.
“만약 떠나려면 오래 머물러서는 안 되니, 즉시 가야 하겠습니다.”
操賜以金帛,澤不受,辭別出營,再駕扁舟,重回江東,來見黃蓋,細說前事。
조조가 황금과 비단을 하사했으나 감택은 받지 않고, 작별하고 영채를 떠나 다시 조각배를 타고 강동으로 되돌아갔다. 황개를 만나서 앞서 일어난 일을 자세히 말하였다.
蓋曰:
「非公能辯,則蓋徒受苦矣.」
황개가 말하였다.
“공의 능숙한 언변이 아니었으면 저는 헛되이 고통만 받았겠소.”
澤曰:
「吾今去甘寧寨中,探蔡中、蔡和消息.」
감택이 말하였다.
“나는 이제 감녕의 영채로 가서 채중과 채화의 소식을 알아보겠소.”
蓋曰:
「甚善.」
황개가 말하였다.
“아주 좋습니다.”
澤至寧寨,寧接入。
감택이 감녕의 영채로 가니, 감녕이 맞아들였다.
澤曰:
「將軍昨為救黃公覆,被周公瑾所辱,吾甚不平.」
감택이 말하였다.
“장군이 지난번에 황공복을 구하다가 주공근에게 모욕을 당해서 나도 몹시 마음이 편치 못하오.”
寧笑而不答。
감녕은 웃기만 할 뿐 대답하지 않았다.
正話間,蔡和、蔡中至。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데 채화와 채중이 왔다.
澤以目送甘寧。寧會意,乃曰:
「周公瑾只自恃其能,全不以我等為念。
我今被辱,羞見江左諸人!」
감택이 눈짓을 보내자 감녕이 알아차리고 말하였다.
“주공근이 그 재능만 믿고, 우리를 전혀 생각하지 않소.
내가 이제 모욕을 당해 江左의 사람들 보기가 부끄럽소!”
說罷,咬牙切齒,拍案大叫。
말을 마치고 이를 갈아 부러뜨리며 탁자를 내리쳐 크게 소리를 질렀다.
澤乃虛與寧耳邊低語。
이에 감택이 감녕의 귓가에 낮은 소리로 이야기하는 체한다.
寧低頭不言,長歎數聲。
감녕은 머리를 수그린 채 말이 없이 여러 번 길게 탄식하였다.
蔡和、蔡中見澤、寧皆有反意,以言挑之曰:
「將軍何故煩惱?
先生有何不平?」
채중과 채화는 감녕과 감택에게 모두 반역의 뜻이 있음을 알고, 말로써 떠보았다.
“장군은 어째서 번뇌하십니까?
선생은 어째서 불평하십니까?”
澤曰:
「吾等腹中之苦,汝豈知耶?」
감택이 말하였다.
“우리 마음속의 고통을 그대가 어찌 알겠는가?”
蔡和曰:
「莫非欲背吳投曹耶?」
채화가 말하였다.
“오후를 배신하고 조조에게 투항하려 함이겠지요?”
闞澤失色。
감택이 낯빛을 잃었다.
甘寧拔劍而起曰:
「吾事已為窺破,不可不殺之以滅口!」
감녕이 칼을 뽑고 일어나서 말하였다.
“우리의 일이 이미 들켰으니, 어쩔 수 없이 그들을 죽여 입을 막아야겠다!”
蔡和、蔡中慌曰:
「二公勿憂。
吾亦當以心腹之事相告.」
채화와 채중이 황급히 말하였다.
“두 분께서 걱정하지 마십시오.
저희도 心腹之事를 고하겠습니다.”
寧曰:
「可速言之.」
감녕이 말하였다.
“어서 말하라!”
蔡和曰:
「吾二人乃曹公使來詐降者。
二公若有歸順之心,吾當引進.」
채화가 말하였다.
“우리 두 사람은 바로 조공께서 보내서 거짓 항복한 자들입니다.
두 분께서 귀순할 마음을 가졌으면, 저희가 모셔 가겠습니다.”
寧曰:
「汝言果真乎?」
감녕이 말하였다.
“네 말이 과연 참말이냐?”
二人齊聲曰:
「安敢相欺?」
두 사람이 이구동성으로 말하였다.
“어찌 감히 속이겠습니까?”
寧佯喜曰:
「若如此,是天賜其便也!」
감녕이 기쁜 척하며 말하였다.
“그렇다면 이야말로 하늘이 편의를 내림이구나!”
二蔡曰:
「黃公覆與將軍被辱之事,吾已報知丞相矣.」
두 채씨가 말하였다.
“황공복과 장군께서 치욕을 당한 일은 저희가 이미 승상께 알려 드렸습니다.”
澤曰:
「吾已為黃公覆獻書丞相,今特來見興霸,相約同降耳。
감택이 말하였다.
“내 이미 황공복을 위해 승상께 서찰을 바쳐서 오늘 특별히 흥패를 만나러 옴은 함께 항복할 약속을 하려 했을 뿐이네.”
寧曰:
「大丈夫既遇明主,自當傾心相投.」
감녕이 말하였다.
“대장부가 이미 밝은 주인을 찾았으니 당연히 마음을 기울여 투항해야지요.”
於是四人共飲,同論心事。
이에 네 사람이 함께 술을 마시며 마음속 일을 함께 논의하였다.
二蔡即時寫書,密報曹操,說甘寧與某同為內應。
두 채씨가 즉시 글을 써서 몰래 조조에게 알리기를, ‘감녕과 저희가 함께 내응할 터입니다.’라 하였다.
闞澤另自修書,遣人密報曹操。
감택이 따로 글을 써서 사람을 보내 조조에게 몰래 알렸다.
書中具言黃蓋欲來,未得其便。但看船頭插青牙旗而來者,即是也。
글 속에 자세히 적기를, 황개가 오고 싶으나 아직 기회를 얻지 못했으며, 다만 뱃머리에 푸르고 큰 깃발을 세우고 오는 자가 있으면 바로 황개인 줄 알라고 하였다.
卻說
曹操連得二書,心中疑惑不定,聚眾謀士商議曰:
「江左甘寧,被周瑜所辱,願為內應;黃蓋受責,令闞澤來納降;俱未可深信。
誰敢直入周瑜寨中,探聽實信?」
한편, 조조는 잇달아 서찰을 두 편이나 받았지만, 마음속으로 의혹이 가라앉지 않아서 모사들을 불러 모아 상의하였다.
“강좌의 감녕이 주유에게 모욕을 받아서 내응하기를 바라고, 황개는 책벌을 받고 감택을 보내 투항을 바치려 하였으나 모두 아직 깊이 믿지 못하겠소.
누가 감히 주유 영채로 들어가서 믿을 수 있는 소식을 탐지해보겠소?”
蔣幹進曰:
「某前日空往東吳,未得成功,深懷慚愧。
今願捨身再往,務得實信,回報丞相.」
장간이 진언하였다.
“제가 지난번에 동오에 헛걸음만 하고 아직 공을 이루지 못했으니 매우 부끄럽습니다.
이번에 바라건대 몸을 던져 다시 한번 가서, 힘껏 실상을 알아내고 돌아와 승상께 보고하겠습니다.”
操大喜,即時令蔣幹上船。
조조가 크게 기뻐하여 즉시 장간에게 배에 오르게 하였다.
幹駕小舟,逕到江南水寨邊,便使人傳報。
장간이 작은 배를 타고 곧장 강남의 수채에 이르러 사람을 시켜 알리게 하였다.
周瑜聽得幹又到,大喜曰:
「吾之成功,只在此人身上!」
주유는 장간이 다시 옴을 알고 크게 기뻐하여 말하였다.
“내 성공은 이 사람에게 달렸구나!”
遂囑咐魯肅:
「請龐士元來,為我如此如此.」
이어 노숙에게 부탁하였다.
“방사원을 모셔 와서, 이렇게 저렇게 하시오.”
原來襄陽龐統,字士元,因避亂寓居江東。
원래 양양의 방통은 자가 사원인데 난리를 피해 강동에 머물고 있었다.
魯肅曾薦之於周瑜,統未及往見。
노숙이 일찍이 그를 주유에게 추천했으나, 방통은 아직 만나보지 않았다.
瑜先使肅問計於統曰:
「破曹當用何策?」
주유가 먼저 노숙을 시켜 방통에게 계책을 물었다.
“조조를 격파하자면 무슨 계책을 써야겠소?
統密謂肅曰:
「欲破曹兵,須用火攻;
但大江面上,一船著火,餘船四散,除非獻『連環計』,教他釘作一處,然後功可成也.」
방통이 은밀히 노숙에게 말하였다.
“조조의 병력을 격파하자면 반드시 화공을 써야 하오.
다만 큰 강 위에서 배 한 척에 불이 붙어도 나머지 배는 사방으로 흩어지게 되오. 오로지 연환계를 바쳐서 그들을 한 곳에 못 박게 한 뒤에야 성공할 수 있소.”
肅以告瑜,瑜深服其論,因謂肅曰:
「為我行此計者,非龐士元不可.」
노숙이 그것을 주유에게 고하자, 주유가 그 논의에 탄복하여 노숙에게 일렀다.
“우리를 위해 이 계책을 행할 사람은 방사원이 아니면 가능하지 않소.”
肅曰:
「只怕曹操奸猾,如何去得?」
노숙이 말하였다.
“다만 조조가 간사하고 교활함이 걱정인데 어떻게 그를 보내겠소?”
周瑜沉吟未決。正尋思沒個機會,忽報蔣幹又來。
주유가 중얼거리며 결정하지 못하고 생각해보아도 방법이 없는데, 문득 장간이 다시 왔다고 알려 왔다.
瑜大喜,一面分付龐統用計;一面坐於帳上,使人請幹。
주유가 크게 기뻐하며 한편으로 방통에게 부탁하여 그 계책을 쓰라고 하고, 한편으로 막사에 앉아 사람을 시켜 장간을 불렀다.
幹見不來接,心中疑慮,教把船於僻靜岸口繫纜,乃入寨見周瑜。
장간이 보니 (주유가) 나와서 맞이하지 않으므로, 마음에 의심과 염려가 있어 어느 외진 강기슭에 배를 매어 두라 하고, 영채로 들어가 주유를 만났다.
瑜作色曰:
「子翼何故欺吾太甚?」
주유가 낯빛을 고쳐 말하였다.
“자익은 무슨 까닭으로 나를 그토록 심하게 속였는가?”
蔣幹笑曰:
「吾想與你乃舊日弟兄,特來吐心腹事,何言相欺也?」
장간이 웃으며 말하였다.
“내가 그대를 예로부터 형제처럼 생각하여 특별히 마음속의 일을 토로하러 왔는데 어찌 속였다고 말하는가?”
瑜曰:
「汝要說我降,除非海枯石爛!
前番吾念舊日交情,請你痛飲一醉,留你同榻;
你卻盜吾私書,不辭而去,歸報曹操,殺了蔡瑁、張允,致使吾事不成。
今日無故又來,必不懷好意!
吾不看舊日之情,一刀兩段!
本待送你過去,爭奈吾一二日間,便要破曹賊;
待留你在軍中,又必有洩漏.」
주유가 말하였다.
“자네가 나에게 항복을 설득할 셈이라면 바닷물이 마르고 돌이 가루가 되어도 불가능할 뿐일세!
지난번에 나는 옛날 사귀던 정을 생각해서 자네를 청해 실컷 마시고 한바탕 취해 잠자리를 함께했네.
그러나 자네는 도리어 나의 사사로운 서찰을 훔쳐 인사도 없이 떠나 조조에게 돌아가 알려서 채모와 장윤을 죽여 내 일이 성공하지 못하도록 하였네.
오늘 까닭 없이 다시 오니 반드시 좋은 뜻을 품지는 않았겠지!
내가 옛정을 보지 않았으면 한칼에 두 토막을 냈을 터이네!
본래 자네를 보내고 나서 어쨌든 내가 하루 이틀 사이에 조조 도적을 격파하려 했었네.
자네를 군중에 머물게 해서는 또 반드시 누설되겠지.”
便教左右:
「送子翼往西山庵中歇息。
待吾破了曹操,那時渡你過江未遲.」
곧 좌우에게 명하였다.
“자익을 서산의 암자로 보내 쉬게 하라.
내 조조를 격파한 뒤 자네를 강 건너에 보내도 늦지 않을 걸세.”
蔣幹再欲開言,周瑜已入帳後去了。
장간이 다시 말을 하려 하나 주유가 이미 장막 뒤로 들어가 버렸다.
左右取馬與蔣幹乘坐,送到西山背後小庵歇息,撥兩個軍人伏侍。
좌우가 말을 끌고 와서 장간을 태워 서산 뒤의 작은 암자로 데려가 쉬게 하고, 군사 둘을 뽑아 伏侍하게 하였다.
幹於庵內,心中憂悶,寢食不安。
장간이 암자 안에서 마음속으로 근심하여, 먹고 자는 것도 불안하였다.
是夜星露滿天,獨步出庵後,只聽得讀書之聲。
그날 밤 별들이 하늘에 가득한데, 홀로 암자 뒤로 걸어 나가니, 책 읽는 소리가 들려왔다.
信步尋去,見山巖畔有草屋數椽,內射燈光。
(소리를 찾아) 발길 닿는 대로 가보니, 산의 바위 둘레에 서까래가 몇 되지 않는 초옥이 있는데 안에서 불빛이 새어 나왔다.
幹往窺之,只見一人挂劍燈前,誦孫、吳兵書。
장간이 가서 엿보니 한 사람이 등불 앞에 칼을 걸어 놓고 손자와 오자의 병서를 외우고 있었다.
幹思此必異人也,叩戶請見。
장간은 이 사람이 틀림없이 남다른 재주를 가진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문을 두들겨 뵙기를 청하였다.
其人開門出迎,儀表非俗。
그 사람이 문을 열고 나와 맞이하는데 거동과 용모가 속되지 않았다.
幹問姓名,答曰:
「姓龐名統,字士元.」
장간이 성명을 묻자 대답하였다.
“성은 방이고 이름은 통이며 자는 사원이오.”
幹曰:
「莫非鳳雛先生否?」
장간이 말하였다.
“봉추 선생이십니까?”
統曰:
「然也.」
방통이 말하였다.
“그렇소.”
幹喜曰:
「久聞大名,今何僻居此地?」
장간이 기뻐서 말하였다.
“큰 명성을 들은 지 오래인데 지금 어찌 이런 곳에 은거하십니까?”
答曰:
「周瑜自恃才高,不能容物,吾故隱居於此。
公乃何人?」
방통이 대답하였다.
“주유가 스스로 재주가 높음을 믿어, 인물을 받아들이지 못하므로 나는 그래서 이곳에 은거하고 있소.
공은 누구시오?”
幹曰:
「吾蔣幹也.」
장간이 말하였다.
“저는 장간입니다.”
統乃邀入草庵,共坐談心。
방통이 초가집으로 불러들여 함께 앉아 마음을 터놓고 담화를 나누었다.
幹曰:
「以公之才,何往不利?
如肯歸曹,幹當引進.」
장간이 말하였다.
“공의 재주로써 어찌 불리한 쪽에 오셨습니까?
만약 조승상께 가시겠다면 제가 인도하여 가겠습니다.”
統曰:
「吾亦欲離江東久矣。
公既有引進之心,即今便當一行。
如遲則周瑜聞之, 必將見害.」
방통이 말하였다.
“나도 강동을 떠나려 한 지 오래요.
공이 인도해 주겠다니, 지금 즉시 함께 가야 합니다.
늦추다가 주유가 들으면, 틀림없이 해를 입을 터이오.”
於是與幹連夜下山,至江邊尋著原來船隻,飛棹投江北。
이에 장간과 더불어 그날 밤 산을 내려왔다. 강변에 이르러 원래 타고 온 배를 찾아 타고 날아가듯 노를 저어 강북으로 갔다.
既至操寨,幹先入見,備述前事。
조조의 영채에 이르러 장간이 먼저 들어가 만나서, 앞서 일어난 일을 낱낱이 말하였다.
操聞鳳雛先生來,親自出帳迎入,分賓主坐定,問曰:
「周瑜年幼,恃才欺眾,不用良謀。
操久聞先生大名,今得惠顧,乞不吝教誨.」
조조가 봉추선생이 왔음을 알고 몸소 막사를 나와 맞이해 들이고 손님과 주인으로 나누어 앉아 물었다.
“주유는 나이가 어려서 자신의 재능을 믿고 사람들을 업신여겨 좋은 계책을 받아들이지 않소.
내가 오래전부터 선생의 대명을 들었는데 이제 왕림해주시니 아무쪼록 아낌없이 가르쳐 주시오.”
統曰:
「某素聞丞相用兵有法,今願一睹軍容.」
방통이 말하였다.
“제가 평소에 듣자니 승상께서 용병하시는 데 법도가 있다고 합니다. 이제 군대의 위용을 한번 보고 싶습니다.”
操教備馬,先邀統同觀旱寨。
조조가 말을 준비시켜 방통을 데리고 먼저 육상의 진지를 둘러보았다.
統與操並馬登高而望。
방통과 조조는 나란히 말을 타고 높은 곳에 올라가 바라보았다.
統曰:
「傍山依林,前後顧盼,出入有門,退進曲折,雖孫、吳再生,穰苴復出,亦不過此矣.」
방통이 말하였다
“산을 옆에 두고 숲을 의지하여 앞뒤로 돌보고, 출입하는 데 문이 있고, 물러나고 나아가는 데 彎曲과 回轉이 있으니, 비록 손자와 오기가 다시 태어나고 사마양저가 다시 나온들, 역시 이보다 나을 수 없겠습니다.”
操曰:
「先生勿得過譽,尚望指教.」
조조가 말하였다.
“선생은 과찬하지 마시고, 오히려 가르침을 주시기 바랍니다.”
於是又與同觀水寨。
이에 다시 함께 水寨를 둘러보았다.
見向南分二十四座門,皆有艨艟戰艦,列為城郭,中藏小船,往來有巷,起伏有序。
바라보니 남쪽으로 향하여 24개의 문이 나뉘어 있는데, 모두 전함들이 쭉 둘러싸서 성곽을 이루고, 가운데에 작은 배들을 두었으며 왕래하는 수로가 있고, 起動하고 潛伏하는 데 질서가 있었다.
統笑曰:
「丞相用兵如此,名不虛傳!」
방통이 웃으며 말하였다.
“승상의 용병이 이와 같으니, 名不虛傳입니다!”
因指江南而言曰:
「周郎,周郎!
剋期必亡!」
그리고 강남을 가리키며 말하였다.
“주랑아! 주랑아!
망할 날이 멀지 않구나.”
操大喜。回寨,請入帳中,置酒共飲,同說兵機。
조조가 크게 기뻐하여 영채로 돌아와서 막사로 불러들여 술을 내어 함께 마시며, 군사전략을 함께 이야기하였다.
統高談雄辯,應答如流。操深敬服,慇懃相待。
방통의 언사가 호방하여 매임이 없고 변론이 알차고 힘이 있어서, 응답이 물 흐르듯 하니, 조조가 몹시 감복하고 정성스럽게 대접하였다.
統佯醉曰:
「敢問軍中有良醫否?」
방통이 취한 척하며 말하였다.
“감히 묻겠는데, 군중에 뛰어난 의원이 있습니까?”
操問何用。
조조가 어디에 쓰려는지 물었다.
統曰:
「水軍多疾,須用良醫治之.」
방통이 말하였다.
“수군에 질병이 많을 테니 꼭 좋은 의원을 써서 치료해야 합니다.”
時操軍因不服水土,俱生嘔吐之疾,多有死者。
당시 조조 군사들은 그곳 풍토에 맞지 않아 모두 구토하는 병이 생겨 죽는 자가 많았다.
操正慮此事,忽聞統言,如何不問?
조조가 그 일을 걱정하는 참에 문득 방통의 말을 들으니 어찌 묻지 않겠는가?
統曰:
「丞相教練水軍之法甚妙,但可惜不全.」
방통이 말하였다.
“승상께서 수군을 교련하는 법이 몹시 훌륭합니다. 다만 안타깝게도 완전치는 않습니다.”
操再三請問。統曰:
「某有一策,使大小水軍,並無疾病,安穩成功.」
조조가 재삼 청하여 묻자 방통이 말하였다.
“제게 한 계책이 있는데, 지위가 높고 낮은 수군들 모두 질병이 없게 하여, 편안히 공을 이루게 할 수 있습니다.”
操大喜,請問妙策。統曰:
「大江之中,潮生潮落,風浪不息。
北兵不慣乘舟,受此顛播,便生疾病。
若以大船小船各皆配搭,或三十為一排,或五十為一排,首尾用鐵環連鎖,上鋪闊板,休言人可渡,馬亦可走矣。
乘此而行,任他風浪潮水上下,復何懼哉?」
조조가 크게 기뻐하며 그 묘책을 물으니, 방통이 말하였다.
“큰 강에는 조류가 생겼다가 빠져나가고 풍랑이 쉬지 않습니다.
북방의 군사들이 배를 타는 데 익지 않은데, 이렇게 搖動을 받으니, 바로 질병이 생깁니다.
만약 큰 배와 작은 배를 각각 모두 서로 받쳐 주도록, 혹은 30척을 한 줄로, 혹은 50척을 한 줄로 하여 뱃머리와 꼬리를 쇠사슬을 서로 잇고, 위에 넓은 판자를 깔아 놓으면, 말할 것도 없이 사람이 건너다니고, 말도 달릴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다니면, 풍랑과 조수가 오르내리는 데 맡겨두어도 다시 무엇이 두렵겠습니까?”
曹操下席而謝曰:
「非先生良謀,安能破東吳耶?」
조조가 자리에서 내려와 사례하였다.
“선생의 좋은 계책이 아니면 어찌 능히 동오를 쳐부겠습니까?”
統曰:
「愚淺之見,丞相自裁之.」
방통이 말하였다.
“저의 천박한 소견이니 승상께서 잘 판단하십시오.”
操即時傳令,喚軍中鐵匠,連夜打造連環大釘,鎖住船隻。
조조가 즉시 전령하여 군중에서 쇠를 다루는 장인을 불러 밤새 쇠사슬과 대못을 만들어 배들을 쇠사슬로 묶었다.
諸軍聞之,俱各喜悅。
군사들이 그 소식을 듣고 모두 기뻐하고 즐거워하였다.
後人有詩曰:
후인이 시를 지었다.
<赤壁鏖兵用火攻,運籌決策盡皆同。
若非龐統連環計,公瑾安能立大功?>
<적벽에서 격전을 치루자면 화공을 써야 함은, 계책을 헤아려 본 이들은 모두 동의한 것이네.
만약 방통의 연환계가 아니었더라면, 공근이 어떻게 큰 공로를 세웠겠는가?>
龐統又謂操曰:
「某觀江左豪傑,多有怨周瑜者。
某憑三寸舌,為丞相說之,使皆來降。
周瑜孤立無援,必為丞相所擒。
瑜既破,則劉備無所用矣.」
방통이 또 조조에게 말하였다.
“제가 강좌의 호걸들을 살펴보니 주유를 원망하는 자들이 많습니다.
제가 세 치 혀에 의지하여 승상을 위해 그들을 설득해 모두 투항하도록 하겠습니다.
주유는 고립무원이라 반드시 승상께 사로잡힐 터입니다.
주유를 깨뜨리고 나면, 유비는 아무 사용할 대책이 없게 됩니다.”
操曰:
「先生果能成大功,操請奏聞天子,封為三公之列.」
조조가 말하였다.
“선생이 과연 큰 공을 거두시면, 내가 천자께 상주하여 삼공의 반열에 봉하리다.”
統曰:
「某非為富貴,但欲救萬民耳。
丞相渡江,慎勿殺害.」
방통이 말하였다.
“저는 부귀를 위해서가 아니라 다만 만백성을 구하고자 할 따름입니다.
승상께서 강을 건너시거든 아무쪼록 그들을 살해하지 마십시오.”
操曰:
「吾替天行道,安忍殺戮人民?」
조조가 말하였다.
“내가 하늘을 대신해 도를 행하거늘 어찌 차마 인민을 살육하겠소?”
統拜求榜文,以安宗族。
방통이 榜文을 요청하여 그 집안사람들을 지키려 하였다.
操曰:
「先生家屬,見居何處?」
조조가 말하였다.
“선생의 집안 식구들은 현재 어디에 있소?”
統曰:
「只在江邊。
若得此榜,可保全矣.」
방통이 말하였다.
“강변에 있는데 이 방문을 얻으면 (명을) 보전할 수 있겠습니다.”
操命寫榜僉押付統。
조조가 명하여 榜文을 써서 手押하여 방통에게 주었다.
統拜謝曰:
「別後可速進兵,休待周郎知覺.」
방통이 사례하였다.
“제가 떠난 뒤에 빨리 진군하시어 주랑이 알아차리기를 기다려선 안 됩니다.”
操然之。
조조가 그러겠다 하였다.
統拜別,至江邊,正欲下船,忽見岸上一人,道袍竹冠,一把扯住統曰:
「你好大膽!
黃蓋用苦肉計,闞澤下詐降書,你又來獻連環計,只恐燒不盡絕!
你們把出這等毒手來,只好瞞曹操,也須瞞我不得!」
방통이 작별 인사를 올리고 강변에 이르러 배에 타려 할 때였다. 문득 강기슭에서 도포를 입고 대나무 갓을 쓴 한 사람이 나타나서, 방통을 손으로 붙잡으며 말하였다.
“네가 참으로 대담하구나!
황개는 고육계를 쓰고, 감택은 거짓 항복 문서로 항복하더니, 너는 또 연환계를 바치는구나. 그러나 다 태우지는 못할 것이다!
너희가 저런 독한 방법을 가지고 조조를 잘 속였겠지만, 나를 속여 넘길 수는 없다!”
嚇得龐統魂飛魄散。
깜짝 놀란 방통이 魂飛魄散하였다.
正是:
莫道東南能制勝,誰云西北獨無人?
상황은 다음과 같다.
동남쪽이 능히 승리를 거두리라 말하지 말라! 서북쪽에 유독 사람이 없다고 누가 말하는가?
畢竟此人是誰,且看下文分解。
마침내 이 사람은 누굴까? 다음 문장의 설명을 또 보시라.
'漢詩와 漢文 > 삼국연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國演義(삼국연의)45회-三江口와 蔣幹 (0) | 2023.02.10 |
---|---|
三國演義(삼국연의)46회-孔明借箭과 黃蓋受刑 (0) | 2023.02.10 |
三國演義(삼국연의)48회-曹操賦詩와 北軍用武 (0) | 2023.02.10 |
三國演義(삼국연의)49회-七星壇과 三江口 (0) | 2023.02.10 |
三國演義(삼국연의)50회-關雲長이 義理로 曹操를 놓아주다. (0) | 2023.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