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三國演義(삼국연의)35회-玄德과 單福 본문

漢詩와 漢文/삼국연의

三國演義(삼국연의)35회-玄德과 單福

耽古樓主 2023. 2. 11. 04:28

第三十五回
玄德南漳逢隱淪單福新野遇英主.
제35회
玄德은 남장현에서 隱淪을 만나고, 單福이 신야에서 英主를 만나다.



卻說
蔡瑁方欲回城趙雲引軍趕出城來
각설,
채모가 성으로 돌아가려는데 조운이 군사를 이끌고 성을 나와 뒤쫓아 왔다.

原來趙雲正飲酒間忽見人馬動急入內觀之席上不見了玄德
알고 보니, 조운이 술을 마시고 있는데 갑자기 인마가 움직임을 보고, 급히 안으로 들어가 살펴보니 자리에 현덕이 보이지 않았다.

雲大驚出投館舍聽得人說
蔡瑁引軍望西趕去了。」
조운이 깜짝 놀라 관사로 달려가서, 사람들이
“채모가 군사들을 이끌고 서쪽으로 뒤쫓아 갔습니다.”
라고 하는 말을 들었다.

雲火急綽鎗上馬引著原帶來三百軍奔出西門正迎著蔡瑁急問曰
吾主何在?」
조운은 부리나케 창을 움켜쥐고 말에 올랐다. 원래 데리고 온 3백 군사를 이끌고 서문으로 달려 나가서 채모를 마주치자 급히 물었다.
“우리 주공께서 어디 계시오?”

瑁曰
使君逃席而去不知何往
채모가 말하였다.
“사군께서 술자리를 피해 가시던데 어디로 가셨는지 모르겠소.”

趙雲是謹細之人不肯造次即策馬前行
조운은 신중하고 세심한 사람이라 경솔하게 행동하지 않고 즉시 말에 채찍을 가해 앞으로 나아갔다.

遙望大溪別無去路乃復回馬喝問蔡瑁曰
汝請吾主赴宴何故引著軍馬追來?」
멀리 큰 냇물을 보니 갈 만한 길이 없어서 다시 말을 돌려 채모에게 큰소리로 물었다.
“자네는 우리 주공을 연회에 초청해 놓고 무엇 때문에 군마를 이끌고 뒤쫓았는가?”

瑁曰
九郡四十二州縣官僚俱在此吾為上將豈可不防護?」
채모가 말하였다.
“9군 42주현의 관료들이 모두 여기 있으니 내가 상장으로서 어찌 보호하지 않겠는가?”

雲曰
汝逼吾主何去了?」
조운이 말하였다.
“자네는 우리 주인을 핍박해서 어디로 가게 했는가?”

瑁曰
聞使君匹馬出西門到此卻又不見。」
채모가 말하였다.
“들으니, 사군께서 홀로 말을 몰아 서문을 나가셨다기에 여기까지 왔으나 찾지 못했네.”

雲驚疑不定直來溪邊看時只見隔岸一帶水跡
趙雲이 놀라고 의심스러워 안절부절못하다가 바로 냇가로 와서 보니 건너편 언덕에 물 묻은 흔적이 보였다.

雲暗忖曰:「
難道連馬跳過了溪去?」
조운이 속으로 헤아려보았다.
‘설마 말을 타고 냇물을 뛰어넘었는가?’

令三百軍四散觀望並不見蹤跡
3백 군사에게 사방으로 흩어져 찾아보게 명령했지만 아무런 자취를 찾지 못하였다.

雲再回馬時蔡瑁已入城去了
조운이 다시 말을 돌려갔을 때, 채모는 이미 성으로 들어간 후였다.

雲乃拏守門軍士追問皆說
劉使君飛馬出西門而去。」
이에 조운이 성문을 지키는 군사들을 붙잡아 추궁하자 모두 말하였다.
“유사군이 나는 듯이 말을 몰아 서문을 나갔습니다.”

雲再欲入城又恐有埋伏遂急引軍歸新野
조운이 다시 성으로 들어가려다가 매복이 있을까 두려워서 급히 군사들을 이끌고 신야로 돌아갔다.


卻說
玄德躍馬過溪似醉如痴
한편,
현덕은 말을 타고 냇물을 뛰어넘었으니 술에 취한 듯도 하고 넋이 나간 듯도 하였다.


此闊澗一躍而過豈非天意!」
생각하였다.
‘이렇게 넓은 냇물을 한 번에 뛰어넘다니 어찌 하늘의 뜻이 아니랴!’

迤邐望南漳策馬而行日將沈西
구불구불 남장현를 향해 말을 달려가는데 해가 곧 서쪽으로 기울어졌다.

正行之間見一牧童跨於牛背上口吹短笛而來
가는 중에 목동이 소 등에 타고 입으로 短笛을 불며 옴을 보았다.

玄德歎曰
吾不如也!」
현덕이 탄식하였다.
“내가 그만 못하구나!”

遂立馬觀之
그리고는 말을 세워 바라보았다.

牧童亦停牛罷笛熟視玄德
將軍莫非破黃巾劉玄德否?」
목동도 소를 세우고 피리 불기를 멈추고 현덕을 자세히 살펴보더니 말하였다
“장군께서는 황건적을 격파하신 유현덕이 아니십니까?”

玄德驚問曰:
汝乃村僻小童, 何以知吾姓字?」
현덕이 놀라 물었다.
“너는 벽촌의 어린아이인데, 어떻게 내 이름을 아느냐?”

牧童曰
我本不知因常侍師父有客到日多曾說有一劉玄德.
身長七尺五寸垂手過膝目能自顧其耳乃當世之英雄.
今觀將軍如此模樣想必是也。」
목동이 말하였다.
“저야 원래 몰랐지만, 늘 스승을 모시다 보니 손님이 오시는 날에는 유현덕이라는 분에 대해 많이 이야기하셨습니다.
키는 7척 5촌이요 손을 내려뜨리면 무릎을 지나고, 눈을 돌려서 자기 귀를 볼 수 있는데 바로 당세의 영웅이라 하셨습니다.
지금 보니 장군께서 그 모양과 같아서 그분이 틀림없다고 생각했습니다.”

玄德曰
汝師何人也?」
현덕이 말하였다.
“네 스승이 누구시냐?”

牧童曰
吾師覆姓司馬名徽字德操潁川人也
道號 水鏡先生』。」
목동이 말하였다.
“제 스승께서는 복성으로 司馬이고, 이름은 徽이며, 자는 德操이고 潁川人입니다.
道號는 水鏡先生입니다.”

玄德曰
汝師與誰為友?」
현덕이 말하였다.
“네 스승께서 누구와 벗하시느냐?”

小童曰
與襄陽龐德公龐統為友。」
어린아이가 말하였다.
“양양의 방덕공과 방통을 더불어 벗하십니다.”

玄德曰
龐德公乃龐統何人?」
현덕이 말하였다.
“방덕공과 방통은 어떤 사람이냐?”

童子曰
叔姪也
龐德公字山民長俺師父十歲龐統字士元少俺師父五歲
一日我師父在樹上採桑適龐統來相訪坐於樹下共相議論終日不倦
吾師甚愛龐統呼之為弟。」
동자가 말하였다.
“숙질간입니다.
龐德公은 자가 山民으로 제 스승보다 열 살이 많고, 龐統은 자가 士元인데 제 스승보다 다섯 살이 적습니다.
하루는 스승께서 나무 위에서 뽕을 따다가 마침 방통이 찾아와서 나무 아래 앉아 함께 말씀하시는데 종일 싫증을 내지 않았습니다.
제 스승께서 방통을 몹시 아껴서 그를 아우라 부릅니다.”

玄德曰
汝師今居何處?」
현덕이 말하였다.
“네 스승께서는 지금 어디 계시냐?”

牧童遙指曰
前面林中便是莊院。」
목동이 멀리 가리켜 말하였다.
“저 앞 숲속에 장원이 있습니다.”

玄德曰
吾正是劉玄德
汝可引我去拜見你師父。」
현덕이 말하였다.
“내가 바로 유현덕이다.
나를 네 스승께 데려가 인사드리게 해 다오.”

童子便引玄德
동자가 즉시 현덕을 안내하였다.

行二里餘到莊前下馬入至中門忽聞琴聲甚美
2리쯤 가니 장원에 이르렀고, 현덕이 말에서 내려 중문으로 들어가자 문득 거문고 소리가 들리는데, 매우 아름다웠다.

玄德教童子且休通報側耳聽之琴聲忽住而不彈
현덕이 동자더러 아직 알리지 말라고 하고, 귀를 기울여 감상하는데 거문고 소리가 갑자기 그치더니 더 연주하지 않았다.

一人笑而出曰
琴韻清幽音中忽起高抗之調必有英雄竊聽。」
한 사람이 웃으며 나와 말하였다.
“거문고 가락이 맑고 그윽하다가 갑자기 높은 音調가 일어남을 보니 틀림없이 영웅이 엿듣는구려.”

童子指謂玄德曰
此即吾師水鏡先生也。」
동자가 현덕에게 그를 가리키며 말하였다.
“이분이 바로 제 스승 수경선생이십니다.”

玄德視其人松形鶴骨器宇不凡
현덕이 그 사람을 보니 소나무와 학의 모습이고 풍채가 평범하지 않았다.

慌忙進前施禮衣襟尚濕
황망히 앞으로 다가가서 인사하는데 옷깃이 아직 젖어 있었다.

水鏡曰
公今日幸免大難!」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공께서 오늘 큰 어려움을 다행히 벗어나셨군요.”

玄德驚訝不已
현덕이 놀라 마지않았다.

小童曰
此劉玄德也。」
동자가 말하였다.
“이분은 유현덕이십니다.”

水鏡請入草堂分賓主坐定
수경선생이 초당으로 (현덕을) 불러들여 손님과 주인으로 나누어 자리를 잡고 앉았다.

玄德見架上滿堆書卷窗外盛栽松竹橫琴於石床之上清氣飄然
현덕이 보니 서가에 책들이 가득 쌓여 있고, 창밖으로 소나무와 대가 우거졌으며, 거문고는 돌로 만든 상 위에 가로 놓여 있어서, 맑은 기운이 퍼져 나왔다.

水鏡問曰
明公何來?」
수경선생이 물었다.
“명공께서 어찌 오셨습니까?”

玄德曰
偶爾經由此地因小童相指得拜尊顏不勝欣幸!」
현덕이 말하였다.
“우연히 이곳을 지나다가 동자가 알려주어서 존안을 뵙게 되었으니 기쁨과 행복함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水鏡笑曰
公不必隱諱
公今必逃難至此。」
수경선생이 웃으며 말하였다.
“공께서 숨기실 필요 없습니다.
공께서는 지금 틀림없이 난을 피해 여기 오셨을 터입니다.”

玄德遂以襄陽一事告之
현덕이 마침내 양양에서 일어난 일을 고하였다.

水鏡曰
吾觀公氣色已知之矣。」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제가 공의 기색을 보고 이미 알았습니다.”

因問玄德曰
吾久聞明公大名何故至今猶落魄不偶?」
그리고 현덕에게 물었다.
“제가 오래전부터 공의 큰 명성을 들어 왔는데 무슨 까닭으로 이제까지 곤궁하고 불우하십니까?”

玄德曰
命途多蹇所以至此。」
현덕이 말하였다.
“제 운명이 기구하여 이렇게 되었습니다.”

水鏡曰
不然
蓋因將軍左右不得其人耳。」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모두 장군의 측근에 인재를 얻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玄德曰
備雖不才文有孫乾糜竺簡雍之輩武有關趙雲之流竭忠相輔頗賴其力。」
현덕이 말하였다.
“제가 비록 재주가 없으나 문관에 손건, 미축, 간옹과 같은 사람이 있고, 무관에 관우, 장비, 조운 같은 사람들이 있어서 충성을 다해 보필하니, 그들의 힘에 자못 의지하고 있습니다.”

水鏡曰
趙雲皆萬人敵惜無善用之之人
若孫乾糜竺輩乃白面書生非經綸濟世之才也。」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관우, 장비, 조운은 모두 萬人을 맞설 만하지만, 善用之之人이 없으니 아쉽습니다.
손건, 미축 같은 사람이야 白面書生이지 經綸濟世之才는 아닙니다.”

玄德曰
備亦嘗側身以求山谷之遺賢奈未遇其人何!」
현덕이 말하였다.
“저 역시 일찍이 몸을 굽혀 山谷之遺賢을 찾았으나, 어찌 된 일인지 아직 그런 사람을 만나지 못했습니다!”

水鏡曰
豈不聞孔子云:『十室之邑必有忠信。』
何謂無人。」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신, ‘열 집이 있는 마을이라도 반드시 충성스럽고 믿음직한 사람이 있다.’라는 말을 듣지 못하셨습니까?
어찌 사람이 없다고 하십니까?”

玄德曰
備愚昧不識願賜指教。」
현덕이 말하였다.
“제가 우매해서 알아보지 못하니 바라건대 가르쳐 주십시오.”

水鏡曰:「公聞荊襄諸郡小兒謠言乎
其謠曰:『八九年間始欲衰至十三年無孑遺到頭天命有所歸泥中蟠龍向天飛。』
此謠始於建安初
建安八年劉景升喪卻前妻便生家亂此所謂始欲衰
無孑遺者』,不久則景升將逝文武零落無孑遺矣
天命有歸』,『龍向天飛』,蓋應在將軍也。」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공께서 형주와 양양의 여러 고을의 아이들이 부르는 노래를 들어 보셨습니까?
그 노래에 이르기를, ‘8, 9년 사이에 기울기 시작해, 13년에 남은 사람이 없겠네. 마침내 천명이 돌아갈 곳이 있으니, 진흙 속에 서린 용이 하늘을 향해 나는구나.’ 했습니다.
이 노래는 건안 초기에 나타났습니다.
건안 8년에 유경승이 전처를 잃어 집안의 분란이 생겼는데, 이것이 ‘기울기 시작한 것’입니다. ‘남은 사람이 없겠네.’라고 한 것은 오래지 않아서 유경승이 죽고, 문관과 무관이 모두가 떨어져 나가서 남은 사람이 없게 된다는 말입니다.
‘천명이 돌아갈 곳이 있고’와 ‘용이 하늘을 향해 나는구나’라고 한 것은 모두 장군에게 해당하는 말입니다.”

玄德聞言驚謝曰
備安敢當此?」
현덕이 그 말을 듣고 놀라 사양하였다.
“제가 어찌 그것을 감당하겠습니까?”

水鏡曰
今天下之奇才盡在於此公當往求之。」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지금 천하의 기재들은 모두 여기에 있으니 공께서 마땅히 가서 구해야 합니다.”

玄德 急問曰
奇才安在
果係何人?」
현덕이 급히 물었다.
“기재들이 어디 있습니까?
(그들은) 과연 누구와 관계가 있습니까?”

水鏡曰
伏龍鳳雛兩人得一可安天下。」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伏龍과 鳳雛 두 사람 중에 한 사람만 얻어도 천하를 안정시킬 수 있겠습니다.”

玄德曰
伏龍鳳雛何人也?」
현덕이 말하였다.
“복룡과 봉추는 누굽니까?”

水鏡撫掌大笑曰
!」
수경선생이 손뼉을 치고 크게 웃었다.
“좋습니다! 좋아요!”

玄德再問時水鏡曰
天色已晚將軍可於此暫宿一宵明日當言之。」
현덕이 다시 물었으나,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날이 이미 저물었으니 장군께서는 잠시 여기서 하룻밤을 묵으십시오. 내일 마땅히 말씀드리겠습니다.”

即命小童具飲饌相待馬牽入後院喂
즉시 동자에게 명하여 음식을 갖추어 대접하게 하고, 말을 후원으로 끌어다가 먹이를 주게 하였다.

玄德飲膳畢即宿於草堂之側
현덕이 식사를 마치고 곧 초당 옆방에서 잠자게 되었다.

玄德因思水鏡之言寢不成寐
현덕은 수경선생의 말이 생각나서 침상에 누웠으나 잠들지 못하였다.

約至更深忽聽一人叩門而入水鏡曰
元直何來?」
밤이 깊은데 문득 한 사람이 문을 두드리고 들어오자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원직은 무슨 일로 왔는가?”

玄德起床密聽之聞其人答曰
久聞劉景升善善惡惡特往謁之
及至相見徒有虛名蓋善善而不能用惡惡而不能去者也
故遺書別之而來至此。」
현덕이 침상에서 일어나 엿듣고 있는데, 그 사람이 대답하였다.
“오래전부터 들으니 유경승이 착한 사람을 좋아하고 악한 사람을 미워한다고 해서, 특별히 찾아가 뵈었소.
그러나 그를 만나보니 헛된 명성일 뿐이라, 착한 사람을 좋아해도 쓸 줄을 모르고 악한 사람을 미워해도 버릴 줄을 모르는 사람이었소.
그래서 글을 남겨 작별하고 여기로 왔소.”

水鏡曰
公懷王佐之才宜擇人而事奈何輕身往見景升乎
且英雄豪傑只在眼前公自不識耳。」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그대는 왕을 보좌할 재주를 품었으니 마땅히 사람을 가려서 모셔야 하는데, 어찌 몸을 가벼이 하여 경승을 찾아갔었소?
게다가 영웅호걸이 바로 눈앞에 있는데 그대 스스로 알아보지 못할 뿐이오.”

其人曰
先生之言是也。」
그 사람이 말하였다.
“선생의 말이 옳소.”

玄德聞之大喜暗忖此人必是伏龍鳳雛即欲出見又恐造次
현덕이 듣고 크게 기뻐하여, 속으로 이 사람이 틀림없이 복룡, 봉추라 여기고, 즉시 나가서 만나 보고 싶었지만, 한편으로 경솔할까 걱정하였다.

候至天曉玄德求見水鏡問曰
昨夜來者是誰?」
동이 트기를 기다려, 현덕이 수경선생에게 뵙기를 청하고 물었다.
“지난밤에 온 사람은 누구십니까?”

水鏡曰
此吾友也。」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그는 내 벗입니다.”

玄德求與相見
현덕이 만나게 해 달라고 청하였다.

水鏡曰
此人欲往投明主已到他處去了。」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그 사람은 밝은 군주를 찾아 몸을 의탁하려고, 벌써 다른 곳으로 떠났습니다.”

玄德請問其姓名
현덕이 그 성명을 물었다.

水鏡笑曰
!」
수경선생이 웃으며 말하였다.
“좋습니다! 좋아요!”

玄德再問
伏龍鳳雛果係何人?」
현덕이 다시 물었다.
“복룡과 봉추 가운데 누굽니까?”

水鏡亦只笑曰
!」
수경선생이 역시 웃으면서 말하였다.
“좋습니다! 좋아요!”

玄德拜請水鏡出山相助同扶漢室
현덕이 수경선생에게 산을 나가서 자기를 도와서 함께 한실을 돕기를 공경히 청하였다.

水鏡曰
山野閒散之人不堪世用
自有勝吾十倍者來助公公宜訪之。」
수경선생이 말하였다.
“산야에서 한가히 지내는 사람이라 세상에 쓰임을 감당하지 못합니다.
저보다 열 배는 나은 사람이 스스로 공을 도울 터이니, 공께서는 마땅히 그를 찾아가십시오.”

正談論間忽聞莊外人喊馬嘶小童來報
有一將軍引數百人到莊來也。」
이야기를 나누는 사이에 문득 장원 밖에서 사람이 떠들고 말이 우는 소리가 들리더니, 小童이 와서 보고하였다.
“어떤 장군이 수백 인을 이끌고 장원으로 왔습니다.”

玄德大驚急出視之乃趙雲也
현덕이 깜짝 놀라 급히 나가 보니 바로 조운이었다.

玄德大喜
현덕이 크게 기뻐하였다.

雲下馬入見曰
某夜來回縣尋不見主公連夜跟問到此
主公可作速回縣
只恐有人來縣中廝殺。」
조운이 말에서 내려 들어와 뵙고 말하였다.
“제가 밤에 현으로 돌아가 주공을 찾았으나 보이지 않아 밤이 되도록 종적을 물어물어 여기에 왔습니다.
주공께서 어서 현으로 돌아가셔야 합니다.
적들이 현을 덮쳐 살육할까 걱정입니다.”

玄德辭了水鏡與趙雲上馬投新野來
현덕이 수경선생을 작별하고 조운과 함께 말에 올라 신야로 갔다.

行不數里一彪人馬來到視之乃雲長益德也
몇 리 못 가서 한 떼의 군마가 다가오는데 바로 운장과 익덕이었다.

相見大喜
서로 만나 크게 기뻐하였다.

玄德訴說躍馬檀溪之事共相嗟訝
현덕이 말을 타고 단계를 뛰어넘은 일을 이야기하자 모두 감탄하면서 의아해하였다.

到縣中與孫乾等商議
고을에 이르러 손건 등과 더불어 상의하였다.

乾曰
可先致書於景升訴告此事。」
손건이 말하였다.
“먼저 유경승께 글을 보내 이 일을 알리십시오.”

玄德從其言即令孫乾齎書至荊州
현덕이 그 말에 따라 즉시 손건에게 글을 갖고 형주로 가라고 명하였다.

劉表喚入問曰
吾請玄德襄陽赴會緣何逃席而去?」
유표가 그를 불러들여 물었다.
“내가 현덕에게 양양의 모임에 가라고 했는데 왜 자리를 피해 가버렸느냐?”

孫乾呈上書札具言蔡瑁設謀相害賴躍馬檀溪得脫
손건이 서찰을 바쳐서, 채모가 음모를 꾸며 해치려 하여 말을 타고 단계를 뛰어넘어 위험을 벗어났음을 낱낱이 이야기하였다.

表大怒急喚蔡瑁責罵曰
汝焉敢害吾弟!」
유표가 크게 노해 급히 채모를 불러 꾸짖고 말하였다.
“네가 어찌 감히 내 아우를 해치느냐!”

命推出斬之
끌어내 목을 베라고 명령하였다.

蔡夫人出哭求免死表怒猶未息
채부인이 나와 울면서 살려달라고 매달리나, 유표의 노기가 가라앉지 않았다.

孫乾告曰
若殺蔡瑁恐皇叔不能安居於此矣。」
손건이 고하였다.
“만약 채모를 죽이면 황숙께서 여기에 편안히 계실 수가 없을까 걱정입니다.”

表乃責而釋之使長子劉琦同孫乾至玄德處請罪
유표가 이에 그를 꾸짖고 풀어주고 맏아들 유기에게 손건과 함께 현덕에게 가서 사죄하라고 하였다.

琦奉命赴新野玄德接著設宴相待
유기가 명을 받아 신야에 가자 현덕이 맞이해 잔치를 베풀어 대접하였다.

酒酣琦忽然墮淚
술이 거나하게 취하자 유기가 갑자기 눈물을 흘렸다.

玄德問其故
현덕이 그 까닭을 물었다.

琦曰
繼母蔡氏常懷謀害之心姪無計免禍幸叔父指教。」
유기가 말하였다.
“계모 채씨가 늘 저를 해칠 마음을 품고 있는데 저는 재앙을 벗어날 계책이 없으니 숙부께서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玄德勸以
小心盡孝自然無禍。」
현덕이 권하였다.
“조심해서 효를 다하면 자연히 災禍가 없어질 터이네.”

次日琦泣別
다음날, 유기가 울면서 작별하였다.

玄德乘馬送琦出郭因指馬謂琦曰
若非此馬吾已為泉下之人矣。」
현덕이 말을 타고 성곽을 나가 유기를 배웅하면서, 말을 가리키며 유기에게 말하였다.
“이 말이 아니었으면 나는 벌써 저승 사람이 되었을 터이네.”

琦曰
此非馬之力乃叔父之洪福也。」
유기가 말하였다.
“그것은 말의 덕분이 아니라 바로 숙부의 洪福입니다.”

說罷相別劉琦涕泣而去
이야기를 마치고 헤어지는데, 유기가 눈물을 흘리며 떠났다.

玄德回馬入城忽見市上一人葛巾布袍皂絛烏履長歌而來
현덕이 말을 돌려 입성하는데 문득 저잣거리에서 어떤 사람이 葛巾布袍로, 皂絛烏履하고 크게 노래를 부르며 왔다.

歌曰
<天地反覆兮火欲殂
大廈將崩兮一木難扶
山谷有賢兮欲投明主
明主求賢兮卻不知吾>
노래에 일렀다.
<천지가 뒤집히는구나, 불이 꺼지려 하네.
큰 집이 장차 무너지려 하는구나, 나무 하나로 받치기 어렵네.
산골에 어진 이가 있구나, 밝은 주인에게 가려 하네.
밝은 주인이 어진 이를 구하는구나, 그러나 나를 모르네.”

玄德聞歌暗思
此人莫非水鏡所言伏龍鳳雛乎?」
현덕이 노래를 듣고 속으로 생각하였다.
‘이 사람이 바로 수경선생이 말한 복룡이나 봉추가 아니겠는가?’

遂下馬相見邀入縣衙
말에서 내려 만나보고 縣衙로 맞아들였다.

問其姓名答曰
某乃潁上人也姓單名福
久聞使君納士招賢欲來投託未敢輒造
故行歌於市以動尊聽耳。」
그의 성명을 물으니, 답하였다.
“저는 영상현 사람으로 성은 單이고 이름은 福입니다. 오래전부터 사군께서 선비를 받아들이고 어진 이를 부른다고 들어서, 몸을 의탁하고 싶었으나 감히 곧바로 오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저잣거리에서 노래를 불러 공께서 들으시게 하였을 뿐입니다.”

玄德大喜待為上賓
현덕이 크게 기뻐하여 그를 상빈으로 대우하였다.

單福曰
使君所乘之馬再乞一觀。」
선복이 말하였다.
“지금 사군께서 타셨던 말을 다시 살펴보고 싶습니다.”

玄德命去鞍牽於堂下
현덕은 말의 안장을 풀고 당 아래로 끌고 오라고 명령하였다.

單福曰
此非的盧馬乎
雖是千里馬卻只妨主不可乘也。」
선복이 말하였다.
“이것은 적로마가 아닙니까?
비록 천리마지만 도리어 주인을 해칠 테니 타선 안 됩니다.”

玄德曰
已應之矣。」
현덕이 말하였다.
“벌써 그런 일을 당했습니다.”

遂具言躍檀溪之事
이어 단계를 뛰어넘은 일을 갖추어 이야기하였다.

福曰
此乃救主非妨主也
終必妨一主
某有一法可禳。」
선복이 말하였다.
“그것은 주인을 구한 것이지 주인을 해친 게 아닙니다.
결국 틀림없이 주인을 해칠 터입니다.
제게 액막이를 할 방법이 한 가지 있습니다.”

玄德曰
願聞禳法。」
현덕이 말하였다.
“액막이 방법을 듣고 싶소.”

福曰
公意中有讎怨之人可將此馬賜之
待妨過了此人然後乘之自然無事。」
선복이 말하였다.
“공의 마음속에 원수로 여기는 사람이 있으면 그에게 이 말을 주시면 됩니다.
그 사람을 해치기를 기다려 그 후에 타시면 자연히 무사하겠습니다.”

玄德聞言變色曰
公初至此不教吾以正道便教作利己妨人之事備不敢聞教。」
현덕이 말을 듣고 낯빛을 바꿔 말하였다.
“그대가 처음 여기에 와서 내게 정도를 가르치지 않고, 利己妨人之事를 가르치니, 나는 감히 가르침을 듣지 못하겠소.”

福笑謝曰
向聞使君仁德未敢便信故以此言相試耳。」
선복이 웃으며 사과하였다.
“예전에 사군의 어진 덕을 듣고도 아직 감히 바로 믿지 못하여, 이런 말로써 시험해 봤을 뿐입니다.”

玄德亦改容起謝曰
備安能有仁德及人惟先生教之。」
현덕도 역시 표정을 고치고 일어나 사과하였다.
“내게 무슨 인덕이 있어서 남에게 미치겠소. 선생께서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福曰
吾自潁上來此聞新野之人歌曰:
新野牧劉皇叔自到此民豐足。』
可見使君之仁德及人也。」
선복이 말하였다.
“제가 영상현으로부터 여기로 와서 듣자니 신야 사람들이 노래하여 이르기를,
‘신야를 다스리는 유황숙이 여기 오신 뒤로부터 백성들이 풍족하네.’라고 했으니,
사군의 어진 덕이 사람들에게 미침을 알 수 있습니다.”

玄德乃拜單福為軍師調練本部人馬
이에 현덕이 선복을 軍師로 삼아 本部人馬를 조련하게 했다


卻說
曹操自冀州回許都常有取荊州之意特差曹仁李典並降將呂曠呂翔等領兵三萬屯樊城虎視荊就探看虛實
한편,
조조가 기주에서 허도로 돌아와, 항상 형주를 취할 뜻을 가지고 특별히 조인과 이전을 차출하고 항장 여광, 여상과 함께 3만 군사를 거느리고, 번성에 주둔해 형주와 양양을 호시탐탐 노리면서 그 허실을 알아보았다.

時呂曠呂翔稟曹仁曰
今劉備屯兵新野招軍買馬積草儲糧其志不小不可不早圖之
吾二人自降丞相之後未有寸功願請精兵五千取劉備之頭以獻丞相。」
이때 여광과 여상이 조인에게 아뢰었다.
“지금 유비가 신야에 주둔하여 군사를 모으고 말을 사들이고, 양초를 쌓아 그 뜻이 작지 않으니 어서 그들을 도모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 두 사람이 승상께 항복한 뒤 작은 공도 없으니, 바라건대 정병 5천을 청하여 유비의 머리를 취하여 승상께 바치고 싶습니다.”

曹仁大喜與二呂兵五千前往新野廝殺
조인이 크게 기뻐하여 두 여씨에게 5천 병력을 주어 신야로 쳐들어가게 하였다.

探馬飛報玄德
정찰 기병이 현덕에게 급히 보고하였다.

玄德請單福商議
현덕이 선복을 불러 상의하였다.

福曰
既有敵兵不可令其入境
可使關公引一軍從左而出以敵來軍中路張飛引一軍從右而出以敵來軍後路
公自引趙雲出兵前路相迎敵可破矣。」
선복이 말하였다.
“적병이 오니, 그들이 地境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해야 합니다.
관우는 1군을 이끌고 왼쪽에서 나가 침입군의 가운데를 대적하고, 장비는 1군을 이끌고 오른쪽에서 나가 침입군의 퇴로를 막게 하십시오.
공께서는 조운을 이끌고 출병해 앞길을 막으면 적군을 깨드릴 수 있겠습니다.”

玄德從其言即差關張二人去訖然後與單福趙雲等共引二千人馬出關相迎
현덕이 그 말에 따라 즉시 관우, 장비 두 사람을 차출하여 보내기를 마쳤다.
그런 다음 선복, 조운 등과 함께 2천 인마를 이끌고 관을 나가 맞이하였다.

行不數里只見山後塵頭大起呂曠呂翔引軍來到
채 몇 리도 못 가서, 산 뒤에서 먼지가 크게 일더니, 여광, 여상이 군사를 이끌고 이르렀다.

兩邊各射住陣角
양쪽이 각각 진을 쳤다.

玄德出馬於旗門下大呼曰
來者何人敢犯吾境?」
현덕이 말을 타고 기문 아래에서 크게 외쳤다.
“온 자가 누구이기에 감히 우리 경계를 침범하느냐?”

呂曠出馬曰
吾乃大將呂曠也奉丞相命特來擒汝!」
여광이 출마해 말하였다.
“내가 바로 대장 여광이다.
승상의 명을 받들어 특별히 너를 잡으러 왔다!”

玄德大怒使趙雲出馬
현덕이 크게 노하여 조운을 나가게 하였다.

二將交戰不數合趙雲一鎗刺呂曠於馬下
두 장수가 맞붙어 몇 합 되지 않아서 조운이 한 창에 여광을 찔러 말 아래로 떨어뜨렸다.

玄德麾軍掩殺呂翔抵敵不住引軍便走
현덕이 군사를 휘몰아 쳐들어가자 여상이 막지 못해 군사들을 이끌어 달아났다

正行間路旁一軍突出為首大將乃關雲長也
衝殺一陣呂翔折兵大半奪路走脫
한창 달아나는데 길가에서 1군이 돌출하는데, 앞장선 대장은 바로 관운장이었다.
한바탕 무찌르니, 여상이 병력 태반을 잃고 길을 뚫어 달아나 벗어났다.

行不到十里又一軍攔住去路為首大將挺矛大叫
張益德在此!」
直取呂翔
10리를 못 가서 다시 1군이 갈 길을 막아서는데, 앞장선 대장이 장팔사모를 들어 크게 외치기를,
“장익덕이 여기 있다!” 하고,
곧장 여상에게 달려들었다.

翔措手不及被張飛一矛刺中翻身落馬而死
여상이 손을 쓰기에 못미쳐 장비에게 한 창에 찔려 몸이 뒤집혀서 낙마해 죽었다.

餘眾四散奔走
나머지 무리는 사방으로 흩어져 달아났다.

玄德合軍追趕大半多被擒獲
현덕이 군을 합쳐 뒤쫓아 태반이 사로잡혔다.

玄德班師回縣重待單福稿賞三軍
현덕이 군사를 거두어 현으로 돌아와 선복을 후대하고 3군을 호궤하고 포상하였다.


卻說
敗軍回見曹仁報說
二呂被殺軍士多被活捉。」
한편,
패잔병들이 돌아가 조인을 만나 보고하였다.
“두 여씨가 죽고 군사들이 많이 사로잡혔습니다.”

曹仁大驚與李典商議
조인이 깜짝 놀라 이전과 더불어 상의하였다.

典曰
二將欺敵而亡今只宜按兵不動申報丞相, 起大兵來征剿乃為上策。」
이전이 말하였다.
“두 장수가 적을 업신여기다가 죽었으니, 지금 군대의 행동을 잠시 중지하고, 승상께 아뢰어 大軍을 일으켜 그들을 섬멸함이 상책이겠습니다.”

仁曰
不然
今二將陣亡死折許多軍馬此讎不可不急報
量新野彈丸之地何勞丞相大軍?」
조인이 말하였다.
“그렇지 않소.
지금 두 장수가 전사했고 허다한 군사와 말이 죽었으니, 이 원수를 어서 갚지 않을 수가 없소.
신야는 彈丸之地(아주 작은 땅)이거늘 어찌 승상의 대군을 수고롭게 하겠소?”

典曰
劉備人傑也不可輕視。」
이전이 말하였다.
“유비는 人傑이라 가볍게 볼 수 없습니다.”

仁曰
公何怯也!」
조인이 말하였다.
“그대는 어찌 겁을 내시오!”

典曰
兵法云:『知彼知己百戰百勝。』
某非怯戰但恐不能必勝耳。」
이전이 말하였다.
“병법에 이르길,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 백번 이긴다.’라고 했습니다.
내가 싸움을 겁냄이 아니라, 반드시 이기지 못할까 걱정할 뿐입니다.”

仁怒曰
公懷二心耶
吾必欲生擒劉備!」
조인이 성을 내어 말하였다.
“그대가 딴마음을 먹었소?
내가 틀림없이 유비를 사로잡을 터이오!”

典曰
將軍若去某守樊城。」
이전이 말하였다.
“장군께서 가시면 저는 번성을 지키겠습니다.”

仁曰
汝若不同去真懷二心矣!」
조인이 말하였다.
“네가 같이 가지 않으면 참으로 딴마음을 품었음이다!”

典不得已只得與曹仁點起二萬五千軍馬渡河投新野而來
이전은 부득이 조인과 더불어 2만 5천 군마를 뽑아 강을 건너 신야를 향해 나아갔다.

正是偏裨既有輿尸主將重興雪恥兵
이런 상황이다.
< 부하 장수가 죽어 수레에 실려 오는 치욕을 당하자, 주장이 치욕을 씻는 군사를 다시 일으키네.>

未知勝負何如且聽下文分解
승부가 어찌 될까? 아래의 글이 설명함을 또 들으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