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囊橐(낭탁)
국어사전에 ‘제 차지로 만든 물건’이라고 풀이하여 놓았다.
‘囊(주머니 낭)’은 ‘口袋’라 하여 주머니 형태의 자루를 말하고, ‘橐’은 양쪽을 봉하지 않고 물건을 담은 뒤 양쪽을 묶어서 운반하는 자루를 가리킨다.
(34) 狼狽(낭패)
국어사전에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기대에 어긋나 딱하게 되는 것’ 라고 풀이하였다.
博物典彙에 狼前二足長後二足短, 狽前二足短後二足長, 狼無狽不立, 狽無狼不行’이라 하여, ‘狼(이리 랑)’이란 짐승은 앞다리가 길고 뒷다리가 짧은 데 비하여, 狽(짐승 이름 패)’는 앞다리가 짧고 뒷다리가 길어서, 狼과 浿는 반드시 서로 의지하고 다녀야 한다. 그러므로 서로 떨어지게 되면 움직일 수 없는 데서 일이 어긋나 딱하게 되다의 뜻으로 쓰이었다.
(35) 隊伍(대오)
국어사전에 ‘편성된 대열’이라고 풀이하였다.
‘隊(대 대)’는 군중을 모으는 것이고, ‘伍(대오 오)’는 옛날 軍制에서 다섯 명의 편조를 뜻한다.
(36) 逃亡(도망)
국어사전에 ‘피하거나 쫓겨 달아나는 것’이라고 풀이하였다.
‘逃(달아날 도)’는 멀리 달아나다의 뜻이고, ‘亡(잃을 망)’은 들어가 숨다의 뜻으로 차이가 있다.
(37) 都邑(도읍)
국어사전에 ‘서울’이라고만 풀이하였다.
字典에는 ‘有宗廟先君之主曰都, 無宗廟先君之主邑’ 이라 하여, ‘都’는 곧 돌아간 임금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 있는 王都를 일컫고, 宗廟가 없는 도시는 ‘邑’ 이라고 일컬었다.
(38) 棹楫(도즙)
일반적으로 棹(도)와 楫(즙)을 모두 배를 젓는 노라고 하고 있으나, 棹(櫂)는 긴 노를 뜻하고. 楫은 짧은 노를 뜻한다.
(39) 毒藥(독약)
국어사전에 ‘적은 양으로써 맹렬한 작용이 있어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독성을 가진 약제’라고 풀이하였다.
‘毒(독)’은 본래 毐(음란할 애)’에서 연원된 字이다.
毐(애)’는 곧 士와 毋(말 무)의 合字로 곧 선비가 아닌 行者라는 뜻이다. ‘毐(애)’에 풀싹의 형태인 자획을 더하여 ‘毒’의 字形이 ‘毒’으로 변하여 선비가 아닌 것 곧 몸에 이익이 되지 않는 풀이란 뜻에서 ‘독풀’의 뜻으로 쓰인 것이다.
’藥’은 字形 그대로 풀(艹)중에 病을 치료하는 풀을 먹으면 마음이 즐겁다는 뜻에서 樂(즐거울 락)을 더하여 形聲字 겸 會意字로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毒藥은 본래는 毒草와 藥草라는 뜻이다.
(40) 凳椅(등의)
국어사전에는 凳子(등자)와 椅子(의자)를 구별하지 않고 의자라고 하였다.
凳子(등자)는 뒤에 기대는 것이 없는 의자이고, 椅子(의자)는 기대는 것이 있는 의자이다.
(41) 鹵鹽(노염)
국어사전에는 鹵鹽이 실려 있지 않다.
鹵는 天然의 소금을 뜻하고 鹽(소금 염)’은 人造 소금을 뜻한다.
鹽은 鹵와 監(볼 감)의 形聲字이다. 곧 ‘염’의 字音은 ‘監’이 변한 것이다.
(42) 鏤刻(누각)
국어사전에 ‘금속이나 나무에 글씨·그림을 아로새기는 것’이라고 풀이하였다.
쇠붙이에 새기는 것을 ‘鏤(누)’라 하고, 나무에 새기는 것을 ‘刻(각)’ 이라고 하여 구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