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三國演義(삼국연의)32회-冀州와 許攸 본문
第三十二回
奪冀州袁尚爭鋒 決漳河許攸獻計.
제32회
기주를 빼앗으려 원상이 다투고, 장하를 트려 허유가 계책을 바치다.
卻說
袁尚自斬史渙之後,自負其勇,不待袁譚等兵至,自引兵數萬出黎陽,與曹軍前隊相迎。
한편,
원상은 사환을 벤 뒤로 자신의 용맹을 自負하여 원담 등의 병력이 오기를 기다리지 않고, 스스로 군사 수만을 이끌고 여양으로 나가서 曹軍前隊를 맞았다.
張遼當先出馬,袁尚挺鎗來戰,不三合,架隔遮攔不住,大敗而走。
장요가 앞장서서 出馬하자 원상도 창을 꼬나쥐고 덤벼들어, 3 합이 되지 않아 물리치지도 막아내지도 못하고 크게 져서 달아났다.
張遼乘勢掩殺,袁尚不能主張, 急急引軍奔回冀州。
장요가 기세를 타 습격하자 원상이 어쩔 줄 몰라 급급히 군사를 이끌고 기주로 돌아갔다.
袁紹聞袁尚敗回,又受了一驚,舊病復發,吐血數斗,昏倒在地。
원소는 원상이 패하여 돌아왔음을 알고 또다시 한번 놀라니 예전의 병이 재발해서 피를 여러 말 토하고 혼절해 바닥에 쓰러졌다.
劉夫人慌救入臥內,病勢漸危。
유부인이 황급히 부축하여 안으로 들어와 눕혔으나, 병세가 점점 위태로워졌다.
劉夫人急請審配、逢紀,直至袁紹榻前,商議後事。
유부인이 급히 심배와 봉기를 부르고 곧장 원소의 침상으로 가서 후사를 상의하였다.
紹但以手指而不能言。
원소가 단지 손가락으로 가리킬 뿐 말을 하지 못하였다.
劉夫人曰:
「尚可繼後嗣否?」
유부인이 말하였다.
“원상이 후사를 이으라는 것입니까?”
紹點頭。
원소가 고개를 끄덕였다.
審配便就榻前寫了遺囑。
審配가 침상 앞으로 가서 遺囑을 적었다.
紹翻身大叫一聲,又吐血斗餘而死。
원소가 몸을 뒤집어 크게 외마디 비명을 지르더니 또다시 피를 한 말 남짓 토하고 죽었다.
後人有詩曰:
후인이 시를 지어 일렀다.
<累世公卿立大名,少年意氣自縱橫。
空招俊傑三千客, 漫有英雄百萬兵。
羊質虎皮功不就, 鳳毛雞膽事難成。
更憐一種傷心處, 家難徒延兩弟兄。>
<대대로 공경벼슬로 명성을 날리고, 젊어서 품은 뜻은 거침없이 펼쳤네.
헛되이 준걸 삼천을 빈객으로 부르고, 함부로 영웅이라며 백만대군을 거느렸구나.
羊質虎皮로 공을 이루지 못하고, 鳳毛雞膽이니 일을 이루기 어려웠네.
가여워라 한가지 마음 아픈 것은, 집안이 어려운데 쓸데없이 두 형제를 끌어들였네.>
袁紹既死,審配等主持喪事。
원소가 죽자 심배 등이 장례를 주관하였다.
劉夫人便將袁紹所愛寵妾五人,盡行殺害;又恐其陰魂於九泉之下,再與紹相見,乃髡其髮,刺其面,毀其屍:其妒惡如此。
유부인은 원소가 총애하던 첩 다섯을 모조리 살해하였다. 또 그들의 죽은 귀신이 구천에서 원소를 다시 만날까 두려워서 머리카락을 다 뽑고 얼굴을 난자하고 시신을 훼손하였다. 그의 시기하고 모질기가 이와 같았다.
袁尚恐寵妾家屬為害,並收而殺之。
원상은 애첩의 가속들이 해칠까 걱정하여 그들도 모조리 잡아 죽였다.
審配、逢紀,立袁尚為大司馬將軍,領冀、青、幽、并四州牧,遣使報喪。
심배와 봉기가 원상을 대사마 장군으로 삼고 기주, 청주, 유주, 병주 4주의 牧을 맡게 하고, 사자를 보내 報喪하였다.
此時袁譚已發兵離青州;知父死,便與郭圖、辛評商議。
이때 원담이 군사를 일으켜 청주를 떠나 오다가 아버지의 죽음을 알고, 郭圖、辛評과 상의하였다.
圖曰:
「主公不在冀州,審配、逢紀必立顯甫為主矣。
當速行。」
곽도가 말하였다.
“주공께서 기주에 없는 동안에 심배와 봉기가 틀림없이 현보를 주인으로 세웠을 것입니다.
서둘러 가야 합니다.”
辛評曰:
「審、逢二人,必預定機謀。
今若速往,必遭其禍。」
신평이 말하였다.
“심배와 봉기 두 사람이 틀림없이 미리 계략을 정했을 것입니다.
지금 서둘러 가면 틀림없이 災禍를 만날 것입니다.”
袁譚曰:
「若此當如何?」
원담이 말하였다.
“만약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겠소?”
郭圖曰:
「可屯兵城外,觀其動靜。
某當親往察之。」
곽도가 말하였다.
“성밖에 군사를 주둔하고 그 동정을 살펴야 합니다.
제가 직접 가서 살펴보겠습니다.”
譚依言。
원담이 그 말을 따랐다.
郭圖遂入冀州,見袁尚禮畢,尚問:
「兄何不至?」
그리하여 곽도가 기주로 들어가서 원상을 만나서 인사를 마치자, 원상이 말하였다.
“형은 왜 오지 않았소?”
圖曰:
「因抱病在軍中,不能相見。」
곽도가 말하였다.
“몸이 아파서 군중에 계시니, 뵐 수가 없습니다.”
尚曰:
「吾受父親遺命,立我為主,加兄為車騎將軍。
目下曹軍壓境,請兄為前部,吾隨後便調兵接應也。」
원상이 말하였다.
“나는 부친의 유명을 받기를, 나를 세워 주인으로 삼고 형님을 거기장군으로 삼으라 했소.
지금 조조 군대가 지경을 위협하니, 청컨대 형이 前部가 되면 내가 뒤따라 군사를 조달하여 접응하겠소.”
圖曰:
「軍中無人商議良策,願乞審正南、 逢元圖二人為輔。」
곽도가 말하였다.
“군중에서 좋은 계책을 상의할 사람이 없어 바라건대 심정남(심배), 봉원도(봉기) 두 사람으로 보필하게 해주십시오.”
尚曰:
「吾亦欲仗此二人早晚畫策,如何離得?」
원상이 말하였다.
“나 역시 이 두 사람에게 기대어 조만간 계획을 세우려는데 어찌 떠나보내겠소?”
圖曰:
「然則於二人內遣一人去,何如?」
곽도가 말하였다.
“그렇다면 두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을 보내는 건 어떻습니까?”
尚不得已,乃令二人拈鬮,拈著者便去。
원상이 부득이 두 사람에게 제비를 뽑아 뽑은 사람이 가도록 하였다.
逢紀拈著,尚即命逢紀齎印綬,同郭圖赴 袁譚軍中。
봉기가 제비를 뽑았으므로, 원상이 명하여 봉기에게 印綬를 가지고 곽도와 함께 원담의 군중으로 가게 하였다.
紀隨圖至譚軍,見譚無病,心中不安,獻上印綬。
봉기가 곽도를 따라 원담의 군중으로 가서, 원담이 병이 없음을 보고 심중에 불안해하며 (거기장군의) 인수를 바쳤다.
譚大怒,欲斬逢紀。
원담이 크게 노하여 봉기를 참하려 하였다.
郭圖密諫曰:
「今曹軍壓境,且只款留逢紀在此, 以安尚心。
待破曹之後,卻來爭冀州不遲。」
곽도가 은밀히 간하였다.
“지금 조조의 군대가 지경을 위협하고 있으니. 잠시 봉기를 환대하여 여기에 머물러 두고 원상의 마음을 안심시키십시오.
조조를 격파한 후를 기다려 기주를 다퉈도 늦지 않겠습니다.”
譚從其言。
원담이 그 말을 따랐다.
即時拔寨起行,前至黎陽,與曹軍相抵。
즉시 영채를 거두고 진군하여 여양에 이르러 曹軍과 맞닥뜨렸다.
譚遣大將汪昭出戰,操遣徐晃迎敵。
원담이 대장 汪昭를 출전시키자 조조가 서황을 보내 맞서게 하였다.
二將戰不數合,徐晃一刀斬汪昭於馬下。
두 장수가 맞붙어 몇 합이 되지 않아 서황이 한칼에 왕소를 베어 말 아래 떨어뜨렸다.
曹軍乘勢掩殺,譚軍大敗。
曹軍이 기세를 타고 습격하자 원담의 군사는 대패하였다.
譚收敗軍入黎陽,遣人求救於尚。
원담이 패잔병을 거두어 여양으로 들어가서 사람을 보내 원상에게 구원을 청하였다.
尚與審配計議,只發兵五千餘人相助。
원상이 심배와 의논하여 겨우 5천여 군사를 보내어 도와주었다.
曹操探知救軍已到,遣樂進、李典引兵於半路接著,兩頭圍住盡殺之。
조조는 구원군이 왔음을 탐지하고 악진과 이전을 보내어 병력을 이끌고 도중에서 응접하게 하니, (두 장수가) 양 갈래로 에워싸고 모조리 죽였다.
袁譚知尚止撥兵五千,又被半路坑殺,大怒,乃喚逢紀責罵。
원담은 원상이 겨우 5천 군사를 보내어 도중에서 생매장당했음을 알고, 크게 노하여 봉기를 불러 책망하고 욕하였다.
紀曰:
「容某作書致主公,求其親自來救。」
봉기가 말하였다.
“제가 주공께 글을 쓰도록 허용하신다면, 주공께서 직접 와서 구원하도록 요청하겠습니다.”
譚即令紀作書,遣人到冀州致袁尚。
원담이 즉시 봉기에게 글을 쓰게 하여, 기주의 원상에게 사람을 보냈다.
尚與審配共議。
원상이 심배와 함께 의논하였다.
配曰:
「郭圖多謀,前次不爭而去者,為曹軍在境也。
今若破曹,必來爭冀州矣。
不如不發救兵,借操之力以除之。」
심배가 말하였다.
“곽도는 꾀가 많은데 지난번에 다투지 않고 떠난 것은 조조군이 지경에 와 있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만약 조조를 격파하면 틀림없이 기주를 다투러 올 것입니다.
구원병을 보내지 않고 조조의 힘을 빌려서 그를 제거함이 낫겠습니다.”
尚從其言,不肯發兵。
원상이 그 말을 따라 병력을 보내려 하지 않았다.
使者回報,譚大怒,立斬逢紀,議欲降曹。
사자가 돌아와 알리자 원담이 크게 노하여 그 자리에서 봉기를 참수하고, 조조에게 항복하고자 의논하였다.
早有細作密報袁尚。
어느새 세작이 원상에게 몰래 알렸다.
尚與審配議曰:
「使譚降曹,並力來攻,則冀州危矣。」
원상이 심배와 의논하였다.
“원담이 조조에게 항복하여 힘을 합쳐 공격하면 기주가 위태롭겠소.”
乃留審配並大將蘇由固守冀州,自領大軍來黎陽救譚。
이에 심배와 대장 蘇由를 남겨 기주를 굳게 지키게 하고, 스스로 대군을 이끌어 여양으로 원담을 구원하러 가기로 하였다.
尚問軍中誰敢為前部,大將呂曠、呂翔兄弟二人願去。
원상이 군중에 누가 용감히 前部가 되겠는지 물으니, 대장 呂曠、呂翔 형제 두 사람이 가기를 원하였다.
尚點兵三萬,使為先鋒,先至黎陽。
원상이 군사 3만을 뽑아 선봉으로 삼고 먼저 여양에 이르게 하였다.
譚聞尚自來,大喜,遂罷降曹之議。
원담은 원상이 직접 옴을 알고 크게 기뻐하여 降曹之議를 그만두었다.
譚屯兵城中,尚屯兵城外,為犒角之勢。
원담은 성안에 주둔하고 원상은 성밖에 주둔해 의각지세(군대를 나누어 적을 견제하거나 협공하는 형세)를 이루었다.
不一日,袁熙、高幹皆領軍到城外,屯兵三處,每日出兵與操相持。
하루가 지나지 않았는데 원희와 고간이 모두 군사들을 거느리고 성밖에 도착하여 세 곳에 주둔하고 날마다 출병해 조조와 대적하였다.
尚屢敗,操兵屢勝。
원상은 여러 번 패하였고 조조군은 거듭 이겼다.
至建安八年春二月,操分路攻打,袁譚、袁熙、袁尚、高幹皆大敗,棄黎陽而走。
건안 8년 봄 2월에 이르러 조조가 병력을 나눠 공격하자 원담, 원희, 원상, 고간이 모두 대패해 여양을 버리고 달아났다.
操引兵追至冀州。
조조가 병력을 이끌고 추격하여 기주에 이르렀다.
譚與尚入城堅守;熙與幹離城三十里下寨,虛張聲勢。
원담이 원상과 함께 입성해 굳게 지키고, 원희는 고간과 더불어 성 밖 30리에 주둔하여 虛張聲勢를 보였다.
操兵連日攻打不下。
조조군이 연일 공격하였으나 함락하지 못하였다.
郭嘉進曰:
「袁氏廢長立幼,而兄弟之間,權力相拚,各自樹黨,急之則相救,緩之則相爭;
不如舉兵南向荊州,征討劉表,以候袁氏兄弟之變;
變成而後擊之,可一舉而定也。」
곽가가 진언하였다.
“원씨는 廢長立幼하고 형제 사이에 권력을 서로 다투고 각자 무리를 지어, 급해지면 서로 구원하고 느슨해지면 서로 싸웁니다.
군사를 들어서 남쪽의 형주로 향하여 유표를 토벌하면서 원씨 형제의 변고를 기다림이 낫겠습니다. 변고가 생긴 뒤에 공격하면 一擧에 평정할 수 있겠습니다.”
操善其言, 命賈詡為太守,守黎陽;曹洪引兵守官渡。
조조가 그 말이 옳다고 여기고, 가후를 태수로 삼아 여양을 지키게 하고, 조홍은 군사를 이끌고 官渡를 지키게 하였다.
操引大軍向荊州進兵。
조조는 대군을 이끌고 형주로 진군하였다.
譚、尚聽知曹軍自退,遂相慶賀。
원담과 원상은 조조군이 스스로 물러남을 알고 서로 축하하였다.
袁熙、高幹各自辭去。
원희와 고간은 각자 작별하고 떠났다.
袁譚 與郭圖、辛評議曰:
「我為長子,反不能承父業;尚乃繼母所生,反承大爵;心實不甘。」
원담이 곽도와 신평에게 의논하여 말하였다.
“내가 장자인데 도리어 부친의 유업을 잇지 못하고, 원상은 계모의 소생인데 도리어 큰 작위를 물려받았으니 마음이 참으로 달갑지 못하오.”
圖曰:
「主公可勒兵城外,只做請顯甫、審配飲酒,伏刀斧手殺之,大事定矣。」
곽도가 말하였다.
“주공께서 성밖에 군사를 머물러 두고, 현보(원상)와 심배를 청하여 술을 마실 때, 매복해 있던 도부수가 그들을 죽이기만 하면 대사는 결정될 것입니다.
譚從其言。適別駕王修自青州來,譚將此計告之。
원담이 그 말에 따르려 하는데, 마침 別駕 王修가 청주에서 오니, 원담이 그 계책을 알려주었다.
修曰:
「兄弟者,左右手也。
今與他人爭鬥,斷其右手,而曰我必勝,安可得乎?
夫棄兄弟而不親,天下其誰親之?
彼讒人離間骨肉,以求一朝之利,願塞耳勿聽也。」
왕수가 말하였다.
“형제는 좌우의 손입니다.
지금 다른 사람과 싸우면서 자기의 오른손을 잘라버리고, 내가 틀림없이 이기겠다고 말하면, 어찌 납득하겠습니까?
무릇 형제를 버리고 친하지 않은데, 하늘 아래 누가 그와 친하게 지내겠습니까?
저 참소하는 사람은 골육을 이간하여 한때의 이익을 구함이니, 원컨대 귀를 막고 듣지 마십시오.”
譚怒,叱退王修,使人去請袁尚。
원담이 노하여 왕수를 꾸짖어 물리치고 사람을 보내어 원상을 초청하였다.
尚與審配商議。配曰:
「此必郭圖之計也。主公若往,必遭奸計;
不如乘勢攻之。」
원상이 심배와 함께 상의하니 심배가 말하였다.
“이것은 틀림없이 곽도의 계략입니다. 주공께서 가시면 틀림없이 간계에 빠지십니다.
우세한 군사력으로 공격함이 낫겠습니다.”
袁尚依言,便披挂上馬,引兵五萬出城。
원상이 그 말을 따라 갑옷을 입고 말을 올라 군사 5만을 이끌고 성을 나갔다.
袁譚見袁尚引軍來,情知事洩,亦即披挂上馬,與尚交鋒。
원담은 원상이 군사를 이끌고 옴을 보고, 일이 누설된 정황을 알고 역시 갑옷을 입고 말에 올라 원상과 싸웠다.
尚見譚大罵。譚亦罵曰:
「汝藥死父親,篡奪爵位,今又來殺兄耶!」
원상이 원담을 보고 큰소리로 욕하자 원담 역시 욕하였다.
“너는 부친을 독살하고 작위를 찬탈하더니, 지금 또 형을 죽이려 하느냐!”
二人親自交鋒,袁譚大敗。
두 사람이 직접 맞붙어 싸워 원담이 대패하였다.
尚親冒矢石,衝突掩殺。
원상이 친히 화살과 돌을 무릅쓰고 돌진하여 닥치는 대로 죽였다.
譚引敗軍奔平原,尚收兵還。
원담이 패잔병을 이끌고 평원으로 달아나자, 원상이 병력을 거둬 돌아갔다.
袁譚與郭圖再議進兵,令岑璧為將,領兵前來。
원담이 곽도와 다시 진군하기로 상의하고, 岑璧을 장수로 삼아 병력을 거느리고 가도록 명하였다.
尚自引兵出冀州。
원상이 몸소 병력을 이끌고 기주에서 나왔다.
兩陣對圓,旗鼓相望。
양쪽이 마주보고 둥글게 포진하였는데, 깃발을 나부끼고 북을 울리며 대치하였다.
璧出罵陣;尚欲自戰,大將呂曠,拍馬舞刀,死戰岑璧;
二將戰無數合,曠斬岑璧於馬下。
잠벽이 진을 나오며 욕하니 원상이 직접 싸우려 하는데, 대장 여광이 말을 박차고 칼을 휘두르며 잠벽과 죽기로 싸웠다.
두 장수가 몇 합을 겨루지 않아서 여광이 잠벽을 베어 말 아래로 떨어뜨렸다.
譚兵又敗,再奔平原。
원담의 병력이 다시 패하여 평원으로 달아났다.
審配勸尚進兵,追至平原。
심배가 원상에게 진격하라 권하여 평원까지 추격하였다.
譚抵擋不住,退入平原,堅守不出。
원담이 막아내지 못하여 평원성으로 퇴각하여 들어가서 굳게 지키며 나오지 않았다.
尚三面圍城攻打。
원상이 3면으로 성을 에워싸고 공격하였다.
譚與郭圖計議,圖曰:
「今城中糧少,彼軍方銳,勢不相敵。
愚意可遣人投降曹操,使操將兵攻冀州,尚必還救。
將軍引兵夾擊之,尚可擒矣。
若操擊破尚軍、我因而斂其軍實以拒操。
操軍遠來,糧食不繼,必自退去;我可以仍據冀北,以圖進取也。」
원담이 곽도와 계책을 상의하니, 곽도가 말하였다.
“지금 성안에 식량이 적고, 적군은 바야흐로 銳氣가 올라 있어서, 形勢상 대적해선 안 됩니다.
제 생각에, 사람을 보내 조조에게 항복하고, 조조가 군사를 가지고 기주를 치게 하면, 원상이 틀림없이 구원하러 돌아갈 것입니다.
장군께서 병력을 이끌고 함께 치면 원상을 잡을 수 있겠습니다.
조조가 원상의 군대를 격파하면, 우리는 이를 기회로 원상 군대의 무기와 군수품을 거두어 조조에게 대항할 것입니다.
操軍은 멀리서 왔기 때문에 군량이 보급되지 않아 틀림없이 스스로 물러갈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가 기주를 점거하여 이로써 나아가 (천하를) 도모할 수 있겠습니다.”
譚從其言,問曰:
「何人可為使?」
원담이 그 말에 따르기로 하여 물었다.
“누가 사신이 될 수 있겠소?”
圖曰:
「辛評之弟辛毗,字佐治,見為平原令。
此人乃能言之士,可命為使。」
곽도가 말하였다.
“신평의 아우인 辛毗의 자는 좌치인데 평원령으로 있습니다.
이 사람은 能言之士이니 사자로 임명할 만합니다.”
譚即召辛毗,毗欣然而至。
원담이 즉시 신비를 부르니 신비가 흔연히 이르렀다.
譚修書付毗,使三千軍送毗出境。
원담이 글을 써서 신비에게 주고, 군사 3천으로 신비를 호송하여 지경을 나가게 하였다.
毗星夜齎書往見曹操。
신비가 글을 지니고 밤새 조조를 만나러 갔다.
時操屯軍西平伐劉表,表遣玄德引兵為前部以迎之。
그때 조조가 서평에 주둔하여 유표를 치려고 하자, 유표는 현덕을 보내니, 병력을 이끌고 선봉이 되어 조군을 맞았다.
未及交鋒,辛毗到操寨。
창칼을 부딪기 앞서 신비가 조조의 영채에 도착하였다.
見操禮畢,操問其來意,毗具言袁譚相求之意, 呈上書信。
조조를 만나 인사를 마치니, 조조가 신비의 온 뜻을 물었고, 신비는 원담이 요청하는 뜻을 구체적으로 말하고 서신을 바쳤다.
操看書畢 , 留辛毗於寨中 ,聚文武計議。
조조가 서신을 읽은 후에 신비를 영채에 머물게 하고, 문무 관리를 모아 의논하였다.
程昱曰 :
「袁譚被袁尚攻擊太急,不得已而來降,不可准信。」
정욱이 말하였다.
“원담이 원상의 공격을 받아 아주 급해서 부득이 항복하려 하니 믿어선 안 됩니다.”
呂虔、滿寵 亦曰:
「丞相既引兵至此,安可復捨表而助譚?」
여건과 만총이 역시 말하였다.
“승상께서 병력을 이끌고 여기까지 와 놓고, 어찌 다시 유표를 그냥 두고 원담을 도와서야 되겠습니까?”
荀攸曰:
「三公之言未善。以愚意度之:
天下方有事,而劉表坐保江、漢之間,不敢展足,其無四方之志可知矣;
袁氏據四州之地,帶甲數十萬,若二子和睦,共守成業,天下事未可知也;
今乘其兄弟相攻,勢窮而投我,我提兵先除袁尚,後觀其變,並滅袁譚,天下定矣。
此機會不可失也。」
순유가 말하였다.
“세 분의 말씀이 좋지 않습니다. 제가 헤아려보았습니다.
지금 천하에 변고가 있으나, 유표는 장강과 한수 사이에 안주하여 감히 더 발을 뻗지 않으니, 그에게 천하를 장악할 뜻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원씨는 4주의 땅을 점거하여 무장병력이 수십만이라 만약 두 아들이 화목하여 함께 가업을 지키면 천하의 일을 알 수가 없습니다.
지금 그 형제끼리 서로 공격하여 형세가 궁하여 우리에게 투항하니, 우리가 군사를 동원하여 먼저 원상을 제거하고 그 후에 변화를 살피다가 아울러 원담을 멸하면 천하를 평정하겠습니다.
이 기회를 놓쳐선 안 됩니다.”
操大喜,便邀辛毗飲酒,謂之曰:
「袁譚之降,真耶詐耶?
袁尚之兵,果可必勝耶?」
조조가 크게 기뻐하여 신비를 불러 술을 마시면서 말하였다.
“원담의 투항이 진심이요? 속임수요?
원상의 병력이 과연 (원담을) 틀림없이 이길 수 있소?”
毗對曰:
「明公勿問真與詐也,只論其勢可耳。
袁氏連年喪敗,兵革疲於外,謀臣誅於內;兄弟讒隙,國分為二;
加之饑饉並臻,天災人困:
無問智愚,皆知土崩瓦解。
此為天滅袁氏之時也。
今明公提兵攻鄴,袁尚不還救,則失巢穴;
若還救,則譚踵襲其後。
以明公之威,擊疲憊之眾,如迅風之掃秋葉也。
不此之圖,而伐荊州,荊州豐樂之地,國和民順,未可搖動。
況四方之患,莫大於河北。
河北既平,則霸業成矣。
願明公詳之。」
신비가 대답하였다.
“명공께서 진심인지 속임수인지 묻지 마시고, 단지 그 형세를 논하시면 되겠습니다.
원씨가 連年 쇠퇴하여 밖으로는 전쟁에 지치고 안에서는 모신들이 죽임을 당했습니다.
형제끼리 헐뜯고 틈이 벌어져 나라가 둘로 나누어졌습니다.
게다가 기근이 함께 닥쳐서 하늘이 재앙을 내려 사람들이 곤궁합니다.
지혜롭거나 어리석거나 물을 것도 없이, 모두가 흙이 무너지고 기와가 풀어지듯이 됨을 압니다.
이때는 하늘이 원씨를 없애려는 때입니다.
지금 명공께서 군사를 동원하여 업도를 치는데, 원상이 돌아가서 구하지 않으면 근거지를 잃을 것입니다.
만약 구하러 돌아가면 원담이 그 뒤를 습격할 것입니다.
명공의 武威로 지친 무리를 공격함은 세찬 바람이 낙엽을 쓸어버림과 같습니다.
이것을 도모하지 않은 채 형주를 정벌하면, 형주는 물자가 풍부하고 안락한 땅으로 나라 안은 화목하고 백성은 순종하니 아직 흔들 수가 없습니다.
하물며 사방의 근심 가운데 하북보다 큰 것이 없어서, 하북을 평정함이 곧 패업이 이뤄지는 것임에 있어서이겠습니까.
원컨대 명공께서 자세히 헤아리십시오.”
操大喜曰:
「恨與辛佐治相見之晚也!」
조조가 크게 기뻐하여 말하였다.
“신좌치와의 만남이 늦은 것을 한탄하오!”
即日督軍還取冀州。
그날로 군대를 재촉하여 기주를 취하러 돌아갔다.
玄德恐操有謀,不敢追襲,引兵自回荊州。
현덕이 조조에게 모략이 있을까 걱정하여 감히 추격하지 못하고 군사를 이끌고 형주로 돌아갔다.
卻說
袁尚知曹軍渡河,急急引軍還鄴,命呂曠、呂翔斷後。
한편,
원상은 曹軍이 황하를 건넜음을 알고, 황급히 군대를 이끌고 업도로 돌아가며 여광, 여상에게 명하여 斷後하게 하였다.
袁譚見尚退軍,乃大起平原軍馬,隨後趕來。
원담은 원상이 군사를 물림을 보고 평원의 군마를 크게 일으켜서 뒤쫓았다.
行不到數十里,一聲炮響,兩軍齊出。
가기를 수십 리가 못 되어 한차례 포 소리가 울리더니 兩軍이 일제히 쏟아져 나왔다.
左邊呂曠,右邊呂翔,兄弟二人截住袁譚。
왼쪽은 여광, 오른쪽은 여상, 형제 두 사람이 원담을 가로막았다.
譚勒馬告二將曰:
「吾父在日,吾並未慢待二將軍,今何從吾弟而見逼耶?」
원담이 말고삐를 잡아당겨 두 장수에게 말하였다.
“내 부친께서 살아계실 때 내 결코 두 장군을 소홀히 대하지 않았는데 지금 어찌 내 아우를 따라 나를 핍박하시오?”
二將聞言,乃下馬降譚。
두 장수가 말을 듣고 말에서 내려 원담에게 투항하였다.
譚曰:
「勿降我,可降曹丞相。」
원담이 말하였다.
“내게 항복하지 말고 조 승상께 항복해야 하오.”
二將因隨譚歸營。
두 장수가 인하여 원담을 따라 영채로 돌아갔다.
譚候操軍至,引二將見操。
원담이 操軍이 도착하기를 기다려 두 장수를 데리고 가서 조조를 만났다.
操大喜,以女許譚為妻,即令呂曠、呂翔為媒。
조조가 크게 기뻐하고 딸을 원담에게 아내로 주겠다며 여광, 여상에게 중매를 서도록 명령하였다.
譚請操攻取冀州.
원담이 기주를 공격하여 취하기를 조조에게 청하였다.
操曰:
「方今糧草不接,搬運勞苦.
我由濟河遏淇水入白溝,以通糧道,然後進兵。」
조조가 말하였다.
“지금 糧草不接이고 운반이 고생스럽다.
우리는 황하를 건너가서 淇水를 막아 물이 白溝로 들어가서 운송로를 통하게 한 뒤에 군사를 내겠다.”
令譚且居平原。
원담을 잠시 평원에 머물게 하였다.
操引軍退屯黎陽,封呂曠、呂翔為列侯,隨軍聽用。
조조가 군사를 이끌고 여양으로 물러가 주둔하고, 여광과 여상을 열후에 봉하고 군대를 따르며 지시를 듣게 하였다.
郭圖謂袁譚曰:
「曹操以女許婚,恐非真意。
今又封賞呂曠、 呂翔,帶去軍中,此乃牢籠河北人心。
後必將為我禍。
主公可刻將軍印二顆,暗使人送與二呂,令作內應。
待操破了袁尚,可乘便圖之。」
곽도가 원담에게 말하였다.
“조조가 딸을 許婚한다지만, 아마도 참뜻이 아닐 것입니다.
게다가 지금 여광과 여상을 열후에 봉하여 포상하고 군중으로 대동해 갔으니 하북의 인심을 농락함입니다.
뒷날 틀림없이 우리에게 화가 될 것입니다.
주공께서 장군인 두 개를 새겨서 몰래 사람을 보내 두 여씨에게 주고 그들더러 내응하도록 명령하십시오.
조조가 원상을 격파하기를 기다려, 편의를 보아 그를 도모해야 합니다.”
譚依言,遂刻將軍印二顆,暗送與二呂,二呂受訖,逕將印來稟曹操。
원담이 말을 따라 장군인 두 개를 파서 몰래 두 여씨에게 보냈고, 두 여씨가 도장을 받고 곧장 도장을 가지고 조조에게 가서 아뢰었다.
操大笑曰:
「譚暗送印者,欲汝等為內助,待我破袁尚之後,就中取事耳。
汝等且權受之,我自有主張。」
조조가 크게 웃으면서 말하였다.
“원담이 도장을 몰래 보낸 것은 그대들에게 안에서 돕도록 만들어, 내가 원상을 쳐부순 뒤를 기다려 내부에서 일을 꾀하려 한 것이오.
그대들은 잠시 그것을 받아두시오. 내게 나름대로 생각이 있소.”
自此曹操便有殺譚之心。
이때부터 조조가 원담을 죽일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且說
袁尚與審配商議:
「今曹兵運糧入白溝,必來攻冀州,如之奈何?」
한편,
원상이 심배와 더불어 상의하였다.
“지금 조조군이 군량을 운반해 백구에 들어오면 틀림없이 기주를 공격할 텐데 어떻게 해야겠소?”
配曰:
「可發檄使武安長尹楷屯毛城,通上黨運糧道,
令沮授之子沮鵠守邯鄆,遙為聲援。
主公可進兵平原,急攻袁譚。
先絕袁譚,然後破曹。」
심배가 말하였다.
“격문을 내어 무안의 우두머리 尹楷를 시켜 毛城에 주둔케 하여, 上黨에 있는 군량 운반의 도로를 통하게 하십시오.
저수의 아들 沮鵠에게 명하여 한단을 수비하여 멀리서 성원하게 하십시오.
주공께서는 평원으로 진격하여 급히 원담을 치십시오.
먼저 원담을 멸망시킨 후에 조조를 깨뜨려야 합니다.”
袁尚大喜,留審配與陳琳守冀州,使馬延、張顗二將為先鋒,連夜起兵攻打平原。
원상이 크게 기뻐하여 심배와 진림을 남겨 기주를 지키게 하고, 마연과 장의를 선봉으로 삼아 그날 밤에 기병하여 평원을 공격하게 하였다.
譚知尚兵來近,告急於操。
원담은 원상의 군사가 가까이 옴을 알고 급히 조조에게 고하였다.
操曰:
「吾今番必得冀州矣。」
조조가 말하였다.
“내가 이번에 틀림없이 기주를 얻겠구나.”
正說間,適許攸自許昌來;
이야기하고 있는 사이에 마침 허유가 허창에서 왔다.
聞尚又攻譚,入見操曰:
「丞相坐守於此,豈欲待天雷擊殺二袁乎?」
원상이 다시 원담을 공격함을 듣고, 들어와 조조를 뵙고 말하였다.
“승상께서 여기에 앉아 지키면서, 어찌 하늘이 벼락을 쳐서 두 원씨를 죽이기를 기다리려 하십니까?”
操笑曰:
「吾已料定矣。」
조조가 웃으며 말하였다.
“내가 이미 헤아려서 정해 놓았소.”
遂令曹洪先進兵攻鄴,操自引一軍來攻尹楷。
그리고는 조홍에게 먼저 진병하여 업성을 치게 하고, 조조는 스스로 1군을 이끌고 윤해를 치러 갔다.
兵臨本境,楷引軍來迎。
적병이 경계에 가까이 오자 윤해가 군대를 이끌어 맞섰다.
楷出馬,操曰:
「許仲康安在?」
윤해가 출마하자 조조가 말하였다.
“허중강은 어디 있소?”
許褚應聲而出,縱馬直取尹楷。
허저가 듣자마자 튀어나와 말을 놓아 곧장 윤해에게 달려들었다.
楷措手不及,被許褚一刀斬於馬下,餘眾奔潰。
윤해가 허둥지둥하다가 허저의 한칼에 베여 말 아래로 떨어지자, 나머지 무리는 달아나며 무너졌다.
操盡招降之,即勒兵取邯鄆。
조조가 모두 불러 항복을 받고 즉시 한단을 취하려 군사를 몰아갔다.
沮鵠進兵來迎。
저곡이 진병하여 맞았다.
張遼出馬,與鵠交鋒。
장요가 출마해 저곡과 교전하였다.
戰不三合,鵠大敗,遼從後追趕。
싸운 지 3합이 되지 않아서 저곡이 크게 져서 장요가 뒤를 쫓아 추격하였다.
兩馬相離不遠,遼急取弓射之,應弦落馬。操指揮軍馬掩殺,眾皆奔散。
두 말의 거리가 멀지 않자 장요가 급히 활을 들어 쏘니 시위소리와 함께 저곡이 낙마하였다. 조조가 군마들을 지휘하여 습격하자 모두 달아나 흩어졌다.
於是操引大軍前抵冀州。
이에 조조가 대군을 이끌고 기주에 이르렀다.
曹洪已近城下。
조홍이 벌써 성 밑에 가까이 갔다.
操令三軍遶城,築起土山,又暗掘地道以攻之。
조조가 3군에 영을 내려 기주성을 둘러싸고 흙산을 쌓아 올리게 하고, 또 몰래 땅굴을 파고 그것으로 공격하게 하였다.
審配設計堅守,法令甚嚴,東門守將馮禮,因酒醉有誤巡警,配痛責之。
심배가 계책을 세워 굳게 지키고 법령을 아주 엄격하게 하였다. 동문을 지키던 장수 馮禮가 술에 취해 순찰과 경비를 그르쳐서 심배가 통렬히 꾸짖었다.
馮禮懷恨,潛地出城降操。
풍례가 원한을 품고 몰래 성을 나와 조조에게 투항하였다.
操問破城之策。
조조가 성을 깨뜨릴 계책을 물었다.
禮曰:
「突門內土厚,可掘地道而入。」
풍례가 답하였다.
“돌문(비밀 출입구) 안의 흙이 두터워 땅굴을 파고 들어갈 수 있습니다.”
操便命馮禮引三百壯士 , 夤夜掘地道而入。
조조가 풍례에게 명하여 장사 3백 명을 이끌고 한밤중에 땅굴을 파고 들어갔다.
卻說
審配自馮禮出降之後,每夜親自登城點視軍馬。
한편,
심배는 풍례가 성을 나가 항복한 뒤부터 밤마다 몸소 성벽에 올라 군마들을 점검하였다.
當夜在突門閣上,望見城外無燈火。
그날 밤 돌문 누각 위에서 멀리 바라보니 성밖에 등불이 전혀 없었다.
配曰:
「馮禮必引兵從地道而入也。」
심배가 말하였다.
“풍례가 틀림없이 병사들을 이끌고 땅굴을 따라 들어오는구나.”
急喚精兵運石擊突閘門;門閉,馮禮及三百壯士,皆死於土內。
급히 精兵을 불러 돌을 날라와서 갑문을 때려 부수어 문이 닫히니, 풍례와 장사 3백 명이 모두 흙 속에서 죽었다.
操折了這一場,遂罷地道之計,退軍於洹水之上,以候袁尚回兵。
조조가 이렇게 한바탕 좌절되자 地道之計를 포기하고, 洹水의 상류로 군대를 물려서 원상이 회군하기를 기다렸다.
袁尚攻平原,聞曹操已破尹楷、沮鵠,大軍圍困冀州,乃掣兵回救。
원상이 평원을 공격하다가 조조가 이미 윤해와 저곡을 깨뜨리고 대군이 기주를 포위하였음을 듣고, 이에 군사를 돌려 구원하러 갔다.
部將馬延曰:
「從大路去,曹操必有伏兵;
可取小路,從西山出滏水口去劫曹營,必解圍也。」
부장 마연이 말하였다.
“큰길로 가면 조조가 틀림없이 복병을 두었을 것입니다.
좁은 길을 따라 서산에서 부수 어귀를 나가서 조조 영채를 급습하면 틀림없이 포위를 풀 수 있겠습니다.”
尚從其言,自領大軍先行,令馬延與張領斷後。
원상이 그 말에 따라 자신이 대군을 거느리고 먼저 가고, 마연에게 장의와 더불어 斷後하게 하였다.
早有細作去報曹操。
어느새 세작이 조조에게 가서 보고하였다.
操曰:
「彼若從大路上來,吾當避之;若從西山小路而來,一戰可擒也。
吾料袁尚必舉火為號,令城中接應。
吾可分兵擊之。」
조조가 말하였다.
“그가 큰길로 오면 내가 당연히 피해야 하겠지만, 만약 서산 좁은 길로 오면 한번 싸워서 잡을 수 있소.
내 생각에, 원상은 틀림없이 횃불을 신호로 해서 성안에 접응하게 할 것이오.
우리는 군사를 나누어 공격해야겠소.”
於是分撥已定。
이에 군사를 나누어 배정하였다.
卻說
袁尚出滏水界口,東至陽平,屯軍陽平亭,離冀州十七里,一邊靠著滏水.
한편,
원상이 부수 경계의 입구를 나와 동쪽으로 양평에 이르러 陽平亭에 주둔하니, 기주로부터 17리 떨어지고 한쪽으로 부수에 닿았다.
尚令軍士堆積柴薪乾草,至夜焚燒為號.
遣主簿李孚扮作曹軍都督,直至城下。
원상이 군사들에게 장작과 건초를 쌓아 밤이 되면 불을 질러 신호로 삼도록 하였다.
主簿 李孚를 曹軍都督으로 위장해서 성 밑으로 보냈다.
大叫:
「開門!」
큰소리로 외쳤다.
“문을 열어라!”
審配認得是李孚聲音,放入城中,說:
「袁尚已陳兵在陽平亭,等候接應;
若城中兵出,亦舉火為號。」
심배는 이것이 이부의 목소리임을 알고 성안으로 들어오게 놔두고, 설명하였다.
“원상이 이미 양평정에 군사를 펼치고 접응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성안에서 출병하면서 역시 불을 들어 신호하십시오.”
配教城中堆草放火,以通音信。
심배가 성안에 마른 풀을 쌓아 불을 붙여 신호하게 하였다.
孚曰:
「城中無糧,可發老弱殘兵並婦人出降;
彼必不為備,我即以兵繼百姓之後出攻之。」
이부가 말하였다.
“성안에 식량이 없으니 노약자와 패잔병과 부인들은 내보내 투항시키십시오.
그들은 틀림없이 대비하지 않을 것이니, 백성들의 뒤를 우리 군대가 뒤따라 나가서 공격하십시오.”
配從其論。
심배가 그 말을 따랐다.
次日,城上豎起白旗,上寫「冀州百姓投降。」
다음날, 성 위에 백기를 세웠는데 그 위에 <기주백성투항> 라고 쓰여 있었다.
操曰:
「此是城中無糧,教老弱百姓投降;後必有兵出也。」
조조가 말하였다.
“이것은 성안에 식량이 없어 老弱百姓을 투항하게 함이오. 틀림없이 뒤따라 군사들이 나올 것이오.”
操教張遼、徐晃各引三千軍馬,伏於兩邊。
조조가 장요와 서황에게 지시하여 각각 3천 군마를 이끌고 양쪽에 매복하게 하였다.
操自乘馬、張麾蓋至城下。
조조가 말을 타고 대장기와 수레 덮개를 펼치고 성 밑에 이르렀다.
果見城門開處,百姓扶老攜幼,手持白旗而出。
과연 성문이 열리는 곳에 백성들이 노인을 부축하고 아이들을 이끌어 손에 백기를 들고나옴이 보였다.
百姓纔出盡,城中兵突出。
백성들이 거의 다 나오자 성안에서 군사들이 갑자기 튀어나왔다.
操教將紅旗一招,張遼、徐晃兩路兵齊出亂殺,城中兵只得復回。
조조가 붉은 깃발로 한번 신호를 보내자, 장요와 서황이 양쪽에 일제히 나와 어지럽게 무찌르니, 성안에서 나온 군사는 되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操自飛馬趕來,到弔橋邊,城中弩箭如雨,射中操盔,險透其頂。
조조가 몸소 말을 달려 추격하여 적교 근처에 이르자 성안에서 쇠뇌의 화살이 빗발쳐서 조조의 투구를 맞추니 자칫 정수리를 뚫을 뻔하였다.
眾將急救回陣。
장수들이 급히 구하여 진지로 돌아갔다.
操更衣換馬,引眾將來攻尚寨,尚自迎敵。
조조가 옷을 갈아입고 말을 바꿔 타고 장수들을 이끌어 원상의 영채를 공격하자 원상이 스스로 맞섰다.
時各路軍馬一齊殺至,兩軍混戰,袁尚大敗。
이때 여러 갈래의 군마들이 일제히 쇄도하여 양쪽 군대가 혼전했는데, 원상이 대패하였다.
尚引敗兵退往西山下寨,令人催取馬延、張顗軍來。
원상은 패잔병을 이끌고 서산으로 물러나 영채를 세우고, 사람을 보내 마연과 장의의 군사가 오도록 재촉하였다.
不知曹操已使呂曠、呂翔去招安二將。
(원상은) 조조가 이미 여광과 여상을 보내어 두 장수(마연과 장의)를 귀순시켰음을 알지 못하였다.
二將隨二呂來降,操亦封為列侯。
두 장수가 두 여씨를 따라 투항하니 조조가 그들 역시 열후에 봉하였다.
即日進兵攻打西山,先使二呂,馬延、張顗截斷袁尚糧道。
그날 바로 진격하여 서산을 공격하고 먼저 여씨 형제와 마연, 장의를 시켜 원상의 군량 수송로를 끊게 하였다.
尚情知西山守不住,夜走滏口。
원상이 서산을 지킬 수 없음을 깨닫고 밤중에 부구로 달아났다.
安營未定,四下火光並起,伏兵齊出,人不及甲, 馬不及鞍。
진지를 세우기도 전에 사방에서 불빛이 치솟고 복병이 일제히 달려 나오니, 사람은 갑옷을 걸치지 못하고 말은 안장을 얹지 못하였다.
尚軍大潰,退走五十里,勢窮力竭,只得遣豫州刺史陰夔至操營請降。
원상 군대가 크게 무너져 50리를 퇴각하여 달아나서 세력이 궁하고 힘이 다하여, 어쩔 수 없이 豫州刺史 陰夔를 조조 진영에 보내어 항복을 청하였다.
操佯許之,卻連夜使張遼、徐晃去劫寨。
조조가 허락하는 척하면서 도리어 그날 밤에 장요와 서황을 보내 원상의 영채를 기습하게 하였다.
尚盡棄印綬節鉞、衣甲轎重,望中山而逃。
원상이 인수와 절월, 갑옷과 보급품을 모조리 버리고 중산으로 도주하였다.
操回軍攻冀州。
조조가 군사를 돌려 기주를 공격하였다.
許攸獻計曰:
「何不決漳河之水以渰之?」
허유가 계책을 바치며 말하였다.
“어째서 漳河之水를 터서 물에 잠기게 하지 않습니까?”
操然其計,先差軍於城外掘河塹,周圍四十里。
조조가 그 계책을 그럴듯하다고 여겨, 먼저 군사들을 보내 성밖에 참호를 파니 둘레가 40리였다.
審配在城上見操軍在城外掘塹,卻掘得甚淺。
심배가 성 위에서 바라보니, 操軍이 성밖에 참호를 파는데 매우 얕게 팠다.
配暗笑曰:
「此欲決漳河之水以灌城耳。河深可灌,如此之淺,有何用哉?」
심배가 속으로 웃으며 말하였다.
“이것은 장하의 강물을 터서 기주성에 물을 대려 함일 뿐이다. 물이 깊으면 잠기겠으나 이렇게 얕아서야 무슨 쓸모가 있겠는가?”
遂不為備。
그러고는 대비하지 않았다.
當夜曹操添十倍軍士並力發掘,比及天明,廣深二丈,引漳水灌之城中,水深數尺。
그날 밤 조조가 10배의 군사를 더하여 힘써 파내어 새벽 무렵이 되자 넓고 깊게 판 것이 2길이 되었고, 장수의 물을 끌어와서 물을 대자 성안에는 수심이 몇 자나 되었다.
更兼糧絕,軍士皆餓死。
아울러 식량이 끊어져 군사들이 모두 아사할 지경이었다.
辛毗在城外,用鎗挑袁尚印綬衣服,招安城內之人。
신비가 성 밖에 있다가 창끝에 원상의 인수와 의복을 걸어 성안 사람들에게 투항을 권하였다.
審配大怒,將辛毗家屬老小八十餘口,就於城上斬之,將頭擲下。
심배가 크게 노하여 신비의 가족 남녀노소 80여 명을 끌어다가 성 위에서 목을 베어 머리를 집어 던졌다.
辛毗號哭不已。
신비가 울부짖어 마지않았다.
審配之姪審榮,素與辛毗相厚;見辛毗家屬被害,心中懷忿,乃密寫獻門之書,拴於箭上,射下城來。
심배의 조카 審榮이 평소에 신비와 교분이 두터워 신비 가족이 해를 입음을 보고 마음속으로 원한을 품고, 몰래 성문을 열어 바치겠다는 글을 써 화살에 매달아 성 아래로 쏘았다.
軍士拾獻辛毗,毗將書獻操。
조조의 군사가 주워 신비에게 바치니 신비가 그 글을 조조에게 바쳤다.
操先下令:
如入冀州,休得殺害袁氏一門老小;軍民降者免死。
조조가 먼저 명령을 내리길, 기주성에 들어가면 원씨 집안 식구는 노소를 막론하고 죽이지 말고, 군사나 백성 중에 항복하는 자는 죽이지 말라고 하였다.
次日天明,審榮大開西門,放曹兵入。
다음날 날이 밝을 무렵 심영이 서문을 활짝 열어 조조군이 들어오게 하였다.
辛毗躍馬先入,軍將隨後,殺入冀州。
신비가 말을 내달려 앞장서 들어가고 군사들이 뒤따라 나아가 기주성으로 쇄도해 들어갔다.
審配在東南城樓上,見操軍已入城中,引數騎下城死戰,正迎徐晃交馬。
심배가 동남쪽 성루 위에서 조조군이 성안에 들어왔음을 보고, 몇 기를 거느리고 성 밑으로 내려가서 죽기로 싸우다가 바로 서황과 마주쳐 말을 타고 싸웠다.
徐晃生擒審配,綁出城來,路逢辛毗。
서황이 심배를 사로잡아 결박해서 성을 나오다가 길에서 신비를 만났다.
毗咬牙切齒,以鞭鞭配首曰:
「賊殺才!今日死矣!」
신비가 이를 부득부득 갈며, 채찍으로 심배의 머리를 채찍질하며 말하였다.
“도적은 죽어 마땅하다! 오늘에야 죽겠구나!”
配大罵辛毗:
「賊徒,引曹操破我冀州,我恨不殺汝也!」
심배가 신비를 크게 욕하였다.
“도적놈아! 조조를 끌어들여 우리 기주를 깨뜨렸으니, 내 너를 죽이지 못함이 한스럽다!”
徐晃解配見操。
서황이 심배를 압송해 조조를 만났다.
操曰:
「汝知獻門接我者乎?」
조조가 말하였다.
“너는 문을 열어 나를 맞아들인 자가 누군지 아는가?”
配曰:
「不知。」
심배가 말하였다.
“모른다.”
操曰:
「此汝姪審榮所獻也。」
조조가 말하였다.
“바로 네 조카 심영이 성문을 열어 바쳤다.”
配怒曰:
「小兒不行,乃至於此!」
심배가 노하여 말하였다.
“어린 놈이 행실이 나쁘더니 이런 짓을 저질렀구나!”
操曰:
「昨孤至城下,何城中弩箭之多耶?」
조조가 말하였다.
“지난번 내가 성 밑에 이르렀을 때 어찌 성에서 쇠뇌와 화살을 그토록 많이 퍼부었는가?”
配曰:
「恨少,恨少!」
심배가 말하였다.
“더 쏘지 못한 것이 한스럽다! 한스러워!”
操曰:
「卿忠於袁氏,不容不如此;今肯降吾否?」
조조가 말하였다.
“그대는 원씨에게 충성을 다했으니, 이렇게 하지 않을 수 없었을 테지. 이제 내게 항복할 텐가?”
配曰:
「不降!不降!」
심배가 말하였다.
“항복하지 않겠다! 항복하지 않아!”
辛毗哭拜於地曰:
「家屬八十餘口,盡遭此賊殺害。願丞相戮之,以雪此恨!」
신비가 울며 바닥에 절하고 말하였다.
“제 가족 80여 명이 모두 이 도적놈에게 해를 입었습니다. 원컨대 승상께서 그를 죽여 이 원한을 씻어주십시오!”
配曰:
「吾生為袁氏臣,死為袁氏鬼,不似汝輩讒諂阿諛之賊!可速斬我!」
심배가 말하였다.
“나는 살아서 원씨 신하이고, 죽어서 원씨 귀신이 되겠다. 너 따위 헐뜯고 아첨하는 도적 같을쏘냐! 어서 나를 베어라!”
操教牽出。
조조가 끌어내라고 하였다.
臨受刑,叱行刑者曰:
「吾主在北,不可使我面南而死!」
처형을 받을 때, 처형하는 사람을 꾸짖어 말하였다.
“내 주공께서 북쪽에 계시니 내가 남쪽을 바라보게 하고 죽여서는 안 된다!”
乃向北跪,引頸就刃。
이에 북쪽으로 무릎을 꿇고 목을 길게 늘여 칼날을 받았다.
後人有詩歎曰:
<河北多名士, 誰如審正南?
命因昏主喪, 心與古人參。
忠直言無隱, 廉能志不貪。
臨亡猶北面, 降者盡羞慚。>
후인이 시를 지어 탄식하였다.
<하북에 명사가 많지만, 어느 누가 심배와 같을까?
목숨은 어리석은 주인 탓에 잃었지만, 마음은 옛 충신과 나란하구나.
충직한 말은 숨김이 없고, 청렴한 뜻은 탐욕스럽지 않았네.
죽으면서도 오히려 북쪽을 바라보았으니, 투항자들은 모두 부끄럽구나.>
審配既死,操憐其忠義,命葬於城北。
심배가 죽고 나서, 조조가 그 충의를 가련하게 여겨 성 북쪽에 장사지내게 하였다.
眾將請曹操入城。
장수들이 조조에게 입성하기를 청하였다.
操方欲起行,只見刀斧手擁一人至。
조조가 일어나 가려는데 도부수들이 한 사람을 호송해 왔다.
操視之,乃陳琳也。
조조가 보니 바로 진림이었다.
操謂之曰:
「汝前為本初作檄,但罪狀孤,可也;何乃辱及祖父耶?」
조조가 그에게 말하였다.
“너는 예전에 본초를 위하여 격문을 지을 때 다만 나의 죄상을 쓰면 될 것을 어째서 내 할아버지와 아버지까지 욕되게 하였느냐?”
琳答曰:
「箭在弦上,不得不發耳。」
진림이 대답하였다.
“화살이 활시위에 매겨져 있으니, 쏘지 않을 수가 없었을 뿐입니다.”
左右勸操殺之;操憐其才,赦之,乃命為從事。
측근들이 그를 죽이라 조조에게 권하였다. 조조가 그 재주를 아껴서 사면하여 從事에 임명하였다.
卻說
操長子曹丕字子桓,時年十八歲。
한편,
조조의 맏아들 조비는 자가 자환인데 그때 나이가 열여덟이었다.
丕初生時,有雲氣一片,其色青紫,圓如車蓋,覆於其室,終日不散。
조비가 갓 태어날 때 구름 한 조각이 있어 그 색깔은 청자색이고 수레 덮개처럼 둥글어 그 방을 덮고는 하루 종일 흩어지지 않았다.
有望氣者,密謂操曰:
「此天子氣也。令嗣貴不可言。」
구름 기운을 보고 점치는 사람이 은밀히 조조에게 말하였다.
“이것은 천자의 기운입니다. 대를 이을 아드님이 귀하기가 형언할 수가 없습니다.”
丕八歲能屬文,有逸才, 博古通今,善騎射,好擊劍。
조비가 여덟 살에 글을 짓고, 뛰어난 재주가 있어 고금에 통달하고 말 달리며 활 쏘는데 뛰어나고 검술을 좋아하였다.
時操破冀州,丕隨父在軍中,先領隨身軍,逕投袁紹家,下馬, 拔劍而入。
조조가 기주를 깨뜨릴 당시, 조비가 아버지를 따라 군중에 있어서 경호부대를 거느리고 먼저 원소 집으로 곧장 가서, 말에서 내려 칼을 뽑고 들어갔다.
有一將當之曰:
「丞相有命,諸人不許入紹府。」
어느 장수가 가로막으며 말하였다.
“승상께서 명을 내려, 아무도 원소 부중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셨습니다.”
丕叱退,提劍入後堂。
조비가 꾸짖어 물리치고, 칼을 든 채 후당으로 들어갔다.
見兩個婦人相抱而哭,丕欲殺之。
부인 두 사람이 서로 껴안고 울고 있음을 보고, 조비가 그들을 죽이려 하였다.
正是:
四世公侯都化夢,一家骨肉又遭殃。
이야말로,
<4대에 걸친 公侯도 이미 꿈이 되었는데, 그 집안 골육이 다시 재앙을 만나는구나.>라는 격이다
未知性命如何,且聽下文分解。
그들의 목숨이 어찌 될까? 다음 回의 이야기를 또 들으시오.
'漢詩와 漢文 > 삼국연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國演義(삼국연의)30회-官渡와 烏巢의 전투 (0) | 2023.02.11 |
---|---|
三國演義(삼국연의)31회-曹操破本初와 玄德依劉表. (0) | 2023.02.11 |
三國演義(삼국연의)33회-甄氏와 郭嘉 (2) | 2023.02.11 |
三國演義(삼국연의)34회-蔡夫人과 劉皇叔 (0) | 2023.02.11 |
三國演義(삼국연의)35회-玄德과 單福 (0)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