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백련초해(百聯抄解) 53-朝愛碧山褰箔早 夜憐明月閉窓遲 본문
반응형
원문
朝愛碧山1)褰箔早
夜憐明月閉窓遲
아침 조 사랑할 애 푸를 벽 메 산 걷을 건 발 박 이를 조
밤 야 어여쁠 련 밝을 명 달 월 닫을 폐 창 창 더딜 지
1) 필암서원본에는 '朝愛靑山'으로 되어 있다.
해석
아침에 푸른 산을 사랑하여 발 걷음을 일찍 하고
밤에 밝은 달을 사랑하여 창 닫음을 더디 하노라.
옛 한글
아ᄎᆞᄆᆡ 프른 뫼ᄒᆞᆯ ᄉᆞ랑ᄒᆞ야 발 거두믈 일ᄒᆞ고
바ᄆᆡ ᄇᆞᆯᄀᆞᆫ ᄃᆞᄅᆞᆯ ᄉᆞ랑ᄒᆞ야 창 다도몰 더듸 ᄒᆞ노라2)
2) 필암서원본과 박은용본에는 'ᄒᆞ놋다'로 되어 있다.
참고
夜憐明月頻開戶
朝愛靑山早捲簾
밤에 밝은 달을 사랑하여 자주 문을 열어보고
아침에 푸른 산을 사랑하여 일찍 발을 걷도다.
최연3)
3) 최연(崔演, 1504~1549), ≪간재집(艮齋集)≫, 권2, <모춘술회(暮春述懷)>
千載家風應未墜
子孫還解愛青山
천년의 가풍이 응당 떨어지지 않을 테고
자손은 도리어 청산을 사랑할 줄 알리라.
범중엄4)
4) 범중엄(范仲淹), ≪범문정집(范文正集)≫, 권3, <제취봉원(題翠峯院)>. “范蠡舊宅”이라고 했다.
반응형
'漢詩와 漢文 > 백련초해(百聯抄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련초해(百聯抄解) 51-獨鞭山影騎驢客 閑枕松聲伴鶴僧 (4) | 2023.06.06 |
---|---|
백련초해(百聯抄解) 52-月掛靑空無柄扇 星徘碧落絶纓珠 (0) | 2023.06.06 |
백련초해(百聯抄解) 54-鳥去鳥來山色裹 人歌人哭水聲中 (3) | 2023.06.06 |
백련초해(百聯抄解) 55-螢飛草葉無烟火 鶯囀花林有翼金 (4) | 2023.06.06 |
백련초해(百聯抄解) 56-雪裏高松含素月 庭前脩竹帶淸風 (3) | 2023.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