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와 漢文
한자는 무엇이고 한문은 무엇인가
우리가 보통 한자(漢字)를 보고 한문(漢文)이라고도 한다. 그래서 한자가 한문이고 한문이 한자라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런데 한문에는 또 다른 의미가 있다. 즉 한문은 ‘한자로 이루어진 문장’이란 의미가 있다. 그래서 한자와 한문을 굳이 구분하자면, 한자는 단어 차원이고, 한문은 문장 차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한자(漢字)는 고대부터 중국에서 쓰이던 문자이다. 한자는 대략 은(殷)나라 때부터 만들어졌다고 한다. 현재 알려진 한자는 수만 자이나, 실제 쓰이는 한자는 만(萬)자 이내이고, 자주 쓰이는 상용(常用) 한자 천(千)자 정도가 90% 이상의 빈도로 쓰인다고 한다. 그런데 현재 중국에서는 많은 한자가 간체자로 쓰이고 있고, 기존의 한자는 번체(繁體)라고 하고 잘 쓰이지 않는다.
여기서 영어 알파벳은 26 자에 불과한데, 한자는 수 만자나 되니, 배우기에 불편하고 뒤떨어진 문자라고 여길 수도 있다. 그러나 알파벳은 그 자체가 단어가 아닌 단어의 일부를 이루는 음운 문자이니까 별도로 단어를 익혀야 하는데, 한자는 한자 자체가 단어가 되는 단어 문자이니까 글자와 단어를 동시에 배우는 셈이다. 그러하니 한자는 글자 수가 수 만 개라기보다는, 단어 수가 수 만 개라고 보고 한자에 대한 부담이나 거부감을 조금 덜기 바란다.
우리가 통상 말하는 한문(漢文)은 중국의 지금의 현대문(現代文)이 아니고 예전에 쓰이던 고문(古文)을 말한다. 그런데 고문이 어느 시점을 말하는지 애매하기는 한데, 여기서는 대략 춘추전국 시대와 진(秦)、한(漢) 시대를 근간으로 설명할 것이다.
시대가 후대일수록 어휘와 문법에서 고문과는 차이가 심해져서 지금의 중국인들도 한문을 잘 모르매, 이를 공부해야 잘 알 수 있다고 한다.
한자를 빨리 익히는 방법
한자는 국어에 쓰이는 한자어의 이해를 위해서나 한문 공부를 위해서나 알아두면 모르는 것보다는 이로움이 많다. 수많은 한자를 다 알 수는 없고, 한문 공부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최소한 교육부에서 선정한 1800자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할 듯하다.
그런데 한자를 빨리 익힐 수 있는 특별한 비법이 있을까. 뾰족한 수는 없다. 꾸준한 반복 학습이 최고의 방법이다.
그러나 한자가 구성되거나 만들어진 원리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도 약간 한자를 암기함에 조금 득이 될 듯도 하다.
그리고 한자를 공부하는 데 요령을 부리자면, 가장 기본적인 한자부터 익히는 것이다.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다른 한자를 배우는 것이 그냥 마구 한자를 익히는 것보다는 쉽게 한자를 암기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한자의 8, 90 퍼센트는 형성자(形聲字), 회의자(會意字) 같은 기존의 있던 한자나 그 일부가 합하여 이루어진 합성자(合成字)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부수가 아니어도, 가령 呵, 哥, 柯, 訶, 軻, 何, 河 자들은 ‘可’자가 공통으로 그 한자의 일부로 쓰였고, 假, 暇, 瑕, 蝦, 遐, 鰕 자는 ‘叚(가)’자가 공통으로 쓰이는데, 이렇게 여러 한자에 대개 음(音) 역할을 하며 부분으로 쓰이는 한자가 있다. 이런 한자를 대략 열거하면 可, 加, 叚, 各, 畺, 隺, 干, 艮, 曷, 甘, 甲, 介, 皆, 去, 巨, 居, 建, 桀, 兼, 巠, 更, 高, 告, 古, 困, 骨, 工, 果, 夸, 官, 交, 喬, 句, 區, 久, 匊, 君, 几, 圭, 規, 勻, 己, 其, 豈... 등이다. 이런 한자와 부수 같은 것이 기본적인 한자가 된다.
부수는 총 214 자인데, 처음부터 이 214 자를 다 익히려 하는 것은 무리이다. 쓰이는 빈도가 높거나, 쉬운 水(氵), 木 같은 부수부터 먼저 익혀 간다. 부수 214 자 중에서 대충 절반 정도는 익히기가 쉬운 한자이고, 나머지 반은 생소하여 어려운 편이다. 부수는 주로 한자에서 뜻 역할을 하므로, 부수는 음(音)보다는 뜻 위주로 공부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부수 말고 여러 한자에 부분으로 쓰이는 한자는 대개 형성자에서 음의 역할을 하므로, 음 위주로 공부해야 한다. 그런데 형성자 중에서 음(音) 역할을 하는 한자의 음이 그대로 쓰이지 않고, 약간 다르게 쓰이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가령 可자는 음이 ‘가’인데, 河、何에서 可자가 음 역할을 하지만, 河、何의 음은 ‘가’가 아니라 ‘하’이다. 좀 더 이런 사례를 열거하면 아래와 같다.
․重(중)=> 種(종), 踵(종), 鍾(종)
․朱(주)=> 洙(수), 殊(수)
․吾(오)=> 語(어), 圄(어)
․予(여)=> 序(서), 舒(서), 野(야)
․蜀(촉)=> 獨(독), 濁(탁)
그리고 또 高-下, 强-弱, 男-女 같이 서로 의미가 반대되는 한자나, 成-就, 恩-惠처럼 비슷한 개념의 한자 끼리 서로 연관을 지어 학습하는 것도 그냥 한자를 따로 하나하나 배우는 것보다 더 효율적으로 한자를 배울 수 있는 것 같다.
한자만 많이 알면 한문을 알 수 있을까
한자는 본인이 직접 알고 있지 않아도, 옥편이나 ‘한글’ 같은 컴퓨터 문서 프로그램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대부분의 한자를 쉽게 알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한자를 잘 모르는 이도, 한자를 잘 알고 있는 셈이 된다.
그렇다면 본인의 실제의 실력이든 옥편 등에 의존하든지 간에 한자를 많이 알면, 한문을 알 수 있을까. 한자(단어) 하나하나의 의미를 알면, 이를 토대로 대충 문장도 해석을 할 수 있는 듯하나, 이는 거의 어렵다고 보면 된다.
한문이 일본어처럼 우리말과 문법에서 많이 유사하다면 몰라도, 한문의 문법이나 특성이 우리말과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아래를 보라. (여기에 쓰인 예문 중에는 한문 원전을 그대로 인용한 것도 있지만, 독자의 이해를 좀 더 쉽게 하기 위하여, 원전의 단어나 구절을 변형한 것이 많은데, 이런 것 중에는 용법상의 어색함이 있을 수 있음을 알린다.)
1) 申師任堂, 栗谷之母也.(신사임당은 율곡의 어머니이다.)
春來, 則燕歸.(봄이 오면, 제비가 돌아온다.)
2) 金氏讀論語.(김씨는 논어를 읽었다.)
小人敏於利.(소인은 이익에 민첩하다)
2-a) 金氏讀論語.(김씨가 읽은 논어.)
小人敏於利.(소인은 민첩하고 이익에서)
예문 1처럼 한문 문장이 해석 순서가 우리말과 비슷하게 되는 경우엔, 한자만 알아도 대강 문장의 의미를 알 수 있을 듯도 하다.
그러나 예문 2처럼 어순이 우리말 해석과 다르면, 생초보라면 2-a 같이 어색한 해석을 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엔 한문의 문법을 알아야 해석을 할 수 있게 된다.
단어(한자)가 모여 문장을 이루니, 문장을 해석하려면 단어를 많이 알면 쉽게 문장을 독해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거꾸로 생각하면 된다.
단어가 모여 문장을 이룬다기보다는 문장이라는 틀 안에 단어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즉 단어보다는 먼저 문장에 많이 익숙해져야, 문장을 쉽게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자 자체를 아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한문 문장을 독해하는 것이 목표라면, 한자 단어 공부보다는 문장 공부에 주력해야 한다.
문법만 알면 한문을 알 수 있을까
문법(文法)을 독해의 지름길로 알고, 문법을 잘 알면 한문을 쉽게 빨리 터득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 이들이 있다. 정말 문법이 독해의 지름길이 될 수 있을까. 예를 들어보자.
1) 忠臣不事二君.(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
子雪父之辱.(자식이 아버지의 모욕을 씻었다)
1-a) 子法父母, 乃不愼言行.(자식은 부모를 본받으니, ~)
1-b) 子法父母, 乃不愼言行.(자식은 법이 부모이니, ~ )
2) 不寐夜長, 疲倦道長.(잠이 오지 않으면 밤이 길고, 피곤하면 길이 길다)
3) 樹欲靜而風不止.(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은 그치지 않는다)
위의 예문 1에서 밑줄 친 단어를 제대로 풀이하려면, 한문에서 한 단어가 어형 변화 없이 여러 품사로 해석이 되기도 하는 특징(문법)을 알면 독해가 쉬워진다.
그렇다면 문법 지식을 활용해, 예문 1과 특징이 비슷해 보이는 예문 1-a의 앞 구절을 독해할 수 있어야 하는데, 초학자에겐 이것이 쉽게 독해가 잘 되지 않아, 1-b처럼 다소 어색한 해석을 하게 될 경우가 많다.
이것은 아무리 문법적인 지식이 있어도, 문장에 많이 접하여 그 문법적인 특징에 익숙하지 않으면, 그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구절이 술술 자연스레 독해가 잘 안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문법은 독해에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한계가 있다.
어떤 것을 아는 것과 행할 줄 아는 것은 별개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이 언어에도 적용된다고 보면 된다. 또 예문 2는 구절 사이가 가정으로 이어지고, 예문 3은 역접으로 이어짐을 문맥에 의하여 파악하니, 이렇게 한문에선 문법보다는 문맥에 의존하여, 의미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가 다른 언어에 비해 많은 것도,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 한문을 아는 것이 어려운 하나의 원인이다.
거기다가 결정적으로 문법서만 본다고 문법 실력이 잘 늘지만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마치 옥편만 판다고 해서 한자 실력이 꼭 잘 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그리고 문법적으로 따지고 이해하는 것을 좋아하는 이도 있겠지만, 이런 것을 싫어하는 이에겐 문법을 공부하는 자체가 고역일 수가 있다.
문법을 싫어하거나 배우고 싶지 않다면, 꼭 문법을 깊게 공부하지 않아도 될 듯하다. 왜냐하면 한문을 많이 접하여 읽고 공부하면서, 정확히 문법적인 용어로 설명할 수는 없어도, 실질적인 차원의 문법을 자연스레 터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문을 배움에 있어 문법 공부는 개인의 취향대로 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문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문법 공부를 열심히 공부하면 된다. 반면에 문법을 한문 공부에 참고 사항 정도로만 여기고 싶다면 문법을 깊숙이 공부하지 않아도 될 듯하다.
한문을 빨리 배우는 방법
한자도 금방 익힐 수 있는 방법이 없는데, 한문을 금방 터득할 요령은 더욱 더 없다. 그래도 한문을 빨리 배울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자면, 문장 위주로 공부하라는 것이다.
문장 위주로 공부한다는 것은 즉 논어나 맹자 같은 경전을 공부함을 의미한다. 우선 한자를 많이 알고, 또 한문 문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난 뒤에 문장 공부를 해야 되지 않나 생각하는 이도 많다. 기본적으로 한자를 많이 알고 문법을 자세히 알면, 문장 공부함에 매우 유리한 조건이 됨은 사실이나, 한자를 많이 알고 문법을 자세히 알기가 쉽지 않은 일이고, 또 이러는 데에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린다. 그러니 아쉬운 대로 기초적인 한자만 알고 기본적인 문법 지식만을 알고 있어도, 문장 공부함에 크게 지장이 없으니, 과감히 문장 학습에 착수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한문 문장을 공부하면서, 한자나 문법을 병용하여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단어(한자)를 따로 떼어 그것만을 외울 때보다 단어를 문장을 통해 익히는 것이 더 효율적인 학습 방법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문장 공부를 안 하고 문법서를 읽을 때엔 이해되지 않던 것이, 문장 공부를 많이 하고 문법서를 공부하면 확실히 그 전보다 이해가 잘 됨을 실감할 것이다.
문제는 초학자가 처음부터 문장 단위로 공부하기가 쉽지는 않아, 문장을 한 번에 읽어내기도 벅찰 것이다. 그러나 한문을 빨리 정복하려면, 그 전제 조건이 반복 학습을 통하든지 다독을 통하는지 한문의 구조나 표현 방식에 익숙해지는 것이니, 이는 어쩔 수 없는 듯하다. 문장이나 구절 단위로 해석하는 습관을 못 들이고, 단어 단위로 해석하는 단계를 못 벗어나서는, 한문 실력이 잘 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하나 문제가 초학자가 문장 공부하기에 이해하기 쉽고 흥미로운 텍스트가 별로 없다는 것이다. 기초 교재로 소학, 사자소학, 명심보감 등이 흔히 쓰이는 것 같은데, 개인적으론 여씨춘추, 열녀전, 설원, 한시외전, 전국책, 열자, 십팔사략, 사기세가, 삼국사기 열전 등도 기본 교재로 삼아 읽어 볼만하다고 생각한다. 이것들은 대개 글의 단락이 짧고, 글의 내용이 주로 구체적인 서사 위주로 이루어져, 초보가 공부하기에 지루하지 않고 흥미를 가질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앞에 열거한 책들 속에도 해석하기가 어렵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적잖이 있는데, 이런 부분은 과감히 그냥 건너뛰는 것이 좋을 것이다. 왜냐하면 초학자에겐 문장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보다는 여러 한문의 문형이나 한문의 표현 수법에 익숙해지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이다.
위에 언급한 책이 어렵고, 한문에 대해 전반적으로 기초를 다지고 싶다면, 중고교 과정의 한문 교과서로 한문 공부를 하는 것도 괜찮은 듯하다.
한문을 아는 단계
한문을 아는 것에도 단계가 있다.
조선 시대에는 한문을 읽고 쓰기를 할 줄 알아야 한문을 안다고 간주했을 터인데, 요새는 한문을 독해할 줄만 알아도 한문을 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요즘은 한문이 초, 중, 고교 학습 과정에서 별로 비중을 차지하는 과목이 아니기에, 일반인이 학교에서 한문을 배운 것만으로 한문을 독해하는 능력을 갖추기가 상당히 어렵다. 그래서 보통 사람이 별도로 교육을 받든지 독학을 하든지, 한문을 공부해서 한문을 터득하기까지 상당히 어렵고 오랜 시일이 걸린다.
그래서 한문을 우선 반 정도만 아는 것을 목표로 공부하는 것도 괜찮은 것 같다. 한문을 반 안다는 것은 한문만 보면 어느 정도 감은 잡고 있으나 분명하게 해석을 못 하지만, 그 우리말 해석이 되어 있는 것을 보고, 다시 한문을 봤을 때, 한문의 의미 파악이 쉽게 되는 것을 말한다.
간단히 달리 말해, 한문을 반 안다는 것은, 우리말 해석을 보고 그 해석이 옳게 된 것인가 잘못 된 것인가 구별할 줄 아는 능력을 말한다.
이렇게 한문을 반 아는 것이 목표라면 해석을 많이 봐 가면서 공부해도 되겠다. 그렇지만 완전히 한문을 독해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해석이 없이 한문 원문만 있는 백문(白文) 위주로 공부함이 좋을 듯하다.
'한자 한문 공부 > 한문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기초6-語順 (0) | 2025.01.06 |
---|---|
한문의 기초5-文章構造 (0) | 2025.01.06 |
한문의 기초4-기타 어조사 (1) | 2025.01.06 |
한문의 기초3-語助辭 (0) | 2025.01.06 |
한문의 기초2-單語상의 특징 (1)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