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65.石魚湖上醉歌 幷序(석어호상취가 병서)-元結(원결) 본문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石魚湖上醉歌 幷序(석어호 가에서 취하여 노래 부르다 병서) -元結(원결) |
漫叟以公田米釀酒 因休暇則載酒於湖上 時取一醉.
나는 公田의 쌀로 술을 빚어서, 한가할 때에 술을 싣고 호수로 가서는 때때로 한 번씩 취하도록 마신다.
歡醉中 據湖岸 引臂向魚取酒 使舫載之 徧飮坐者.
기분 좋게 취했을 때 호숫가 언덕에 기대어, 석어를 향해 팔을 뻗어 술을 가져와 작은 배로 실어다가 앉아 있는 사람들이 두루 마시게 한다.
意疑倚巴丘 酌於君山之上 諸子環洞庭而坐 酒舫泛泛然 觸波濤而往來者.
내 생각에는 이것이 마치 巴丘에 기대어 君山 위의 술을 따르고, 여러 사람들은 동정호를 에워싸고 앉아 있는데 술을 실은 작은 배가 둥실둥실 물결을 타고 오가는 것 같았다.
乃作歌以長之.
이에 노래를 지어 길게 읊조려본다.
石魚湖 似洞庭 夏水欲滿君山靑.
석어호는 동정호 같아, 여름 물 가득하니 君山이 푸르네.
山爲樽 水爲沼 酒徒歷歷坐洲島.
산은 술동이요 물은 酒池라, 주당들은 제각기 호숫가 섬에 앉았네.
長風連日作大浪 不能廢人運酒舫.
긴 바람 연일 큰 물결 일으켜도, 우리의 술 실어오는 배를 멈출 수는 없네.
我持長瓢坐巴丘 酌飮四座以散愁.
나는 긴 표주박 가지고 파구에 앉아서, 사방 酒客들에게 술 따르며 시름 흩어지게 한다오.
2.通釋
石魚湖는 洞庭湖와 같으니 여름철이라 물은 불어나고 호수 속의 君山은 울창하고 푸르다.
이곳에 있으면 산은 술동이요, 湖水는 酒池가 되며, 酒黨들은 한 사람 한 사람이 호수 속 섬들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긴 바람이 연일 불어와 큰 물결을 일으켜도 우리들이 술을 싣고 오는 배를 멈추게 하지는 못하리라.
내가 술을 뜨는 긴 표주박을 가지고 巴丘山에 앉아 사방에 빙 둘러 있는 酒客들에게 술을 떠서 주니, 모두 함께 마시며 마음속 시름과 번민을 잊는다.
3.解題
3‧3‧7의 句法을 사용한 것은 대개 民歌와 비슷한데 시 전체가 한 호흡으로 이루어져 단락을 나눌 수 없다.
이 시는 元結이 道州刺史 시절에 지은 것으로 그는 道州에 있을 때 〈舂陵行〉 〈賊退示官吏〉 등의 유명한 현실주의 시들을 남겼다.
그러나 이 시의 어조는 다분히 낭만적이다.
시인은 石魚湖를 빌려 마음껏 노래하였는데 그의 詩想은 《莊子》 〈秋水〉편에 나오는, “천지도 돌피 알처럼 작은 것이 됨을 알고, 가느다란 털끝도 언덕이나 산처럼 큰 것이 됨을 안다.[知天地之爲稊米也 知毫末之爲丘山也]”는 구절에 연원을 두고 있다.
石魚를 洞庭에 비유하고 大石을 君山‧巴丘에 비유하였으니, 이는 또한 莊子의 이른바, “각기 큰 것을 통해서 그것을 크다고 한다면, 만물이 크지 않은 것이 없다.[因其所大而大之 則萬物莫不大]”는 뜻과 통하기도 한다.
이 시는 술로 詩題를 삼고 있지만 마지막 句에서 술을 마셔 근심을 흩어버린다고 하였으니, 시인의 본래 뜻은 세상을 근심하여 감회를 일으킨 데 있음을 알 수 있다.
4.集評
5.譯註
▶ 石魚湖 : 지금의 湖南省 道縣 동쪽에 있다. 元結은 그의 詩 〈石魚湖上作〉의 序에서, “潓泉의 남쪽에 돌 하나가 있는데, 물속에 있으면 그 모양이 헤엄치는 물고기 같다. 그 물고기의 오목한 곳을 잘 닦으면 술을 담을 만하다. 물이 사방을 에워싸고 비스듬히 기울어진 많은 돌들이 서로 이어져 있는데, 그 돌 위에 사람이 앉을 만하고 물은 작은 배를 띄워 술을 싣고 올 수 있으며, 또 石魚를 빙 둘러 흘러가기도 한다. 이에 그 호수를 石魚湖라고 명명하였다.[潓泉南有獨石 在水中 狀如遊魚 魚凹處 修之 可以貯酒 水涯四匝 多欹石相連 石上堪人坐 水能浮小舫載酒 又能繞石魚洄流 乃命湖曰石魚湖]”고 하였다. 원결은 또 “내 석어호를 사랑하노니, 석어는 호수 안에 있네. 석어의 등에는 술을 담을 수 있고 석어를 빙 두른 것은 호수의 물이라네.[吾愛石魚湖 石魚在湖裏 魚背有酒樽 繞魚是湖水]”라는 시도 지었다.
▶ 漫叟 : 원결의 自號이다. 字는 次山이다.
▶ 引臂向魚取酒 : ‘引臂’는 팔을 뻗다의 뜻이다. ‘魚’는 石魚湖 안에 있는 물고기 모양의 바위를 가리킨다. 그 움푹한 곳에 술을 담을 수 있는데 그곳에서 술을 뜬다는 뜻이다.
▶ 巴丘 : 산 이름으로 巴陵이라고도 한다. 湖南省 岳陽市 洞庭湖 주변에 있다.
▶ 君山 : 일명 洞庭山인데 洞庭湖 안에 있다. 여기서는 石魚湖 안의 石魚를 빗대었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漢詩와 漢文 >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67.八月十五夜贈張功曹(팔월십오일야증장공조)-韓愈(한유) (0) | 2023.11.06 |
---|---|
66.山石(산석)-韓愈(한유) (0) | 2023.11.06 |
64.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 幷序(관공손대랑제자무검기행 병서)-杜甫(두보) (0) | 2023.11.05 |
63.古柏行(고백행)-杜甫(두보) (0) | 2023.11.05 |
62.寄韓諫議(기한간의)-杜甫(두보) (0) | 2023.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