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63.古柏行(고백행)-杜甫(두보) 본문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古柏行(오래된 측백나무) -杜甫(두보) |
孔明廟前有老柏 柯如靑銅根如石.
諸葛孔明 사당 앞의 늙은 측백나무, 가지는 푸른 구리, 뿌리는 돌 같구나.
霜皮溜雨四十圍 黛色參天二千尺.
서리 맞은 껍질 비에 젖어 둘레는 마흔 아름, 하늘을 찌를 듯 짙푸르게 이천 척 솟았네.
君臣已與時際會 樹木猶爲人愛惜.
君臣이 이미 그때 뜻맞아 만났으니, 나무들 지금도 사람들의 사랑 받는다네.
雲來氣接巫峽長 月出寒通雪山白.
구름이 떠오면 그 기운 巫峽까지 길게 닿고, 달이 뜨면 싸늘함이 雪山의 흰 빛과 통하네.
憶昨路繞錦亭東 先主武侯同閟宮.
지난날 생각하니 錦亭 동쪽을 지나갈 때, 先主와 武侯가 閟宮에 함께 계셨는데.
崔嵬枝幹郊原古 窈窕丹靑戶牖空.
드높은 가지 줄기, 들판에서 늙어가고, 단청은 그윽한데 창문은 텅비었지.
落落盤踞雖得地 冥冥孤高多烈風
홀로 우뚝 서려 앉아 비록 제자리를 얻었으나, 하늘에 홀로 높아 매운 바람 많았지만.
扶持自是神明力 正直原因造化功.
부지한 것은 神明의 힘에서 비롯하고, 바르고 곧은 것은 조화옹의 功 때문이리.
大廈如傾要梁棟 萬牛回首丘山重.
큰 집이 기울어져 들보와 기둥 필요해도, 산같이 무거워 만 마리 소도 고개만 돌리리라.
不露文章世已驚 未辭剪伐誰能送.
아름다운 무늬 드러내지 않았어도 세상 이미 놀랐건만, 잘림도 베어짐도 거절 않지만 누가 이를 옮기리오.
苦心豈免容螻蟻 香葉終經宿鸞鳳.
괴로워도 그 속에 땅강아지 개미들이 사는 것을 어찌 면할까마는, 향기로운 잎에는 마침내 난새와 봉새들이 머물리라.
志士幽人莫怨嗟 古來材大難爲用.
지사와 은자는 원망하고 탄식하지 말라, 예로부터 재목이 크면 쓰이기 어려웠다네.
2.通釋
蘷州의 제갈공명 묘 앞에 서 있는 측백나무, 그 가지는 늙었지만 푸른 구리처럼 굳세고 뿌리는 돌처럼 견고하다.
나무껍질은 서리를 맞은 듯 창백하지만 가지는 비에 씻긴 듯 윤기가 돌고 전체 둘레는 마흔 아름 정도로 굵으며 짙푸른 잎들은 하늘을 찌를 듯 높이가 2천 척이나 된다.
이전의 현군 유비와 충신 제갈공명이 시대를 걱정하며 뜻을 함께했던 일은 이미 역사상의 지난 일이 되었건만, 나무는 그들을 기억하는 후인들에게 여전히 사랑받고 있다.
나무 꼭대기에 구름이 떠오면 그 기운이 무협에 닿아 길게 뻗고, 달이 뜨면 그 차가운 기운이 설산과 통하여 희다.
지난날 내가 성도의 錦亭 동쪽을 지나갈 때를 생각해 보니, 先主 유비의 사당과 武侯 제갈공명의 사당은 깊고 고즈넉한 사당에 함께 모셔져 있었다.
그곳 나무의 높다란 가지는 들녘에 古色을 더하고, 단청으로 꾸며진 고요한 사당 안에는 아무도 없었다.
그곳의 측백나무는 비록 제자리를 얻어 생장하고 있었지만, 홀로 높이 솟아 하늘의 매서운 바람을 다 받아야만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꺾이지 않고 버틸 수 있었던 것은 신명의 힘이었고, 바르고 곧을 수 있었던 것은 조화옹의 공 때문이었을 것이다.
커다란 집이 기울어져 이를 지탱할 들보와 기둥이 필요하다 하더라도, 기주의 이 나무는 언덕이나 산같이 무거워 만 마리의 소를 이용해도 옮길 수가 없을 것이다.
아름다운 文彩를 밖으로 드러내지 않아도 그 질박한 아름다움에 세상 사람들은 이미 감탄하고, 이 나무도 잘리거나 베어져 들보와 기둥이 되는 것을 사양하지 않지만, 누가 이 나무를 옮길 수 있을까.
나무속에 땅강아지와 개미가 들어와 해를 입히는 것을 어떻게 피할 수 있을까마는, 끝내는 그 향기로운 잎에 난새와 봉새가 깃들어 머물 것이다.
세상의 지사들과 은자들은 원망도 탄식도 하지 말라, 예로부터 재목이 크면 쓰이기 어려운 법이다.
3.解題
이 시는 大曆 元年(766) 두보가 蘷州에서 지낼 때 지은 작품이다.
이는 사물에 의탁하여 노래한 詠物詩로, 蘷州 古柏의 크고 높으며 곧고 빼어난 모습을 讚嘆하여 諸葛孔明을 높이고, 이를 통해 자신의 번민과 불평을 드러내었다.
시 전체는 세 단락으로 나뉜다.
첫 번째 단락은 기주 무후묘 앞의 古柏을 묘사하고 있는데, 제5‧6구에서 古柏을 통해 인간사까지 언급함으로써 古柏을 인격화시키고 있다.
다음 단락은 성도 선주묘와 무후묘 앞의 古柏을 언급했으며,
마지막 단락은 古柏을 통해 人間事를 비유하고, ‘예로부터 재목이 크면 쓰이기 어려웠다.[古來材大難爲用]’라고 끝맺어 재주가 있어도 시대를 만나지 못한 두보 자신의 불우한 심정을 담아내고 있다.
4.集評
○ 古柏行 路繞錦亭 元註 黃氏趙氏 皆謂此詩作於夔州
〈고백행〉의 ‘路繞錦亭’은 元註에 황씨와 조씨 모두 이 시는 夔州에서 지은 것이라고 하였다.
蓋武侯廟在成都 亦在夔州 兩廟皆有柏 此詩 子美初至夔州 見武侯廟 遂追感成都所見而作故云
대개 武侯廟는 성도에 있고 또한 기주에도 있는데, 두 묘에 모두 측백나무가 있으나 이 시는 子美(杜甫)가 처음 기주에 이르러 무후묘를 보고 성도에서 보았던 것을 떠올리면서 지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錦亭在成都
錦亭은 성도에 있다.
誰能送 言此柏不辭剪伐爲用 而誰能取遣而用之乎 - 朝鮮 李德弘, 《艮齋集》 〈古文前集質疑〉
‘誰能送’은 이 측백나무가 잘리고 베어져 쓰이는 것을 사양하지 않지만, 누가 取捨하여 그것을 쓸 수 있겠는가라고 말한 것이다.
○ 或爲子美作此詩 備詩家衆體 非獨形容一時君臣相遇之盛 亦可以自況 而又以憫其所値之時不如古也
혹자는 子美(杜甫)가 이 시를 지어 시인의 여러 체를 갖추었는데, 한때 훌륭한 군주와 신하가 만난 성대함을 형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또한 자신을 비유하였고, 또 처한 때가 옛날과 같지 않음을 근심하였다고 하였다.
第深考之 信然 - 宋 李之儀, 《姑溪居士文集》 〈跋古柏行後〉
깊이 살펴보니 믿을 만하다.
○ 古柏行一首 見睹物懷人氣勢之大 - 宋 何溪汶, 《竹莊詩話》 卷15
〈고백행〉 한 수는 사물을 보고 사람을 그리워하는 큰 기세가 보인다.
○ 成都夔府各有孔明祠 祠前各有古柏
성도와 기부에는 각각 제갈공명의 사당이 있고, 사당 앞에는 각각 오래된 측백나무가 있다.
此因夔祠之柏而并及成都 然非咏柏也
여기에서는 기주 사당의 측백나무로 인해 성도의 것까지 아울러 언급했지만, 측백나무를 읊은 것은 아니다.
公平生極贊孔明 蓋有竊比之思
공은 평생 제갈공명을 극찬했는데, 대개 은밀히 (자신을) 비유하는 뜻이 있다.
孔明材大而不盡其用
공명의 재목은 컸으나 다 쓰지는 않았다.
公嘗自比稷契 材似孔明而人莫用之
공은 일찍이 스스로를 稷과 契에 견주어 재목은 공명과 같지만 사람들이 쓰지 않는다고 하였다.
故篇終而結以材大難爲用 此作詩本意 而發興於柏耳
그러므로 이 작품의 마지막을 “재목이 크면 쓰이기 어려웠다네.[材大難爲用]”로 끝맺었는데, 이것이 시를 지은 본의이며 측백나무는 흥을 일으킨 것뿐이다.
不然 廟前之柏 豈梁棟之需哉 - 明 王嗣奭, 《杜臆》 卷7
그렇지 않다면 사당 앞의 측백나무가 어떻게 동량으로 쓰이겠는가?
5.譯註
▶ 古柏 : 虁州(지금의 四川省 奉節縣)의 諸葛孔明 사당 앞에 있는 오래된 측백나무를 말한다.
▶ 孔明廟 : 諸葛孔明의 사당을 지칭하는 것으로, 지금의 사천성 奉節縣 八陳臺 아래에 있다.
▶ 霜皮溜雨 : 측백나무의 껍질이 창백하여 마치 서리가 지나간 것 같고, 가지가 윤택하여 마치 비에 씻긴 듯하다는 의미이다.
▶ 參天 : 하늘에 닿을 만큼 높다는 의미이다.
▶ 雲來氣接巫峽長 月出寒通雪山白 : 《杜詩詳註》에는 이 2구가 ‘黛色參天二千尺’ 구 아래에 있는데, “2구는 예전에는 愛惜 아래에 있었는데, 지금 須溪(刘辰翁)를 따라 고치니 氣가 順하다.[二句舊在愛惜之下 今依須溪改正 則氣順矣]”고 하였다. 여기서는 《全唐詩》본을 따른다. ‘巫峽’은 사천성 巫山縣 동쪽에 있는데 長江 三峽 중 하나이다. ‘雪山’은 西岭, 西山이라고도 하는데, 사천성 松潘縣 남쪽에 있으며 岷山을 主峰으로 한다. 일 년 내내 눈이 쌓여 녹지 않으므로 이렇게 부른다.
▶ 錦亭 : 정자이름이다. 두보가 成都 草堂에 머물던 때에 정자가 있었는데, 錦江 가까이에 있었기 때문에 ‘錦亭’이라 하였다.
▶ 先主武侯同閟宮 : ‘先主’는 劉備를 가리키고, ‘武侯’는 諸葛亮을 가리킨다. 제갈량이 유비를 보좌하여 蜀나라를 세운 공으로 武鄕侯에 봉해졌는데, 이를 줄여 武侯라고 한다. ‘閟宮’은 祠廟를 말하고, ‘同閟宮’은 한 사묘 안에 함께 있는 것을 말한다. 성도의 무후묘가 선주묘 안에 달려 있기에, 同閟宮이라고 한 것이다.
▶ 崔嵬 : 높은 모습을 말한다.
▶ 窈窕 : 깊고 그윽한 모습을 말한다.
▶ 落落 : 홀로 우뚝하게 높은 모습을 말한다.
▶ 盤踞 : 龍盤虎踞의 준말로, 용이 서려 있는 듯하고 범이 웅크리고 앉은 듯한 모습을 말한다.
▶ 不露文章 : 문채를 드러내지 않는다는 것은 화려한 꽃가지가 없는 측백나무의 질박함을 의미한다.
▶ 未辭剪伐誰能送 : ‘辭’는 거절의 뜻으로, ‘未辭剪伐’은 측백나무가 동량이 되기 위해 찍히고 깎이는 괴로움을 마다하지 않음을 표현한 것이다. ‘誰能送’은 운송해 줄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동량이 될 만한 인재를 추천해 주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이다.
▶ 豈 : ‘未’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螻蟻 : 小人을 의미한다.
▶ 鸞鳳 : 君子를 의미한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漢詩와 漢文 >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石魚湖上醉歌 幷序(석어호상취가 병서)-元結(원결) (0) | 2023.11.05 |
---|---|
64.觀公孫大娘弟子舞劍器行 幷序(관공손대랑제자무검기행 병서)-杜甫(두보) (0) | 2023.11.05 |
62.寄韓諫議(기한간의)-杜甫(두보) (0) | 2023.11.05 |
61.丹靑引贈曹將軍霸(단청인증조장군패)-杜甫(두보) (0) | 2023.11.05 |
60.韋諷錄事宅觀曹將軍畫馬圖引(위풍녹사댁관조장군화마도인)-杜甫(두보) (1) | 2023.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