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31.夕次盱眙縣(석차우이현)-韋應物(위응물) 본문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夕次盱眙縣(석차우이현)-韋應物(위응물) |
落帆逗淮鎭, 停舫臨孤驛.
浩浩風起波, 冥冥日沈夕.
돛을 내려 淮水가 고을에 머무니, 배를 정박한 곳 외로운 역과 마주하네.
바람은 드넓게 물결을 일으키고, 해는 잠겨 어둑어둑 저녁이 되었네.
人歸山郭暗, 雁下蘆洲白.
獨夜憶秦關, 聽鍾未眠客.
사람들이 돌아간 산마을은 어둡고, 기러기 내려앉은 갈대밭은 하얗다.
홀로 밤에 秦關을 그리워하다, 종소리 들으며 잠 못 드는 나그네.
2.通釋
돛을 내리고 淮水가에 머무르니, 배를 정박한 곳은 외로운 역에 가깝다.
바람이 불자 넓고도 멀리 강 물결이 넘실대고, 어둑어둑해지며 해는 지려 한다.
사람들 돌아간 산마을은 어두운데, 기러기 앉은 갈대밭은 달빛에 하얗게 빛난다.
밤새도록 고향을 그리워하다 새벽 종소리가 들릴 때까지 잠 못 드는 나그네 신세구나.
3.解題
이 시는 德宗 建中 3년(782) 가을, 위응물이 滁州刺史를 제수 받고 장안에서 출발하여 盱眙縣을 경유할 때 지은 것이다.
홀로 외로운 역에 머물며 밤에 느끼는 客愁를 잘 표현한 시이다.
먼저 바람 불고 해가 지는 강가의 풍경을 그려낸 뒤, 나그네가 고향을 그리워하여 잠 못 이루는 정경을 묘사하였다.
4.集評
5.譯註
▶ 次 : 머물며 투숙한다는 뜻이다.
▶ 盱眙縣 : 지금의 江蘇省에 속해 있으며 淮水 남쪽이다.
▶ 淮鎭 : 淮水의 鎭으로서 여기서는 우이현을 지칭한다.
▶ 山郭 : 山村, 즉 산 마을이다.
▶ 蘆洲白 : ‘蘆洲’는 갈대가 자라는 沙洲를 일컫는다. 여기서는 달빛이 갈대가 자라난 모래밭을 비추기 때문에 ‘白’이라 표현한 것이다.
▶ 秦關 : 秦關은 즉 關中이다. 지금의 陝西省 일대를 關中이라 일컫는다. 위응물이 長安人이었으므로 진관은 곧 그의 고향이 된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漢詩와 漢文 >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送楊氏女(송양씨녀)-韋應物(위응물) (0) | 2023.10.30 |
---|---|
32.東郊(동교)-韋應物(위응물) (0) | 2023.10.30 |
30.長安遇馮著(장안우풍저)-韋應物(위응물) (1) | 2023.10.30 |
29.寄全椒山中道士(기전초산중도사)-韋應物(위응물) (1) | 2023.10.30 |
28.初發揚子寄元大校書(초발양자기원대교서)-韋應物(위응물) (1) | 2023.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