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題目 作者 原文 解釋
終南望餘雪〈종남산에서 쌓인 눈을 바라보다〉 -祖詠(조영) |
終南陰嶺秀 積雪浮雲端.
종남산 북쪽 봉우리 빼어난데 쌓인 눈은 구름 끝에 떠 있다.
林表明霽色 城中增暮寒.
숲 위에 맑게 갠 햇살 빛나니 장안성에는 저물녘 찬 기운이 더해지네.
2.通釋
종남산의 북쪽 봉우리는 풍광이 빼어나니, 하얗게 쌓인 눈이 구름 끝에 떠 있는 듯하다.
숲 위에선 눈에 반사된 햇빛이 밝게 빛나는데, 長安城은 저물녘이 되자 차가운 기운이 더해진다.
3.解題
이 시는 눈이 쌓인 終南山의 風光을 읊은 작품인데, 노련하고 빼어난 솜씨로 보면 韋應物의 시에 필적할 만하다는 평을 듣는다.
宋나라 計敏夫의 《唐詩紀事》에 의하면, 이 시는 과거시험에 응시하기 위해 지은 것이다.
본래 주어진 형식은 5言 6韻 12句였지만, 祖詠은 이 네 구절만을 써서 답안지를 제출하였다.
有司가 그 까닭을 묻자 “뜻은 이미 다 담겨 있습니다.[意盡]”라고 대답했다 한다.
淸麗한 언어와 鮮明한 형상으로 눈 내린 후 종남산의 秀麗한 모습을 그려낸 이 시는 한 폭의 ‘終南霽雪圖’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첫 구는 제목의 ‘終南’을 摘示하였고, 2구에서는 그것을 이어받아 ‘餘雪’을 표현하였다.
3‧4 두 구는 정밀한 對句를 사용하여 눈 온 후의 景과 情을 그렸는데, 생동감 있는 관찰이 미세한 부분에까지 반영되어 있다.
눈이 그친 후에 비치는 차가운 햇빛은 풍경을 그림처럼 보이게도 하지만, 저물녘 장안성의 모습에 싸늘한 기운을 더하기도 한다.
情景이 交融한 가운데 매우 함축적인 뜻을 담고 있어 여운이 길게 느껴진다.
殷璠은 《河嶽英靈集》에서 祖詠의 詩作에 대하여 “조영의 시는 칼로 조각하듯 간결하고, 생각은 더욱 고심해서 했으며, 기운은 비록 높지 않지만 어조는 자못 세속을 능가한다.[詠詩 剪刻省淨 用思尤苦 氣雖不高 調頗凌俗]”라고 評하였는데, 이 시 또한 은번의 評語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4.集評
○ 說得縹緲森秀 - 明 鍾惺, 《唐詩歸》
말한 것이 아득하고 淸秀하다.
○ 嶺陰故雪積不消 已霽則暮寒彌甚 - 明 唐汝詢, 《唐詩解》
산 북쪽이기 때문에 눈이 쌓여 녹지 않았는데, 이미 개었으니 저물녘의 찬 기운이 더욱 심하다.
○ 唐人作詩最重意 不顧功令 省試詩多是六聯 祖詠終南餘雪云云 二聯便呈主司 云意盡 唐人自重如此 - 淸 吳喬, 《圍爐詩話》
唐人들은 시를 지을 때 뜻을 가장 중요시하였고, 法式을 생각하지 않았다.
尙書省에서 시험하는 詩는 대부분 6聯인데, 조영은 ‘終南餘雪秀 積雪浮雲端 林表明霽色 城中增暮寒’ 2聯을 主司에게 바치면서 “뜻을 다 담았습니다.”라고 했다.
唐人들이 스스로를 중히 여김이 이와 같았다.
○ 按唐試此題限五言律 詠作此四句 交卷 人問之 詠曰 我已作盡 此外眞更不能添一語矣 - 淸 王堯衢, 《古唐詩合解》 卷4
살펴보니 唐代 시험에서 이 제목의 시는 五律로 한정되어 있었다.
그런데 祖詠은 이 네 구만을 지어 시험지를 제출했다.
시험관이 그 까닭을 묻자, 그가 대답하기를 “저는 이미 다 썼습니다.”라고 하였다.
이 네 구절 이외에는 참으로 한마디 말도 더 보탤 수가 없을 것이다.
○ 三句寫積雪之狀 四句寫積雪之神 各隱然含終南二字在
3구에서는 積雪의 형상을 묘사하였고 4구에서는 적설의 神色을 그렸는데, 각각 은연중에 ‘終南’ 두 글자의 존재를 함축하고 있다.
隨之讀之 是積雪 非新雪 是高山積雪 非平原積雪 - 淸 紀昀, 章燮 《唐詩三百首注疏》 卷6
이러한 각도에서 읽어보면 積雪이지 新雪이 아니며, 高山의 積雪이지 平原의 積雪은 아니다.
○ 此首須看其安放題面 次第如月吐層雲 光明漸現 閉目猶覺宛然也 - 淸 徐增, 《而庵說唐詩》 卷8
이 시에서는 모름지기 標題를 안배한 것을 보아야 하니, 차례가 마치 달이 겹겹의 구름 밖으로 나와 빛이 점차 드러나는 것 같다.
눈을 감아도 오히려 그 완연함을 느낄 수 있다.
○ 此詩處處針線細密 眞繡鴛鴦手也 - 淸 徐增, 《而庵說唐詩》 卷8
이 시는 곳곳이 바느질이 세밀한 듯하여 참으로 원앙을 수놓은 솜씨이다.
○ 古今雪詩 惟羊孚一贊 及陶淵明傾耳無希聲 在目浩已潔 及祖詠終南陰嶺秀一篇
古今의 ‘눈’에 관한 시는 오직 羊孚가 지은 〈雪贊〉 하나와, 陶淵明의 ‘귀 기울여도 작은 소리 없고, 눈 가득한 것은 희고 깨끗함[傾耳無希聲 在目浩已潔]’(〈癸卯歲十二月中作與從弟敬遠〉)과, 祖詠의 ‘종남산 북쪽 봉우리 빼어난데[終南陰嶺秀]’ 한 편,
右丞灑空深巷靜 積素廣庭寬 韋左司門對寒流雪滿山句 最佳 - 淸 王士禎, 《漁洋詩話》
王右丞(王維)의 ‘눈발 날리는 하늘에 깊은 골목 고요하고, 소복이 쌓인 눈에 넓은 뜰 더욱 한가롭다.[灑空深巷靜 積素廣庭寬]’(〈冬晩對雪 憶胡居士家〉), 韋左司(韋應物)의 ‘문은 찬 시내 마주했는데 눈만 산에 가득하네.[門對寒流雪滿山]’(〈休暇日訪王侍御不遇〉) 句가 가장 아름답다.
○ 詠高山積雪 若從正面着筆 不過言山之高 雪之色 及空翠與皓素相映發耳
높은 산에 쌓인 눈을 읊는데 만일 正面에서부터 쓰기 시작했다면 산의 높음, 눈의 빛깔, 푸른 하늘과 하얀 눈빛이 서로 비추는 것을 말하는 데 불과했을 것이다.
此詩從側面着想 言遙望雪後南山 如開霽色 而長安萬戶 便覺生寒 則終南之高寒可想
이 시는 側面에서부터 詩想을 시작하여, 눈 온 뒤의 종남산을 멀리서 바라본 것이 마치 눈이 개인 광경이 펼쳐진 듯하고 長安의 萬戶에서는 寒氣가 일어나는 것을 느낀다고 말하였으니, 종남산의 높고 차가움을 상상할 수 있다.
用流水對句 彌見詩心靈活
流水對句를 사용하여 詩心이 살아 움직이는 것을 더욱 볼 수 있다.
且以霽色爲喩 確是積雪 而非飛雪
또 ‘霽色’으로 비유하였으니, 분명히 쌓인 눈이요 흩날리는 눈이 아니다.
取譬殊工 - 現代 兪陛雲, 《詩境淺說》
비유를 취한 것이 매우 工巧하다.
5.譯註
▶ 終南望餘雪 : 제목이 ‘望終南殘雪’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終南’은 終南山을 말한다.
陝西省‧河南省‧甘肅省 일대에 걸쳐 있는데, 主峰이 長安縣 남쪽에 있다.
▶ 陰嶺 : 장안에서 바라보면 종남산의 북쪽만이 보이므로 ‘陰嶺’이라 칭한 것이다.
山의 북쪽을 陰이라 한다.
▶ 林表明霽色 : ‘林表’는 林外의 의미로, 나무숲의 바깥이다.
‘明’은 동사로서 빛난다는 의미이다.
‘霽色’은 눈이 내린 후 햇빛이 반사되어 빛나는 것을 가리킨다.
▶ 流水對句 : 對句法의 일종으로, 위아래 두 句가 뜻이 서로 연결되는 對偶句를 말한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漢詩와 漢文 >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2.春曉(춘효)-孟浩然(맹호연) (1) | 2023.12.13 |
---|---|
231宿建德江(숙건덕강)-孟浩然(맹호연) (0) | 2023.12.13 |
229.送崔九(송최구)-裴迪(배적) (0) | 2023.12.13 |
228.雜詩(잡시)-王維(왕유) (0) | 2023.12.13 |
227.相思(상사)-王維(왕유) (0) | 202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