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와 漢文/당시300수

216.春雨〈춘우〉-李商隱(이상은)

耽古樓主 2023. 12. 12. 20:44
반응형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春雨〈봄비〉
-李商隱(이상은)

 

悵臥新春白袷衣 白門寥落意多違.
새 봄에 흰 夾衣 입고 쓸쓸히 누웠는데 白門은 적막하고 일마다 어긋났었지.


紅樓隔雨相望冷 珠箔飄燈獨自歸.
비 너머로 홍루를 바라보니 싸늘해 주렴에 흔들리는 등불 나 혼자 돌아온다.


遠路應悲春晼晩 殘宵猶得夢依稀.
멀리 간 그대는 봄날 저물어가니 응당 슬퍼하리니 새벽녘엔 난 아직도 희미한 꿈을 꾸지.


玉璫緘札何由達 萬里雲羅一雁飛.
옥 귀고리와 편지를 어떻게 전할까 만리의 구름 펼쳐진 곳 기러기 한 마리 날아가네.

 
 

2.通釋

 

새봄이 되자 나는 하얀 夾衣를 편하게 걸치고 쓸쓸히 누워 있다가우리가 白門에서 서로 정을 나누었던 일이 생각나 그곳을 찾아보았다.
하지만 그곳은 그대가 없어 너무 적막하여 슬픔에 잠긴다.
내리는 봄비 속에서 예전에 당신이 거처하던 홍루를 바라다보니 지금 그대가 없음에 마음은 한없이 처량해져서 주렴에 등불 이리저리 흔들며 그저 혼자 돌아올 뿐이다.
멀리 떠나간 그대도 봄날이 저물어가니 응당 슬프지 않겠는가밤을 지새다가 새벽녘에야 잠이 들었는데그대를 보고 싶은 마음에 황홀하게 꿈속에서 다시 만났다.
그대를 위해 준비한 귀고리며 사랑의 편지들을 어떻게 하면 전할 수 있을까눈을 들어 바라보니 그물처럼 빽빽한 구름 사이로 한 마리 기러기가 날아가는구나저 기러기에게나 권할 수 있을는지.

 
 

3.解題

 

이 시는 봄비를 소재로 하여 쓴 懷人詩이다.
1‧2구에서는 ‘春’자를 點出해내었는데새 봄이 다시 돌아오자 지나간 일들이 기억나고또 지나간 일들은 다시금 그리운 사람을 생각하게 하니 세상사가 뜻과는 어긋나는 것들이 많음을 표현하였다.
3‧4구에서는 옛 연인과 추억이 깃든 곳을 찾아갔으나그 사람이 떠나고 비어 있는 ‘紅樓’만을 봄비 속에서 슬프게 바라보다가 홀로 돌아오는 심정을 담아내었다.
특히 ‘冷’字는 그러한 고독함을 잘 드러낸다.
5‧6구에서는 돌아와서도그리워하는 마음에 꿈속에서 만난다고 하여 상대방에 대한 정이 얼마나 깊은지를 드러내었다.
7‧8구에서는 장신구와 편지로 사랑의 증표를 전하려 해도 방법이 없음을 드러내었다.
이 시는 대부분 염정시로 해석하지만간혹 牛李의 당쟁 속에서 李商隱의 입장을 令狐綯에게 은유적으로 전달한 시로 보기도 한다.

 

 

 

4.集評

 

○ 此懷人之作也
이것은 회인시이다.
上半言悵臥新春 不如意事 什常八九 況伊人旣去 紅樓珠箔之間 闃無其人 不且倍增寥落耶
전반부에서 새 봄날 처량하게 누워 있으니 일이 여의치 않은 것이 십중팔구인데하물며 그 사람이 이미 떠나 홍루와 주렴 사이가 적막하여 아무도 없음에야 그 쓸쓸함과 영락함이 또한 배가 되지 않겠는가라는 말이다.
遠路句 言在途者之感別而傷春也 殘宵句 言獨居者之相思而記夢也
‘遠路’ 구절은 길가는 사람이 이별에 느껴 봄을 슬퍼함을 말한 것이요, ‘殘宵’ 구절은 홀로 사는 이의 그리움과 꿈을 기록한 것이다.
結言愛而不見 庶幾音問時通 乃一雁孤飛 雲羅萬里 雖有明璫之贈 尺素之投 又何由得達也哉 淸 陸昆曾《李義山詩解》
결구에서는 사랑하면서도 만나지 못해 소식이라도 때때로 전했으면 하는 바람이지만 기러기 한 마리만 고독하게 날고 구름은 그물처럼 만리까지 이어져 있으니비록 옥 귀고리를 주고 편지를 전하고자 한들 어떻게 전할 수 있겠느냐는 말이다.

○ 中四是白門悵臥時憶往多違事 末二句是悵臥時所思後事 淸 屈復《玉溪生詩意》
가운데 네 구는 백문에서 쓸쓸하게 누워 있을 때 뜻대로 되지 않는 일이 많았던 지난 일을 기억한 것이고끝의 두 구는 쓸쓸하게 누워 있을 때 훗날의 일을 생각한 것이다.

 

 

 

5.譯註

 

▶ 悵臥 실의에 빠져 수심 가득한 채 누워 있는 것을 말한다.
▶ 袷衣 夾衣라고도 하며당나라 사람들이 한가하게 거할 때 입던 편한 복장이다.
▶ 白門 본래는 지명으로 金陵(지금의 江蘇省 南京市)을 가리킨다.
六朝는 모두 建康(金陵)에 도읍하였는데도성의 正南門을 시속에서 白門이라고 칭하였다.
이 때문에 金陵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여기서는 남녀가 회합하는 장소를 지칭한다.
南朝의 民歌인 〈楊叛兒〉에 “잠시 백문 앞에 나오세요버드나무에 까마귀 숨기 좋네요그대는 침향이 되세요나는 박산로가 될 테니[暫出白門前 楊柳可藏烏 歡作沈水香 儂作博山爐]”라는 구절이 보이는데여기 나오는 白文을 빌려 비유한 것이다.
▶ 寥落 적막하고 영락했다는 뜻이다.
▶ 紅樓 예전에는 여자들의 거처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여기서는 상대방 여인이 거주하던 곳을 가리킨다.
▶ 相望冷 연인이 떠나간 뒤 비어 있는 누대를 빗속에 바라보니 처량한 느낌이 든다는 뜻이다.
▶ 珠箔 珠簾이다.
실제의 주렴이 아닌 가랑비가 흩뿌리는 모습을 형용한 것이라 보는 설도 있다.
▶ 晼晩 해가 져서 어둑어둑해지는 모습혹은 그러한 때를 가리킨다.
▶ 殘宵 밤이 다 가고 날이 샐 무렵을 가리킨다.
▶ 夢依稀 희미하고 황홀한 꿈속의 정경을 말한다.
▶ 玉璫緘札何由達 : ‘玉璫’은 옥으로 만든 귀고리로여인들의 장신구이다.
여기서는 여인에게 보내는 예물을 의미한다.
‘緘札’은 밀봉한 편지이다.
‘札’이 ‘箚’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何由達’은 어떻게 연인의 손에 편지를 전해줄 수 있을까라는 뜻이다.
▶ 雲羅 구름이 많아 마치 그물을 펼쳐놓은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