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題目 作者 原文 解釋
籌筆驛〈籌筆驛에서〉 -李商隱(이상은) |
猿鳥猶疑畏簡書 風雲常爲護儲胥.
원숭이와 새들 아직도 그의 군령 두려워하는 듯 바람과 구름은 늘 목책처럼 호위하네.
徒令上將揮神筆 終見降王走傳車.
부질없이 상장군이 신이한 계책을 내놓게 하더니 끝내 항복한 後主 역마 타고 가는 것 보고 말았네.
管樂有才終不忝 關張無命欲何如.
관중과 악의의 재주는 끝내 욕되지 않았건만 관우와 장비가 죽었으니 어찌할 수 있었겠는가.
他年錦里經祠廟 梁父吟成恨有餘.
지난날 금리의 사당 지나노라니 〈양보음〉 읊고 나니 恨이 끝없어라.
2.通釋
지난날 제갈량이 주둔했던 이곳은 그때의 삼엄한 군기가 남아 있어, 사람에게 놀라는 원숭이와 새들은 아직도 그의 군령을 두려워하는 듯하고, 바람과 구름은 그 터를 호위하듯 늘 에워싸고 있다.
애석하게 제갈량이 신이한 계책을 내놓았어도, 후주는 끝내 항복하여 역마를 타고 촉 땅을 떠나 낙양으로 가고 말았다.
관중과 악의의 재주에 비견되었으나, 그를 돕는 관우가 장비가 죽고 없으니 어찌할 수 있었겠는가. 지난날 금리에 있는 그의 사당을 지나면서, 그가 즐겨 읊조리던 〈양보음〉을 부르니 마음속에 끝없는 감회가 일어난다.
3.解題
大中 10년(856) 겨울, 東川節度使 柳仲郢의 막부에 있었던 李商隱은 유중영을 따라 장안으로 돌아온다.
이 시는 이때 주필역을 지나면서 지은 작품이다.
제갈량을 경모하는 마음과 더불어 자신의 신세에 대한 한탄을 담고 있다.
1‧2구는 원숭이와 새, 바람과 구름 등의 자연물을 통해, 당시 제갈량 군영의 삼엄한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1‧2구가 자연물에 기대어 시인의 감정을 드러낸 것이라면, 3‧4구는 20여 년 후 鄧艾가 공격하자 후주가 항복하고 낙양으로 압송된 역사적 사실을 말하였다.
5‧6구는 관중과 악의에 견주어지던 제갈량의 재주를 찬탄하면서 동시에 관우와 장비가 비명에 죽은 사실을 말해, 제갈량에게 훌륭한 계책이 있더라도 이를 뒷받침할 장수가 없었음을 한탄하였다.
이 구절은 제갈량을 관우‧장비에 대비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마지막 7‧8구는 시인 자신의 정회가 깊게 드러나는데, 제갈량이 은거하던 시절 자신의 정치적 포부를 〈양보음〉을 부르면서 풀어낸 것처럼, 李商隱도 이 시에 자신의 영락한 인생을 담아낸 것으로 볼 수 있다.
4.集評
○李義山詩風雲長爲護儲胥 按風雲八陣法也
李義山(李商隱)의 시 ‘風雲長爲護儲胥’는 風雲八陣法에 의거한다.
長楊賦木擁槍櫐以爲儲胥 註軍中藩籬也
揚雄의 〈長楊賦〉에서 “나무로 둘러싸고 창으로 보루를 만들어 儲胥로 삼았다.”라고 하고 ‘군영의 울타리’라고 주를 달았다.
又莊子削格羅落 註削格猶漢書曰儲胥 若今之木柵也
또 《莊子》의 ‘削格羅落’에 ‘削格’이 《漢書》에서 말한 ‘儲胥’와 같다고 주를 달았는데, 지금의 목책과 같다.
李義山籌筆驛詩終見降王走傳車 按三國志 後主出降 擧家傳送洛陽 其曰傳車此也
이의산 〈주필역〉의 ‘終見降王走傳車’는 《삼국지》를 보면 “후주가 항복하자 온 집안이 傳車로 낙양에 보내졌다.”라고 하였는데, ‘전거’라는 것이 이것이다.
李東陽五丈原詞云侯歸上天多舊伍 羽爲前驅飛後拒
李東陽의 〈五丈原〉에 “무후가 하늘로 돌아가자 옛 전열이 많은데, 관우가 앞에서 몰고 장비가 뒤에서 막네.
忠魂不逐降王車 長衛英孫朝烈祖 意尤好矣 -朝鮮 李睟光,《芝峯類說》卷12,文章部 5,〈唐詩〉
忠魂은 항복한 수레를 좇지 않고, 길이 英孫을 보위하고 烈祖에 조회하였네.[侯歸上天多舊伍 羽爲前驅飛後拒 忠魂不逐降王車 長衛英孫朝烈祖]”라고 하였는데, 뜻이 더욱 좋다.
○ 范元實詩眼曰 文章貴向衆中傑出 如同賦一事 工拙易見
范元實은 《詩眼》에서 “문장은 무리 중에서 뛰어난 것을 귀하게 여기니, 똑같이 하나의 일을 노래해도 그 공교로움과 졸렬함이 쉽게 드러나는 것과 같다.
余行蜀道 過籌筆驛
내가 蜀道를 가면서 주필역을 지났다.
如石曼卿詩云 意中流水遠 愁外舊山靑 膾炙天下久矣
예컨대 石曼卿의 시에 ‘의중의 흐르는 물은 멀고, 근심 밖의 옛 산은 푸르다.[意中流水遠 愁外舊山靑]’라고 했는데, 천하에 회자된 지 오래되었다.
然有山水處便可用 不必籌筆驛也
그러나 산수가 있는 곳이라면 쓸 수 있는 시이지 꼭 주필역은 아니다.
殷潛之與小杜詩 甚健麗 亦無高意
殷潛之가 小杜(杜牧)에게 준 시는 매우 강건하고 화려하지만 또한 높은 뜻은 없다.
惟義山詩 魚鳥云云 簡書 蓋軍中法令約束 言號令嚴明 雖千百年之後 魚鳥猶畏之 儲胥 蓋軍中藩籬 言忠義貫神明 風雲猶爲護其壁壘也
오직 義山(李商隱)의 시에 ‘魚鳥猶疑畏簡書’라고 한 것이 있는데, ‘簡書’는 대개 군중의 법령과 약속으로 호령이 엄정하여 백년 천년 후라도 ‘ 물고기와 새[魚鳥]’가 아직도 그것을 두려워함을 말하였고, ‘儲胥’는 군중의 울타리인데 忠毅가 神明을 관통하여 ‘구름과 바람[風雲]’이 여전히 壁壘를 호위함을 말하였다.
誦此兩句 使人凛然復見孔明風烈
이 두 구를 암송하면 사람들이 숙연하게 제갈공명의 풍모와 德業을 다시금 보도록 한다.
至於管樂云云 屬對親切 又自有議論 他人不及也
‘管樂有才終不忝’에 이르러서는 그 대구가 딱 들어맞고 또 그 속에 의론이 담겨 있으니, 다른 사람들이 미치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何曰 議論固高 尤在抑揚頓挫處 使人一唱三歎 轉有餘味 楊曰 沈鬱頓挫 絶似少陵 -淸 馮浩,《玉溪生詩詳注》卷2
하씨(何景明)는 “의론이 진실로 높고 더욱이 抑揚頓挫한 곳에 있어서는 사람으로 하여금 一唱三歎하게 하고도 남는 뜻이 있다.”고 하였고, 양씨(楊愼)는 “沈鬱頓挫하여 그 뛰어남이 少陵(杜甫)과 같다.”고 하였다.
○ 直是一篇史論
이는 곧 한 편의 史論이다.
而於籌筆驛三字 又未嘗抛荒 從來作此題者 摹寫風景 多涉游移 鋪敍事功 若無生氣 惟此最稱傑出
‘籌筆驛’ 석 자를 또 일찍이 버려둔 적이 없지만, 지금까지 이 제목으로 지은 시는 풍경을 묘사하면서는 대부분 이동하는 모습을 그리고, 일을 서술하여 표현하면서는 생기가 없는 듯한데 오직 이 작품이 가장 걸출하다.
首云 簡書 指籌筆也 次云 儲胥 指驛也
첫 구의 ‘簡書’는 籌筆을 지칭하고, 다음의 ‘儲胥’는 역을 말한다.
妙在襯貼猿鳥風雲等字 又妙在虛下猶疑常護等字 見得當時約束嚴明 藩籬堅固 至今照燿耳目也
‘猿鳥’,‘風雲’ 등의 글자를 짝한 것에 妙處가 있고, 또 ‘猶疑’,‘常護’ 등의 글자 뒤를 비워둔 것에 묘처가 있으니 당시 군령이 엄정하고 경계가 견고하여 지금까지도 눈앞에 뚜렷이 드러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國家得將才如此 何功不成
국가가 인재를 얻은 것이 이와 같다면 어떤 공인들 이루지 못하겠는가?
而生前之畫地濡毫 不能禁身後之銜璧輿櫬 豈非有臣無君
그러나 생전에 경계를 구획하고 필력을 휘둘렀어도, 사후에 군주가 항복하여 널을 지는 것을 막을 수 없었으니, 어찌 뛰어난 신하가 있으나 훌륭한 군주가 없는 것이 아니겠는가.
而大厦之傾 一木莫支
큰 건물이 기울면 하나의 나무가 이를 지탱하지 못하는 법이다.
取觀於關張無命 而知蜀之不振 天實爲之 非公才之有忝管樂也
관우와 장비가 비명에 죽은 것을 보건대 촉나라가 떨치지 못한 것은 하늘이 실로 이렇게 한 것이지 공의 재주가 관중과 악의보다 못하기 때문은 아님을 알 수 있다.
過祠廟而吟梁父 爲公抱餘恨者 不獨今日爲然矣
사당을 지나면서 〈양보음〉을 읊조리니 공을 위해 여한을 품은 것은 오늘만 그러한 것이 아니다.
以祠廟應驛字 以梁父吟應籌筆字 法律最嚴 -淸 陸崑曾,《李義山詩解》8
‘祠廟’로 ‘驛’자와 대응하고, ‘梁父吟’으로 ‘籌筆’자와 대응하니 격식이 가장 엄정하다.
○ 首二句 橫空寫來覺武侯 英靈猶在
첫 두 구는 시공을 가로지르며 무후(제갈량)를 그려내어 일깨웠으니 英靈이 아직도 존재하는 듯하다.
第三句 點淸籌筆 第四句 轉向題後 以宕出全神 五六句 復用按跳法 以跌宕之
제3구는 ‘籌筆’을 선명하게 점출해내고, 제4구는 제목 이면으로 전환해 全神을 자유롭게 표출하였으며, 5‧6구는 다시 비약을 써서 자유롭게 묘사하였다.
末二句 錦里祠廟爲驛字 作襯結 梁父吟成爲籌筆二字 作襯結
마지막 두 구의 ‘錦里祠廟’는 ‘驛’자를 설명한 것으로 잘 들어맞고, ‘梁父吟’은 ‘籌筆’ 두 자를 이룬 것으로 잘 들어맞는다.
語則拓向題外 意則回顧題中 用法最密也 -淸 李鍈,《詩法易簡録》卷10七言律詩
시어는 제목 밖으로 확장되고, 뜻은 제목 안으로 수렴되니 용법이 매우 긴밀하다.
○ 唐詩鼓吹評注曰
《唐詩鼓吹評注》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此追憶武侯之事 而傷之也
“이는 무후의 일을 추억하여 그것을 마음 아파한 것이다.
首言武侯曾駐師于此 其軍法嚴明 至今魚鳥猶敬畏之 且忠感天地 故風雲長護其壁壘而不毁也
먼저 무후가 일찍이 이곳에 주둔하였는데, 그 군법이 엄정하여 지금도 물고기와 새들이 여전히 이를 경외하고, 또 忠心이 천지를 감동시켰기에 바람과 구름이 오래도록 그 壁壘를 호위하여 허물어지지 않는다고 말하였다.
所惜者武侯筆畫籌策 指揮若神 而終見後主璧櫬詣降之事 則當日出師之擧 亦屬徒勞而已也
애석한 것은 무후가 계책을 세워 신처럼 지휘하였지만 결국에는 후주가 널을 지고 항복한 일을 보았으니, 그날의 출병은 헛수고가 되었을 뿐이다.
夫亮以管樂自比 固無所忝 而關張無命 漢祚終移 其奈之何
제갈량은 관중와 악의에 스스로를 견주어도 참으로 부끄러울 바가 없었으나, 관우와 장비가 비명에 죽고 漢나라의 명운이 끝내 옮겨간 것을 어찌하겠는가.
今于此驛旣不能無所感 若他年經成都而拜祠廟 讀梁父之吟 以先生之惜三人者惜武侯 悲傷又寧有旣哉 -現代 刘学锴‧余恕诚,《李商隱詩歌集解》제3책
지금 이 역에서 느끼는 바가 없을 수 없고, 지난날 성도를 지나면서 사당에 배알할 적에, 〈양보음〉을 읽은 것은 선생(李商隱)이 세 사람을 안타까워한 것으로써 무후를 안타까워한 것이니 슬픔이 또 어찌 다함이 있겠는가.”
5.譯註
▶ 籌筆驛 : 옛 역의 이름으로, 터가 지금의 四川省 廣元縣 북쪽에 있다.
제갈량이 魏를 정벌하기 위해 출군하여 이곳에 주둔하면서 붓을 휘둘러 공문을 쓰고 책략을 내었는데, ‘籌筆’이란 이름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 猿鳥 : ‘魚鳥’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簡書 : 본래는 죽간에 작성한 문서를 지칭하였는데, 여기서는 軍令을 말한다.
▶ 常 : ‘長’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儲胥 : 주둔한 군대가 방비를 목적으로 설치한 木柵과 울타리를 지칭한다.
▶ 上將揮神筆 : ‘上將’은 상장군인데 여기서는 제갈량을 가리킨다.
‘揮神筆’은 제갈량이 귀신같이 훌륭한 계책을 내어 전투를 지휘했음을 뜻한다.
▶ 降王走傳車 : ‘降王’은 투항한 왕 곧 劉禪이고, ‘傳車’는 驛車이다.
《蜀志》 〈後主傳〉에 “鄧艾가 城 북쪽에 이르자, 後主가 널을 수레에 싣고 스스로 결박한 채 軍壘門에 나아갔다.
鄧艾가 결박을 풀고 널을 불사른 다음 맞이하여 만나보고, 명에 따라 후주를 驃騎將軍에 제수하였다.
이듬해 후주가 가족을 데리고 동쪽으로 옮겨 낙양에 이르렀다.[鄧艾之城北 後主輿櫬自縛 詣軍壘門 艾解縛焚櫬 延請相見 因承制拜後主爲驃騎將軍 明年 後主擧家東遷至洛陽]”라는 내용이 있다.
▶ 管樂 : 管仲과 樂毅를 말하는데, 관중은 춘추시대 齊 桓公을 도와 패업을 이루었고, 악의는 燕 昭王 때 제나라의 70여 개의 성을 함락시켰다.
제갈량은 평소에 자신을 관중과 악의에 자주 빗대었다.
▶ 終 : ‘眞’ 또는 ‘元’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忝 : 욕되다는 뜻이다.
▶ 關張無命 : ‘關張’은 關羽와 張飛를 지칭한다.
‘無命’은 ‘非命’으로, 명대로 살지 못함을 말한다.
관우는 荊州를 지키다가 孫權의 부장 呂蒙에게 공격당해 죽었고, 장비는 자신의 부장 張達과 范彊에게 죽임을 당했다.
▶ 他年 : 往年의 뜻이다.
시인은 唐 宣宗 大中 5년(851) 성도에 이르러 諸葛武侯의 사당을 지나면서 〈武侯廟古柏〉을 지었다.
▶ 錦里 : 四川省 成都 남쪽에 있는데, 이곳에 제갈무후의 사당이 있다.
▶ 梁父吟 : ‘梁甫吟’이라고 되어 있는 본도 있다.
옛 악곡명으로, 제갈량이 즐겨 읊던 곡조이다.
《三國志》 〈蜀志 諸葛亮傳〉에 “제갈량은 직접 밭에서 농사지었고, 〈양보음〉을 즐겨 불렀다.[亮躬耕隴畝 好爲梁父吟]”라는 구절이 있다.
▶ 一唱三歎 : 한 사람이 노래를 先唱하면 세 사람이 화답한다는 뜻으로, 시문이 매우 뛰어남을 이른다.
《禮記》 〈樂記〉에 “淸廟의 瑟은 붉은 색깔의 絃이고 소리가 느려서, 한 사람이 선창하면 세 사람이 화답하여 餘音이 있다.[淸廟之瑟 朱弦而疏越 一唱而三嘆 有遺音者矣]” 하였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漢詩와 漢文 >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6.春雨〈춘우〉-李商隱(이상은) (0) | 2023.12.12 |
---|---|
215.無題〈무제〉-李商隱(이상은) (0) | 2023.12.12 |
213.無題 四首其二〈무제 사수기이〉-李商隱(이상은) (0) | 2023.12.12 |
212.無題 二首之一〈무제 이수지일〉-李商隱(이상은) (1) | 2023.12.08 |
211.隋宮〈수궁〉-李商隱(이상은) (2) | 2023.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