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題目 作者 原文 解釋
蟬〈매미〉 -李商隱(이상은) |
本以高難飽 徒勞恨費聲.
본성이 청고하여 배부르기 어려운데 부질없이 힘쓰며 한스럽게 소리만을 허비한다.
五更疏欲斷 一樹碧無情
오경에 소리 잦아들어 끊어지려 하는데 한 그루 나무는 푸르러 무정하기만 하다.
薄宦梗猶汎 故園蕪已平.
낮은 벼슬이라 물 위의 나뭇가지처럼 떠돌아다니니 고향의 전원은 이미 황폐했으리.
煩君最相警 我亦擧家淸.
번거롭게도 그대는 나를 가장 잘 일깨워주지만 나 역시 온 집안이 청빈하다오.
2.通釋
그런데 무엇 때문에 저리 시끄럽게 우는 데 힘을 허비하는지 안타깝기만 하다.
밤새도록 들리던 매미의 울음소리가 새벽녘이 되자 점점 줄어들어 이제 막 끊어지려 하니, 가을이 되면 저 매미는 사라지고 없겠지.
그러나 매미가 붙어 있던 나무는 무정하게도 매미의 애타는 심정을 몰라서일까 여름날 그대로 푸르기만 하다.
이 몸은 낮은 벼슬아치로 물 위의 나뭇가지처럼 이곳저곳을 떠도는 신세이니 고향의 전원은 허물어져 잡초 무성한 황무지가 되었으리라.
매미는 자신처럼 고결하게 살라고 저리 시끄럽게 울지만, 나뿐만 아니라 우리의 집안 모두가 가난하여 오히려 청빈하지 않은가.
3.解題
매미를 읊은 영물시로서, 매미에 자신을 기탁하였다.
앞의 4구는 생의 마지막 시기에 절규하는 매미를 통하여 자신의 고결한 의지와 불우한 처지를 표현하였고, 뒤의 4구는 지방관을 전전하는 말단관리의 고단한 삶을 표현하였다.
배고프고 헛되이 소리만 허비하는 처지에서 자신을 매미에게 가탁한 것이다.
특히 여름이 끝나갈 즈음 점점 사라져가는 매미와 여전히 푸른 빛을 발하는 나무를 대비시켜 유한한 생명의 비애와 고독을 절묘하게 형상화하였다.
매미로부터 촉발되어 자연스럽게 자신의 문제로 전환된다는 점에서 인간과 사물을 융해시킨 경계를 보여준다.
4.集評
○起句五字名士贊 碧無情 三字冷極幻極 結自處不苟-明 鐘惺,《唐詩選脈箋釋會通評林》引
起句의 다섯字는名士에 대한贊이다. ‘碧無情’세 자는 냉정함의 극치이고 환상의 극치이며 결말에서 자처한 것은 구차하지 않다.
○義山蟬詩 絶不描寫用古 誠爲杰作 幽人不倦賞篇 情景浹洽 落花起句奇絶 通篇無實語 與蟬同 結亦奇-吳喬,《圍爐詩話》
義山의〈蟬〉은 어느 한 곳도 묘사하거나 고사를 활용하지 않고 진실로 걸작이 되었다. ‘幽人不倦賞’편은情과景이 융해되어 있고,〈落花〉는起句가 매우 기이한데 작품 전체에實語를 사용하지 않아〈蟬〉과 같다.〈蟬〉의 결말 역시 뛰어나다.
5.譯註
▶ 本以高難飽 : 매미가 높은 나무에 서식하며 이슬을 먹고 삶을 말한 것으로, 李商隱이 자신의 고결함을 중의적으로 표현하였다. 漢나라 趙曄의 《吳越春秋》 〈夫差內傳〉에 “가을 매미가 높은 나무에 올라 맑은 이슬을 먹고, 바람에 따라 흔들리며 오래도록 노래하고 슬프게 울며 스스로 편안하게 여긴다.[秋蟬登高樹 飮淸露 隨風撝撓 長吟悲鳴 自以爲安]”라고 하였다.
▶ 五更疏欲斷 : ‘五更’은 황혼부터 새벽까지의 저녁을 5등분하여 甲夜, 乙夜, 丙夜, 丁夜, 戊夜 또는 一更, 二更, 三更, 四更, 五更 등으로 지칭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밤새워 들리던 매미 소리가 오경이 되자 점점 작아지다 막 사라지려 한다는 뜻이다.
▶ 薄宦梗猶汎 : ‘薄宦’은 낮은 벼슬이며, ‘梗猶汎’은 나무가 물 위를 떠다니는 것으로, 지방의 낮은 벼슬아치로 여러 곳을 이직하여 다닌다는 뜻이다. 《戰國策》에는 秦나라로 가려는 孟嘗君을 만류하며 蘇秦이 들려준 이야기가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제가 오다가 淄水가를 지나는데 흙 인형과 복숭아 나뭇가지가 서로 말하고 있었습니다. 복숭아 나뭇가지가 흙 인형에게 말하기를 ‘그대는 서쪽 언덕의 흙이니 그대를 빚어 사람으로 만들었지만 일 년 중 8월에 이르러 비가 내려 淄水가 닥쳐오면 그대는 부서지고 말 것이다.’라고 하니, 흙 인형이 말하기를 ‘그렇지 않다. 나는 서쪽 언덕의 흙이니, 부서지면 서쪽 언덕의 흙으로 돌아가면 그뿐이다. 그러나 지금의 그대는 동쪽 나라의 복숭아 나뭇가지, 그대를 깎아 사람으로 만든다 하여도 비가 내려 치수가 닥쳐오면 그대를 떠내려가게 하고 말 것이다. 그렇다면 그대는 물 위에 표류하며 장차 어디로 갈 것인가.’라고 하였습니다.[臣來 過於淄上 有土偶與桃梗相與語 桃梗謂土偶人曰 子西岸之土也 埏子以爲人 至歲八月 降雨下 淄水至 則汝殘矣 土偶曰 不然 吾西岸之土也 土則復西岸耳 今子 東國之桃梗也 刻削子以爲人 降雨下 淄水至 流子而去 則子漂漂者將何如耳]”
▶ 幽人不倦賞 : 李商隱의 〈失題〉라는 시의 첫 구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漢詩와 漢文 >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8.落花〈낙화〉-李商隱(이상은) (0) | 2023.11.28 |
---|---|
157.風雨〈풍우〉-李商隱(이상은) (0) | 2023.11.28 |
155.早秋〈조추〉-許渾(허혼) (1) | 2023.11.26 |
154.秋日赴闕 題潼關驛樓〈추일부궐 제동관역루〉-許渾(허혼) (0) | 2023.11.26 |
153.旅宿〈여숙〉-杜牧(두목) (2) | 2023.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