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101.渡荊門送別〈도형문송별〉-李白(이백) 본문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渡荊門送別〈荊門을 건너 송별하며〉 -李白(이백) |
渡遠荊門外 來從楚國遊.
멀리 荊門 밖을 건너서 초나라 땅에 와 놀고 있네.
山隨平野盡 江入大荒流.
산은 평야를 따라 사라지고, 강은 넓은 광야로 들어가 흐른다.
月下飛天鏡 雲生結海樓.
달이 비치니 하늘의 거울이 날아온 듯, 구름이 이니 신기루가 맺히는 듯.
仍憐故鄕水 萬里送行舟.
사랑스러워라, 여전히 고향의 물은 만리길을 따라와 내 배를 전송하네.
2.通釋
고향을 떠나 멀리 荊門 밖으로 건너와서 지금 초나라 땅에서 놀고 있다.
드높던 산은 평야를 따라 펼쳐지다 점점 사라지고, 험준한 산 사이를 흐르던 강은 드넓은 평원으로 흘러들어 유유히 흐른다.
달 그림자가 강물에 비추니 하늘의 거울이 날아온 듯하고, 구름이 일어나 신기루가 맺히는 듯하다.
여기까지 만리길을 함께 온 사랑스러운 고향의 물은 만리길이나 따라와서 내가 탄 배를 전송한다.
3.解題
李白이 25세에 지은 작품이다. 고향을 떠나 형문을 나서며 지은 시이다.
제목에서 송별이라 하였는데, 송별의 대상이 ‘고향수’라 칭해진 장강이다.
장강을 따라 내려와서 촉나라 지역에 노닐며 아울러 초나라 지역으로 들어서며 고향 땅과 이별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山隨平野盡 江入大荒流’는 杜甫의 〈旅夜書懷〉 2‧3구인 ‘星垂平野闊 月湧大江流’와 비교하여 논의되기도 하였다.
4.集評
○ 山隨平野闊 江入大荒流 太白壯語也 杜星垂平野闊 月湧大江流 骨力過之
“산은 평야를 따라 펼쳐지고, 강은 넓은 광야로 들어가 흐른다.”는 太白(李白)의 웅장한 시어인데, 杜甫의 “별빛 떨어지니 平野가 드넓고, 달빛 솟구치니 大江이 도도히 흐르네.”는 骨力이 그것보다 뛰어나다.
九衢寒霧斂 萬井曙鐘多 右丞壯語也 杜星臨萬戶動 月傍九霄多 精彩過之
“九衢에는 찬 안개 걷히고, 萬井에는 새벽 종소리 가득하네.”는 右丞(王維)의 웅장한 시어인데, 杜甫의 “별빛은 萬戶에 닿아 일렁이고, 달은 九霄 가에서 눈부시네.”는 精彩가 그것보다 뛰어나다.
氣蒸雲夢澤 波撼岳陽城 浩然壯語也 杜吳楚東南坼 乾坤日夜浮 氣象過之
“기운은 雲夢澤에서 피어오르고, 물결은 岳陽城을 흔드네.”는 孟浩然의 웅장한 시어인데, 杜甫의 “吳 땅과 楚 땅은 東과 南으로 갈라져 있고, 하늘과 땅은 밤낮으로 떠 있네.”는 氣象이 그것보다 뛰어나다.
弓抱關西月 旗翻渭北風 嘉州壯語也 杜北風隨爽氣 南斗避文星 風神過之
“활은 關西의 달을 끌어안고, 旗는 渭北의 바람에 드날리네.”는 嘉州(岑參)의 웅장한 시어인데, 杜甫의 “北風은 시원한 기운을 따라오고, 南斗는 文星을 피하네.”는 風神이 그것보다 뛰어나다.
讀唐諸家至杜 輒令人自失 - 明 胡應麟, 《詩藪》 〈內篇〉 卷4
唐나라 諸家의 작품을 읽다가 杜甫에 이르게 되면, 그때마다 사람을 茫然自失하게 만든다.
○ 詩中無送別意 題中二字可刪 - 淸 沈德潛, 《唐詩別裁集》 卷10
시중에 송별의 뜻이 없으므로 제목에서 送別 두 글자를 지워버려야 한다.
○ 太白云 山隨平野盡 江入大荒流 少陵云 星垂平野闊 月湧大江流 此等句 皆適與手會
太白의 ‘山隨平野盡 江入大荒流’와 杜甫가 말한 ‘星垂平野闊 月湧大江流’ 등의 구절은 모두 때마침 손을 잡은 듯 합치한다.
無意相合 固不必謂相爲倚傍 亦不容區分優劣也 - 淸 翁方綱, 《石州詩話》 卷1
의도하지 않았는데 서로 합치한 것이니 굳이 서로 답습했다고 말할 필요는 없고 또한 우열을 나눌 필요도 없다.
5.譯註
▶ 渡遠 : ‘遠渡’로 되어 있는 본도 있다.
▶ 荊門 : 현재 湖北省 宜都縣 서북쪽의 산이다. 산의 형세가 문을 여닫는 모습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전국시대 초나라의 서쪽 관문 역할을 하였다.
▶ 大荒 : 광막한 대지를 뜻한다.
▶ 海樓 : 신기루를 지칭한다.
▶ 故鄕水 : 고향의 물이란 長江을 지칭한다. 장강은 李白의 고향인 四川省을 관통한다.
▶ 星垂平野闊 月湧大江流 : 杜甫의 〈旅夜書懷〉 중 제3‧4구이다.
▶ 九衢寒霧斂 萬井曙鐘多 : 王維의 〈同崔員外秋宵寓直〉 중 제3‧4구를 인용한 것인데, 원시는 ‘九門寒漏徹 萬井曙鐘多’이다. ‘九衢寒霧斂’은 姚合의 〈春日早朝寄劉起居〉 중 제1구이므로 호응린이 잘못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 星臨萬戶動 月傍九霄多 : 杜甫의 〈春宿左省〉 중 제3‧4구이다.
▶ 氣蒸雲夢澤 波撼岳陽城 : 孟浩然의 〈望洞庭湖贈張丞相(一作臨洞庭)〉 중 제3‧4구이다.
▶ 吳楚東南坼 乾坤日夜浮 : 杜甫의 〈登岳陽樓〉 중 제3‧4구이다.
▶ 弓抱關西月 旗翻渭北風 : 岑參의 〈奉送李太保兼御史大夫充渭北節度使〉 중 제5‧6구이다.
▶ 北風隨爽氣 南斗避文星 : 杜甫의 〈衡州送李大夫七丈勉赴廣州〉 중 제3‧4구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漢詩와 漢文 >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3.聽蜀僧濬彈琴〈청촉승준탄금〉-李白(이백) (0) | 2023.11.19 |
---|---|
102.送友人〈송우인〉-李白(이백) (2) | 2023.11.19 |
100.贈孟浩然〈증맹호연〉-李白(이백) (0) | 2023.11.19 |
99.寄左省杜拾遺〈기좌성두습유〉-岑參(잠삼) (0) | 2023.11.19 |
98.題破山寺後禪院〈제파산사후선원〉-常建(상건) (0) | 2023.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