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天高日月明 地厚草木生.
月出天開眼 山高地擧頭.
하늘이 높으니 해와 달이 밝고, 땅이 두터우니 풀과 나무가 자라도다.
달이 나오니 하늘이 눈을 뜬 것이요, 산이 높으니 땅이 머리를 든 것이로다.
新習漢字 |
[天]大 총4획, 하늘 천;天恩,昇天. [高]高 총10획, 높을 고;高低,登高. [日]日 총4획, 날 일;日程,終日. [月]月 총4획, 달 월;月曆,滿月. [明]日 총8획, 밝을 명;明晳,文明. [地]土 총6획, 땅 지; 地圖,處地. [厚]厂 총9획, 두터울 후; 厚待,溫厚. [草]艸 총10획, 풀 초; 草木,雜草. [生]生 총5획, 날 생; 生命,天生. [出]凵 총5획, 날 출; 出發,突出. [眼]目 총11획, 눈 안; 眼目,心眼. [山]山 총3획, 뫼 산; 山川,登山. [擧]手 총18획, 들 거; 擧手,薦擧. [頭]頁 총16획, 머리 두; 頭腦,冒頭. |
鑑賞 |
1, 2 구 : 자연 현상을 표현한 것으로 하늘이 높기 때문에 해와 달 역시 높이 떠서 천지 사방의 만물을 밝게 비추고 있음을 말한 것이다. 땅이 두텁다는 것은 지표면이 두텁기 때문에 초목이 잘 자랄 수 있다는 표현일 뿐 아니라, 비옥한 지력의 두터움으로 인해 만물이 잘 자랄 수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1구는 中國 晉나라 때의 시인인 謝靈運의 〈初去郡〉 중 다음 구절에서 인용한 듯하다. ……… 遡溪終水涉: 계곡을 거슬러 올라 끝내 물을 건너고 登嶺始山行: 산봉우리에 올라 비로소 산행을 하네. 野曠沙岸淨: 들이 넓으니 모래언덕이 깨끗하고 天高秋月明: 하늘이 높으니 가을달이 밝도다. 憩石把飛泉: 바위 위에 쉬면서 솟는 샘을 움키고 攀林搴落英: 숲속을 기어가 떨어진 꽃잎을 들어올리네. ……… ※謝靈運(385~433) 南朝 晉, 宋나라의 시인. 晉나라의 名將이었던 謝玄의 손자로서, 康樂公의 爵位를 이었으므로 謝康樂이라고도 불렀다. 文帝때 侍中이 되었지만 참언에 걸려 사형당하였다. 그의 맑고 신선한 詩風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불교에도 조예가 깊어 《大般涅槃經》36권의 번역을 완성하기도 하였다. 3, 4 구 : 캄캄한 밤하늘에 밝게 떠 있는 달이 마치 하늘이 눈을 뜨고 사방을 내려다보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표현하였으며, 우뚝우뚝 솟은 산이 마치 땅이 머리를 들고 있는 것 같이 보이는 것을 표현하였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