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95.雜詩(잡시)-沈佺期(심전기) 본문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雜詩(잡시) -沈佺期(심전기) |
聞道黃龍戍 頻年不解兵.
듣자하니 황룡 땅에 수자리 몇 해 동안 병사들 철수하지 못했다 하네.
可憐閨裏月 長在漢家營.
가련하다, 규방 속 저 달 오랫동안 漢나라 군영을 비추고 있었으니.
少婦今春意 良人昨夜情.
어린 아내는 올 봄에 그리움에 젖고, 낭군은 지난 밤 정을 그리네.
誰能將旗鼓 一爲取龍城.
누가 능히 군사들 거느리고, 단번에 용성을 빼앗을 수 있을까.
2.通釋
듣자하니, 저 黃龍의 변새에는 수년간 전쟁이 그치지 않아 병사들이 철수할 수 없다고 한다. 가련하구나, 규방을 비추는 저 달이 오래도록 황룡의 군영을 비추고 있으니.
어린 아내는 이 봄에 그리움이 마음에 가득 차 있고, 남편은 지난날 아내와 나누었던 정을 생각한다.
그 누가 우리 병사들을 이끌고 단번에 저 龍城을 함락시킬 수 있을까.
3.解題
이 시는 규중의 어린 아내가 출정 간 남편을 그리워하는 정을 그려낸 시인데, 부부를 이별하게 한 전쟁을 원망하면서도 지나친 슬픔에 빠지지 않은 점이 돋보인다.
남편과 이별한 아내로서, 이별의 아픔과 그리움을 표현함과 동시에 당 왕조가 유능한 장군을 내어서 변방에서 고생하는 병사들을 지휘하여 용성을 함락시키길 바라고 있다는 점이 그러하다.
4.集評
○ 一氣轉折 而風格自高 此初唐不可及處 - 現代 高步瀛, 《唐詩擧要》 卷4
하나의 기운 속에 변화가 많으면서도 풍격은 절로 높으니, 이는 初唐의 시인들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이다.
○ 少婦二句嬌怨之甚 壯語懈調 - 明 鍾惺, 《唐詩歸》 卷3
‘少婦今春意 良人昨夜情’ 두 구는 아리땁고 원망함이 심하여, 어조가 豪壯하면서도 나약하다.
5.譯註
▶ 雜詩 : 沈佺期의 雜詩는 모두 3首인데, 이 詩는 제3수이다. ‘雜詩’라는 제목은 어느 하나의 例에 구속됨이 없이 비교적 뜻 가는 대로 정한 것을 이른다. 《評注文選》에 “雜이란, 전해오는 관례에 구속되지 않고 사물을 만나면 卽言하기 때문에 雜이라 이르는 것이다.[雜者 不拘流例 遇物卽言 故云雜也]”라 하였다.
▶ 沈佺期 : 656?~714. 字는 雲卿이며 相州 內黃(지금의 河南省 內黃縣) 사람이다.
▶ 黃龍戍 : 黃龍은 지금의 遼寧省 開原縣 서북쪽에 있으며, 구불구불하게 起伏이 있는 山勢가 마치 한 마리의 용과 같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당나라 때는 동북 변방의 주요한 요새로써, 병사들을 주둔시켰으므로 黃龍戍라 칭한 것이다.
▶ 頻年 : 해를 거듭한다는 뜻이다.
▶ 漢家營 : 唐의 군영을 의미한다. ‘漢家’는 唐朝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 良人 : 丈夫, 즉 남편이다.
▶ 旗鼓 : 군대의 깃발과 戰鼓인데, 여기서는 군대를 의미한다.
▶ 取龍城 : 龍城은 흉노들이 天地와 조상, 귀신들에게 제사 지내던 곳이다. 《史記》 〈匈奴傳〉에는 “五月에 蘢城에서 크게 모였다.[五月大會蘢城]”라 하였는데, 그 索隱에 “《漢書》에는 龍城이라 되어 있다.[漢書作龍城]”라 하였다. 崔浩는 “西方의 오랑캐는 모두 龍神을 섬겼으므로 大會하는 곳을 龍城이라 한 것이다.[西方胡皆事龍神 故名大會處爲龍城]”라 하였다. ‘取龍城’은 한나라 대장군인 衛靑이 흉노에 대항하여 공격한 고사를 인용한 구절로, 여기서는 변방을 평정한다는 의미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漢詩와 漢文 >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97.次北固山下〈차북고산하〉-王灣(왕만) (0) | 2023.11.19 |
---|---|
96.題大庾嶺北驛〈제대유령북역〉-宋之問(송지문) (0) | 2023.11.19 |
94.和晉陵陸丞早春遊望(화진릉육승조춘유망)-杜審言(두심언) (0) | 2023.11.16 |
93.在獄詠蟬幷序(재옥영선병서)-駱賓王(낙빈왕) (0) | 2023.11.16 |
92.送杜少府之任蜀州(송두소부지임촉주)-王勃(왕발) (0) | 2023.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