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마의 노래(驄馬行)-두보(杜甫)
▶ 驄馬行 : 푸르고 흰 얼룩말 노래.
천자가 太常 梁卿에게 내린 말인데, 뒤에 李鄧公이 보고 좋아하여 많은 돈을 주고 샀던 말[原注].
《杜詩鏡銓》 권2에도 실려 있다.
鄧公馬癖人共知, 初得花驄大宛種.
鄧公의 馬癖을 사람들 모두가 알지만, 大苑産의 푸른 얼룩말 처음으로 구하였네.
▶ 鄧公 : 李鄧公. 이 말을 산 사람.
▶ 馬癖: 말을 지나치게 좋아함.
▶ 花驄花 : 푸르고 흰 얼룩말. 花는 얼룩의 뜻.
▶ 大宛種 : 西域 大宛國産. 대완은 漢 武帝 때 汗血馬를 얻었던 나라이다.
夙昔傳聞思一見, 牽來左右神皆竦.
옛날에 전해 듣고 한번 보고자 하였는데, 옆으로 끌고 오자 정신조차도 떨렸었다네.
▶ 神皆竦 : 정신조차도 떨리다. 竦은 뛰다. 떨리다.
정신을 못 차릴 정도로 좋아했음을 뜻함.
雄姿逸態何崷崒? 顧影驕嘶自矜寵.
雄姿와 빼어난 태도 어찌 그리 특출한가? 자기 그림자 돌아보고 교만한 울음 울며 스스로 寵愛를 뽐내네.
▶ 崷崒 : 높이 솟은 모양, 특출한 모양.
▶ 顧影驕嘶 : 자기 그림자를 돌아보며 교만하게 울다. 자기 외모에 자신을 지니고 있는 모양.
隅目靑熒夾鏡懸, 肉騣磈礧連錢動.
모진 눈 푸르게 빛나고 두 겹 거울 매달린 듯한 눈동자요, 살 갈기 울뚝불뚝하여 연이어 동전이 움직이는 듯하네.
▶ 隅目靑熒 : 모난 눈이 파랗게 반짝이다. 좋은 말은 눈이 모가나고 눈두덩은 높다 하였다[《相馬經》].
▶ 夾鏡懸 : 두 겹 거울이 매달리다. 눈동자를 형용한 말로, 좋은 말은 두 눈동자가 두 겹의 거울 같다 하였다 [《白馬賦》].
▶ 肉騣 : 근육으로 된 말갈기. 현종 때 李邕이 구해 바친 駿馬가 ‘肉騣에 기린의 가슴’이었다 한다 [《舊唐書》].
▶ 猥儡(외뢰) : 울툭불툭함.
▶ 連錢動 : 말의 얼룩무늬가 이어진 동전 모양이 움직이는 듯하다.
朝來少試華軒下, 未覺千金滿高價.
아침이 되자 화려한 수레 아래 조금 시험해 보고는, 천금이 아주 높은 값임을 깨닫지 못하네.
▶ 華軒 : 화려한 수레.
赤汗微生白雪毛, 銀鞍却覆香羅帕.
붉은 땀이 흰 눈 같은 털에 약간 배어나는데, 은안장 위엔 또한 향기로운 비단수건 덮혀 있네.
▶ 赤汗 : 붉은 땀. 피 같은 땀. 천리마의 표시임.
▶ 香羅帕 : 향기로운 비단수건. 말 땀을 닦는 수건이며, 말을 사치스럽게 길렀음을 나타냄.
卿家舊物公能取, 天廐眞龍此其亞.
梁卿 집안에 오래된 물건 이등공이 취하니, 천자 마구간의 용 같은 말에 다음가는 것일세.
▶ 卿家 : 梁卿의 집안. 말을 천자로부터 하사받았던 사람의 집.
▶ 天廐眞龍 : 천자의 마구간에 있는 진짜 용 같은 말. 예부터 좋은 말을 龍이라 불렀다[《周禮》].
▶ 其亞 : 그 버금. 그 다음 등급의 것.
晝洗須騰涇渭深, 夕超可刷幽幷夜.
낮에는 水·渭水의 깊은 물에 몸 씻고 뛰쳐나와, 저녁에는 달려가서 幽州·幷州에서 밤에 털을 솔질하네.
▶ 涇渭 : 涇水와 渭水. 長安·咸陽 근처를 흐르는 강물 이름으로, 洛水와 합쳐 황하로 들어간다. 경수는 탁하고 위수는 맑기로 유명하다.
▶ 刷 : 말의 털에 솔질 또는 빗질을 하다.
▶ 幽幷 : 幽州와 幷州. 북쪽 지방. 涇渭로부터 수천 리 거리에 있다.
吾聞良驥老始成, 此馬數年人更驚.
내 듣건대 훌륭한 千里馬란 늙어야 비로소 이루어진다고 하는데, 이 말은 몇 년 사이에 사람이 더욱 놀라네.
豈有四蹄疾如鳥, 不與八駿俱先鳴?
말의 네 발굽이 빠르기 새와 같으면서도, 八駿과 함께 앞다투어 울며 달리지 않는 말이 어찌 있겠는가?
▶ 八駿 : 周 穆王의 여덟 마리 駿馬[《穆天子傳》].
▶ 俱先鳴 : 함께 앞으로 달리며 먼저 울려 하다. 함께 앞을 다투다.
時俗造次那得致? 雲霧晦冥方降精.
세상에서 갑자기 이런 말 어찌 생겨날 수 있겠는가? 雲霧가 자욱하게 어두울 때야 비로소 精氣가 내려온다네.
▶ 造次 : 갑자기.
▶ 雲霧晦冥 :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여 어두울 때. 月精이 말이 되는데, 달의 수는 12이므로 12월에 구름과 안개 자욱한 날 월정이 내려와 龍馬가 태어난다고 하였다[《春秋考異記》].
近聞下詔喧都邑, 肯使騏驎地上行?
요사이 듣건대 詔命 내려 도읍이 떠들썩하니, 기린이 땅 위에 걸어 다니게 놔두겠는가?
▶ 下詔 : 詔命이 내리다. 여기서는 좋은 말을 구하는 조명이 내림.
▶ 騏驎 : 천리마 이름[《商君書》畵策]. 騏麟과도 통함. 곧 이 말이 궁전으로 뽑혀 들어가겠다는 말이다.
해설
역시 李鄧公이 갖고 있는 좋은 말을 노래한 것이다.
杜甫는 말을 노래할 적마다 高逸한 기세 따위를 보여준다.
'漢詩와 漢文 > 古文眞寶(고문진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8行類-12偪側行(핍측행) (1) | 2024.02.25 |
---|---|
8行類-11草書歌行(초서가행) (1) | 2024.02.25 |
8行類-9李鄠縣丈人胡馬行(이호현장인호마행) (1) | 2024.02.25 |
8行類-8高都護驄馬行(고도호총마행) (0) | 2024.02.24 |
8行類-7入奏行(입주행) (2) | 202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