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題目 作者 原文 解釋
問劉十九〈劉十九에게 묻다〉 -白居易(백거이) |
綠螘新醅酒 紅泥小火爐.
푸른 거품 이는 새로 빚은 술 붉은 진흙의 작은 화로.
晩來天欲雪 能飮一杯無.
날 저물고 하늘엔 눈 내리려 하니 술 한잔 하지 않으려는가?.
2.通釋
새로 담가 아직 거르지 않은 술은 항아리에서 익어가느라 보글보글 개미 같은 거품이 일고, 붉은 진흙으로 빚은 작은 화로에서는 불꽃이 타오르고 있다.
보아하니, 오늘 저녁에는 눈이 올 것만 같은데, 와서 나와 함께 술 한잔 하지 않겠는가.
3.解題
이 시는 贈詩의 일종으로 시인이 劉十九라는 친구를 초청하여, 눈 내리는 저녁 함께 술을 마시려는 정경을 읊은 시이다.
새로 빚은 술을 거르기도 전에 눈이 오는 저녁 친구를 초청해 작은 술자리를 벌이려는 시인의 마음을 생생하고 친밀하게 표현하였다.
때문에 이 시는 淺淡한 가운데에서도 神味가 있다고 평해진다.
4.集評
○ 信手拈來 都成妙諦 - 現代 孫洙, 《唐詩三百首》
손 가는 대로 썼으나, 모두가 妙諦를 이루었다.
○ 尋常之事 人人意中所有 而筆不能達者 得生花江管寫之 便成絶唱
평범한 일은 사람마다 마음속에 있으니, 문필로 잘 전달하지 못하는 사람도 꽃과 강에 촉발되어 그것을 그려내면 절창이 된다.
此等詩是也
이 시가 바로 그렇다.
卽以字面論 當天寒欲雪之時 家釀新熟 爐火生溫 招素心人淸談小飮 此竟正復佳絶
글자상으로만 논한다면, 날이 추워 눈이 오려 할 때 집에서 빚은 술이 새로 익고 화로에서는 온기가 생겨 평소에 마음에 두었던 사람을 초청하여 청담을 나누며 술을 마시니, 이러한 정경은 참으로 아름답다.
末句之無字 妙作問語 千載下如聞聲口也 - 現代 兪陛雲, 《詩境淺說》
말구의 ‘無’자는 묘하게 묻는 말로써, 천 년이 지나도 귓가에서 그 소리를 듣는 듯하다.
5.譯註
▶ 劉十九 : 劉氏 성을 가진 열아홉 번째 항렬의 사람을 말한다.
백거이가 江州司馬로 좌천되었을 때 사귀던 친구인 嵩陽處士라는 설이 있다.
그의 시 〈劉十九同宿〉에 “숭양 유처사와 바둑 두며 술내기 하다 날이 밝았네.[惟共嵩陽劉處士 圍棋賭酒到天明]”라는 구절이 있다.
▶ 綠螘新醅酒 : ‘綠螘’는 담가놓은 술이 익어 그 표면에 거품이 이는 모습이 마치 개미를 닮았다고 해서 생긴 말이다.
‘綠螘’는 ‘綠蟻’와 통용된다.
《古雋考略》에 “녹의는 맛 좋은 술이니, 거품이 둥둥 떠 있으며 그 색은 녹색이다.[綠蟻 酒之美者 泛泛有浮花 其色綠]”라 하였다.
때문에 ‘綠螘’ 혹은 ‘綠蟻’라 이르는 것이다.
▶ 無 : ‘否’와 같으니, ‘~하지 아니한가’라는 의미로 쓰였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漢詩와 漢文 >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8.登樂遊原(등낙유원)-李商隱(이상은) (0) | 2023.12.14 |
---|---|
247.何滿子(하만자)-張祜(장호) (0) | 2023.12.14 |
245.行宮(행궁)-元稹(원진) (0) | 2023.12.14 |
244.江雪(강설)-柳宗元(유종원) (0) | 2023.12.14 |
243.玉臺體(옥대체)-權德輿(권덕여) (0) | 202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