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詩와 漢文/당시300수

241.聽箏(청쟁)-李端(이단)

耽古樓主 2023. 12. 14. 17:22
반응형

唐詩300首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聽箏〈箏을 듣다〉
-李端(이단)

 

鳴箏金粟柱 素手玉房前.
금속주 위에서 을 퉁기는 玉房 앞의 하얀 손.

欲得周郎顧 時時誤拂絃.
주랑이 돌아보게 하려고 때때로 줄을 잘못 퉁기네.

 
 

2.通釋

 

여인은 희고 고운 손으로 옥방 앞에서 금속주 위에 있는 古箏의 줄을 퉁긴다.
예전 吳 땅의 주유가 음악에 정통해 한 음이라도 틀리면 한 번 돌아봐 준 것처럼그녀 역시 知音의 관심과 총애를 받기 위해 종종 일부러 음을 틀리게 연주하는구나.

 
 

3.解題

 

이 시는 聽箏의 상황을 빌어총애를 구하는 시로서詩意가 매우 함축적이며 표현 역시 직접적이지 않다.
작자는 箏을 연주하는 여인에게 자신을 기탁하여주유가 音을 식별해 사람을 돌아봐 주었던 것처럼 자신의 재주를 돌아봐 줄 사람을 기다리고 있다.
시의 1‧2구는 아름다운 여인이 箏을 고이 놓아두고 기다리는 모습을 묘사했고, 3‧4구는 그녀가 고의로 현을 잘못 튕겨知音이 자신을 돌아봐 주기를 기대하는 모습을 그렸다.
이 시의 妙處는 바로 시인이 세심한 관찰과 주의를 통해 사람의 심리를 잘 파악한 데에 있다고 평해진다.
쟁을 연주하는 여인의 미묘한 심리로서 일종의 사랑받고자 하는 마음을 곡진하게 표현해낸 것이다.

 

 

 

4.集評

 

○ 吳綏眉謂因病致姸 語妙 淸 沈德潛《唐詩別裁集》
吳綏眉는 병 때문에 아름다웠다고 했으니그 말이 절묘하다.

 

 

 

5.譯註

 

▶ 聽箏 : ‘箏’은 고대의 악기로서 지금의 명칭은 ‘古箏’이다.
제목이 ‘鳴箏’으로 되어 있는 본도 있는데, ‘鳴箏’은 彈奏箏曲의 하나이다.
▶ 李端 : 732~792. 는 正己이며趙州(지금의 河北省 趙縣사람이다.
大曆 5年(770)에 進士가 되었으며 ‘大曆十才子’ 가운데 한 사람이다.
《唐才子傳》에 小傳이 전한다.
▶ 金粟柱 : ‘柱’는 琴瑟이나 牙箏琵琶 등에 줄을 걸 수 있게 부착한 받침대를 말한다.
‘金粟’은 ‘柱花’의 별칭이므로 받침대를 아름답게 장식했다는 말이다.
▶ 玉房 箏을 타는 여인이 거처하는 방을 미화한 표현이다.
▶ 時時誤拂絃 이 두 구는 음악에 정통했던 나라 周瑜에 관한 고사이다.
《吳志》 〈周瑜傳〉에 주유는 나이가 24세였는데 吳 땅에서 모두 그를 ‘주랑’이라 칭했다.
젊어서부터 음악에 정통했는데삼배주를 마신 후에는 〈음악의〉 빠진 곳과 틀린 곳이 있으면 주유가 반드시 그것을 알았고알게 되면 반드시 돌아보았다.
이 때문에 당시 사람들이 이를 두고 노래하기를 ‘곡에 틀린 곳이 있으면주랑이 돌아본다네.’라 하였다.[瑜年二十四 吳中皆呼爲周郞 少精意於音樂 三爵之後 其有闕誤 瑜必知之 知之必顧 故時人謠曰 曲有誤 周郞顧]”라 하였다.
여기서는 周瑜를 知音에 비유한 것이다.
여기서 ‘顧’는 쌍관의 의미를 지닌다.
하나는 곡을 듣는다는 의미이고다른 하나는 돌아봐 준다는 의미이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