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古樓主의 한문과 고전 공부
107.春宿左省〈춘숙좌성〉-杜甫(두보) 본문
1.題目 作者 原文 解釋
春宿左省〈봄에 門下省에 숙직하며〉 -杜甫(두보) |
花隱掖垣暮 啾啾棲鳥過.
궁궐 담에 어둠이 내리자 꽃이 숨고, 포르르 울며 새도 잘 곳으로 가버렸다.
星臨萬戶動 月傍九霄多.
별은 대궐문 위로 떠 반짝이고, 달은 궁전 곁에서 밝게 빛난다.
不寢聽金鑰 因風想玉珂.
잠들지 못하고 자물쇠 여는 소리 듣는데, 바람결에 말방울 소리 들리는 듯.
明朝有封事 數問夜如何.
아침에 封事가 있어 자주 물어보네, 밤이 몇 시나 되었는지.
2.通釋
별이 궁궐 위로 떠 수많은 궁궐문에 비치고, 얼마 뒤 달이 뜨자 하늘 높이 솟은 궁궐 옆에서 유난히 밝게 빛난다.
밤 깊도록 잠들지 못하는데 궁궐의 자물쇠를 따고 문 여는 소리가 들려오고, 또 바람결에 조회하러 오는 신하들의 말방울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내일 아침에 임금께 아뢸 일이 있어 밤이 얼마나 깊었는지 자신에게 자주 물어보며 일어나 아침을 기다린다.
3.解題
이 시는 숙종 乾元 元年(758) 봄, 杜甫가 좌습유로 장안에 있으면서 쓴 작품이다.
앞의 4구는 경치를, 뒤의 4구는 情을 묘사하고 있다.
‘星臨萬戶動 月傍九霄多’는 名句로 알려졌는데 ‘動’과 ‘多’라는 말을 써 靜中動의 묘미를 보여준다.
上奏 때문에 밤새 잠 못 드는 것을 묘사한 뒤의 4구를 두고, 일반적으로 임금에게 충성하고 나라를 근심하는 작가의 마음이 잘 드러났다고 본다.
4.集評
임금을 걱정하며 정사를 간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니 밤새 이 때문에 잠을 잘 수는 없는 것이다. 임금 앞에서 忠言을 간할 것을 생각하니 자신을 위해 도모하는 것이 아님이 틀림없다.
○ 上四宿省之景 下四宿省之情
처음 4구는 문하성에 숙직할 때의 광경이고, 다음 4구는 문하성에 숙직할 때의 감정이다.
花隱棲鳥 日已暮矣 星臨月近 夜而宿矣
꽃이 숨고 깃드는 새가 〈지나는 것은〉 날이 이미 저물었다는 말이며, 별이 뜨고 달이 가깝다는 것은 밤이 되어 숙직한다는 말이다.
問夜未央 起而待旦矣
밤이 다하지 않았느냐고 물은 것은 잠자리에서 일어나 아침을 기다린다는 말이다.
自暮至夜 自夜至朝 敍述詳悉 而忠勤爲國之意卽在其中 - 淸 仇兆鰲, 《杜詩詳註》
저물녘에서 밤까지, 밤에서 아침까지 서술이 상세한데 충성스럽고 부지런히 나라를 위하는 마음이 바로 그 가운데 있다.
○ 月傍九霄多句 從來言月者 只有言圓缺 言明暗 言昇沈 言高下 未有言多少者
‘月傍九霄多’ 구절을 보자. 종래 달을 말하는 사람들은 단지 달이 둥글다 이지러졌다만 말하고, 밝다 어둡다만 말하고, 솟았다 졌다만 말하고, 높다 낮다만 말하였을 뿐 多少를 말한 사람이 없었다.
……試想當時之情景 非言明 言高 言昇可得 而惟此多字可以盡括此夜宮殿當前之景象
……당시의 정경을 한번 떠올려 보면, 밝다 하거나 높다 하거나 솟았다라고 말해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多’字만이 이 밤에 궁전이 눈앞에 있는 모습을 다 포괄할 수 있다.
他人共見之 而不能知 不能言 惟甫見而知之 而能言之 - 淸 葉燮, 《原詩》
다른 사람도 다 같이 보았지만 알지도 못하고 말하지도 못하였는데 오로지 杜甫만이 보고 알았으며 말할 수 있었다.
5.譯註
▶ 掖垣 : 門下省‧中書省을 가리킨다. 당나라 때 門下省‧中書省 두 관서가 궁중 좌우에 있었다. 杜甫는 左拾遺로 門下省에 속해 있었는데 동쪽에 있었으므로 左省이라 한 것이다. 宣垣 혹은 左掖이라고도 한다.
▶ 星臨萬戶動 : ‘萬戶’는 궁궐의 문을 가리킨다. 《漢書》에 “무제가 건장궁을 세웠는데 수많은 문이 있었다.[武帝起建章宮 有千門萬戶]”는 기록이 보인다. 달뜨기 전의 때를 말하며 별빛이 대궐의 수많은 문에 비치는 모습을 형용한다.
▶ 月傍九霄多 : ‘九霄’는 하늘의 가장 높은 곳을 가리킨다. 보통 하늘을 말하며 여기서는 궁궐이 하늘 높이 솟아 그 궁전에 밝게 비추는 달을 묘사한 것이다.
▶ 不寢聽金鑰 : ‘寢’이 寐로 된 本도 있다. ‘金鑰’은 궁궐문 자물쇠로 여기서는 궐문이 열리는 것을 가리킨다.
▶ 因風想玉珂 : ‘玉珂’는 말 재갈 장식이다. ‘珂’는 貝類로 말 장식에 쓰이는데 색이 희어서 옥 같으므로 玉珂라 한다. 《舊唐書》 〈輿服志〉에 “5품 이상은 珂 장식 우산을 쓴다. 수레 제도는 3품 이상은 珂 아홉 개, 4품은 珂 일곱 개, 5품은 珂 세 개를 쓰며, 6품 이하는 수레포장과 珂를 뗀다.[五品以上 有珂傘 凡車之制 三品以上 珂九子 四品 七子 五品 三子 六品以下 去幰及珂]”라고 하였다. ‘風’을 風磬으로 보아, 풍경 소리를 듣고는 조회하러 오는 신하들의 말방울 소리를 연상한다는 뜻으로 풀기도 한다.
▶ 封事 : 비밀로 건의하는 일을 말한다. 옛날 신하들이 일을 아뢸 때 검은 주머니에 문서를 봉해 누설을 막았는데 이를 ‘封事’라 한다. 《唐書》에 “보궐과 습유는 간언 올리는 일을 관장하는데, 큰 일은 조정에서 아뢰고 작은 일은 봉사를 올린다.[補闕拾遺 掌供奉諷諫 大事廷諍 小則上封事]”는 기록이 보인다.
▶ 夜如何 : 《詩經》 〈小雅 庭燎〉에 “밤이 얼마나 되었을까, 밤이 아직 깊지 않았는데, 뜰에 화톳불이 환하네.[夜如何其 夜未央 庭燎之光]”라는 구절이 보인다.
6.引用
이 자료는 동양고전종합DB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耽古樓主.
'漢詩와 漢文 > 당시300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9.月夜憶舍弟〈월야억사제〉-杜甫(두보) (1) | 2023.11.20 |
---|---|
108.至德二載 甫自京金光門出 間道歸鳳翔 乾元初 從左拾遺移華州掾 與親故別 因出此門 有悲往事- 杜甫(두보) (0) | 2023.11.20 |
106.春望〈춘망〉-杜甫(두보) (1) | 2023.11.20 |
105.月夜〈월야〉-杜甫(두보) (1) | 2023.11.19 |
104.夜泊牛渚懷古〈야박우도회고〉-李白(이백) (0) | 2023.11.19 |